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영유아 시기 장관 면역의 특성과 면역 관용(Oral Tolerance), 모유 수유의 영향

        남승연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4

        인간에서 위장관은 표면적 200-300m²을 나타내며 많은 lymphocyte가 존재하고 면역글로불린을 분비하는 체내에서 가장 큰 lymphoid tissue이다. 이들을 Gut-associated lymphoid tissue(GALT)라하며 면역학적으로 유사성을 지닌 폐, 유선, 구강, 비뇨생식기의 mucosal lymphoid tissue와 함께 Mucosal-associated lymphoid tissue(MALT)라 총칭한다. 장점막에서는 매일 외부의 환경 자극과 접촉하며 그들이 인체에 위해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방어적인 염증면역 반응이나 관용(tolerance, hypo- responsiveness) 반응이 일어난다. 후자의 반응은 systemic immunity와 구별되는 mucosal immunity의 특성으로 항원이 식품 단백질이나 장내 세균총인 경우에 면역반응의 저하(downregulation) 또는 억제(suppression)가 일어난다. 관용 반응을 이끌어내는데 실패함으로써 나타나는 식품 알레르기의 예방을 위하여는 모유 수유와 늦은 이유 시기를 권하고 있는데 최근 일부 보고에 의하면 1세 이하에 많은 우유 알레르기의 경우 직접 우유를 먹이지 않고 모유만을 수유한 영아에서 0.4~0.5%의 우유 알레르기가 보고되었고 모유에서 우유, 계란 등의 알레르겐이 검출되어 모유가 알레르기 발생에 있어 안전한가 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KCI등재

        학습형 사업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 요구도 분석

        남승연 한국국정관리학회 2016 현대사회와 행정 Vol.26 No.4

        본 연구는 학습형 사업공동체가 시장에서 지속가능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형 사업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 요인을 도출하였고, 실제 학습형 사업공동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각 요인들의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여 정책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전통적 IPA와 수정 IPA, 그리고 Borich의 요구도 분석 결과, 구성원 교육과 구성원 간 의사소 통, 그리고 자율적 의사결정 참여와 의견 개진과 같은 비영리적・공동체적 역량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지역사회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홍보와 판로를 개척하고, 이를 기반 으로 재정력을 확보할 때 지속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위해, 정책적으로 사업공동 체를 조직화하기 전에 기본적인 공동체와 협동사업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아리 형태를 활성화하고, 지역별로 소자본 인적 공동체 대상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사업공 동체 활동 및 제품에 대한 공신력 있는 마케팅 플랫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우리나라 협동조합 설립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남승연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1

        본 연구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협동조합 설립 활성화를 이끄는 지역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시 도를 대상으로 협동조합 설립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퍼지셋 결합영향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협동조합 설립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들의 결합 모델은 총 5개로 나타났고, 이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특징으로 논할 수 있다. 하나는 인구수가 많고 재정력이 좋은 지역에서 협동조합 설립이 활발한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경제적 여건이 다소 좋지 않지만 야당의원의 비율과 지방의회 투표율이 높은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인구수가 적고 경제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의 통일된 영향은 없지만, 시민단체와 사회적기업이 활발한 지역에서 협동조합이 활성화된 유형이다.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은 협동조합이 가지고 있는 본래 가치와 그 운영원리 때문이다. 즉, 단순히 설립이 많이 되었다고 해서 진정한 협동조합 활성화가 이루어진 지역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자주 자립 자치의 기본 가치와 자본이 아닌 사람 중심의 민주적 운영이라는 원리가 실현되는 협동조합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의 연구와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유형화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남승연,이영범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社會科學硏究 Vol.34 No.3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WISE) in Korea based on the typology presented by Davister, Defourny, and Gregoire(2004). Applying the five criteria-the modes of integration, the status of the workers in integration, the modes of social and professional trai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resources mobilized- into the WISE, we find that the WISEs in Korea mainly provide temporary jobs for the disabled, and its provision is largely depended on government subsidies, which is very unstable. Thus, we suggest that the WISEs in Korea need 1) to focus on the more profit-making activities, 2) to offer more an open-ended contract, 3) to replace on-the-job training with more "structured" professional training, 4) to enlarge the target groups including handicapped people, able-bodied jobseekers with serious integration problems, and 5) to find the finance sources from market resources rather than from government subsid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사회적 기업을 도입하고 제도화한 유럽의 노동통합형 사회적 기업에 관한 EMES 연구보고서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 기업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이에 따른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MES 연구 보고서의 노동통합 방식과 근로자의 신분, 교육훈련 형태, 대상 집단의 특성, 동원된 자원의 유형 등 5가지 기준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의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 기업을 유형화해 본 결과, 우리나라 일자리 창출형 사회적 기업은 정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주로 장애인을 영구적으로 자립가능한 일자리보다는 계약근로자 신분으로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향후 발전방향으로, 기업 활동을 중심으로 한 수익창출구조의 구비, 무기한 계약근로자로의 신분 유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 채용대상의 확대 및 체계적인 직업교육훈련의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럽에서와 같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기업을 설계하고 제도화시키는 것이 향후 우리나라에 서 사회적 기업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임을 강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