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PUBLIC MANAGEMENT SHAPES PUBLIC PARTICIPATION - A CONCEPTUAL FRAMEWORK

        나태준(Lah T.J.) 한국국정관리학회 2002 현대사회와 행정 Vol.12 No.3

          This research attempts to present a framework of how public management shapes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By looking conceptually at the managerial practices in decision-making process, the paper analyzes how bureaucracy determines the degree of public participation. Various components that influence managerial practices are grouped into five categories: individual variable, organizational structure, structure of participation program, nature of policy, and political dynamics. This study views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 and compromise between the bureaucratic module and democratic norm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공공조직구성원의 조직신뢰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나태준 ( T. J. Lah ),최순영 ( Soon Young Choi ) 한국행정학회 2003 韓國行政學報 Vol.37 No.1

        공공부문의 성과관리를 중요시하는 21세기형 조직관리 패러다임은 신뢰를 핵심요소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의 생산성과 성과향상을 위해 긍정적 기능을 하는 조직신뢰가 서울시 조직에는 어느 정도 작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고 그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구명하여, 조직신뢰를 향상하기 위한 유용한 정책대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843명의 서울시청과 서울시 4개 구청 공무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직 내 신뢰에 대한 응답분석 결과,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3.06을 보여주고 있어, 불신과 신뢰의 연속선상에서 보통의 신뢰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분권화, 공정성, 혁신성이 조직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신뢰 향상방안으로는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의 확대, 인사공정성의 제고,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ssumes that employees` trust in their organization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any potentially positive ways.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ganiz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discover how to improve organizational trust. By asking 843 employees, it measures how public employees feel about current conditions affecting organizational trust.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decentralization, fairness, and innovativeness affect organizational trust. As possible aids to improving organizational trust,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 employee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ii) fairness i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cluding 360-degree evaluation, and iii) wider use of communication systems.

      • KCI등재

        Economics of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Options - A Synthetic Approach

        나태준(Lah T. J.) 한국국정관리학회 2002 현대사회와 행정 Vol.12 No.2

          Waste management polic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ull-cost accounting whenever possible. However, as the current set of literature shows, comprehensive analysis is very rare and incomplete, since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municipal solid waste (MSW) management options are dependent on the specific conditions of a system.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article compares the cost-benefit structure of recycling, incineration, and landfilling, and attempts to show a cost-benefit framework of MSW management options. Although the field currently lacks comprehensive and objective cost-benefit model for comparing the MSW options, such a model can be constructed by synthesizing the literature. When all costs and benefits are considered, recycling becomes competitive in the low cost estimation. However, in the high cost estimates, recycling is the worst among the three op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ensive data collection and validation are needed to reach valid conclusions.

      • KCI등재

        정책수단으로서 시민참여의 역할과 한계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나태준(T.J. Lah) 한국국정관리학회 2010 현대사회와 행정 Vol.20 No.1

        본 연구는 “시민참여가 과연 정부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것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정부는 관료제의 고유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시민참여와 숙의과정에 의해 이러한 가치가 침해당하고 훼손 될 수 있지는 않을까? 만약 그렇다면 오히려 시민참여를 적절히 제약하는 것이 결국에는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이다. 소수의 이해관계자들의 이해타산적 행동이 시민참여의 이름으로 이루어진다면 오히려 대다수의 시민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이다. 혹은 진정한 시민대표들이 참여하는 경우에도 정부의 효율성을 경감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활용하였거나 현재 활용하고 있는 여러 가지 시민참여적 사업의 성격을 규명하여 이러한 사업이 정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계천복원사업 시민위원회, 맑은 서울 시민위원회, 천만상상 오아시스,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등 네 가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과연 시민참여가 정부의 정책 결정에 도움이 되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sks the basic question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whether citizen participation increases effectiveness in managing public organization.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so-called deliberative democracy may infringe upon the intrinsic values of government. If so, only controlled participation, not the unlimited co-production, of the public would better off the society as a whole. The participation of a few stake-holders and interest groups, in the name of citizen participation would most likely to result in consequences nobody wanted at the outset. Even in the case of genuine citizen participation could indeed decrease the government effectiveness.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tory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ase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discusses whether the participation embedded in the cases truly served the intention of the participatory programs.

      • KCI등재

        한국 지방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도입요인에 관한 연구 -확산과 네트워크의 관점을 중심으로-

        문승민 ( Seung-min Moon ),나태준 ( T.J. Lah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본 연구는 정책 채택과 확산의 이론적 논의에 기초하여 지방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도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행태를 논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제환경네트워크 가입은 조례 제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광역자치단체 및 인접정부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결정요인으로는 재정력, 인구 규모, 도시화율, 온실가스 배출량의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정책도입과정에 있어 국제적 규범과 중앙정부의 영향력, 그리고 당해 지자체가 겪고 있는 정책적 맥락과 녹색성장정책의 경제.환경 동시추구 속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factors of the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adop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policy adoption and diffusion. Through this research, how Korean local governments cope with climate changes is discuss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admission to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Network(ICLEI) positively influenced the enactment of ordinances, but the influences of metropolitan councils and neighboring governments did not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internal determinants, financial power, population scale, urbanization rat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adoption of local governments is dependent upon various factors, such as international norms,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tical contexts of related local governments and economy·environment simultaneous pursuit of the green growth policy.

      • KCI등재

        국방 정책연구용역의 연구집단 특성 분석

        홍힘찬 ( Hong Himchan ),나태준 ( T J Lah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2

        본 연구는 국방 정책연구용역에서 수의계약을 선택하는 연구집단의 특성을 분석한 논문이다. 거래비용이론을 중심으로 국방부는 거래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구집단과의 계약 경험, 연구집단의 자산 특수성, 내부 연구집단 여부와 같은 특성을 활용하여 수의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2010~19년 PRISM 내의 국방부가 계약한 정책연구용역의 연구집단을 로짓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전의 계약경험, 연구집단의 전문성, 내부 연구집단인 경우 수의계약의 체결 확률과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집단의 특성은 거래비용을 줄이는 것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연구의 효율성을 낮출 수 있다는 면에서 제도적인 개선점을 찾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group selection of private contracts by Ministry of National Defence(MND). In order for MND to reduce the transaction cost, it is assumed that MND utilizes research group’s characteristics such as prior contract experience, asset specificity, or internal organization based on transaction cost theory.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ses the MND’s contracts regarding policy research contract in 2010~2019 PRISM(On-Nara Policy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signing as private contrac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ior contract experience, asset specificity, and internal research group.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group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transaction cost. But, as the perspective of it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research,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also needed.

      • KCI등재

        재난대피시설 설치의 형평성과 효율성에 대한 GIS 분석 : 부산광역시 민방위 대피시설을 중심으로

        홍힘찬(Hong, Himchan),나태준(Lah. T. J.)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대피시설의 위치가 주민 접근성 측면에서 공평하게 분포되어 있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민방위 대피시설의 공간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부산 내 지역 간 재난안전 격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버퍼분석 결과, 최대 다수가 대피시설 효용을 누리도록 효율성을 위주로 정책을 수립할 경우 사상구 엄궁동, 해운대구 반여동, 부산진구 범천동 등에 우선적으로 대피시설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평성을 고려하였을 때에는 기장군 장안읍, 강서구 대항동・미음동・눌차동・구랑동・천성동・죽동동・식만동・생곡동, 금정구 오륜동에 우선적인 대피시설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OD분석 결과 역시 대피소와 거주지역 간의 거리의 편차를 좁힌다는 형평성의 문제와 다수의 인구가 대피시설의 수혜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효율성의 문제에서 어떠한 문제에 더 가중을 두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졌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대피시설의 수용가능 범위 뿐 아니라 접근성 격차로 인한 형평성의 문제와 인구의 밀집도에 따른 대피시설의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대피시설을 지정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고 재난회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논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location of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is fairly distributed in terms of residents accessibility. The paper addresses the gap of disaster safety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buffer analysis shows that if a policy focuses on the accessibility of the maximum number of people, evacuation facilities should be located at Sasang-gu Eomgung-dong, Haeundae-gu Banyeo-dong, and Busanjin-gu Beomcheon-dong. However, considering equitable accessibility, the authors found, facilities should locate at Gijang-gun Jangan-eup, Gangseo-gu Daehang-dong, Mieum-dong, Nulcha-dong, Gurang-dong, Cheonseong-dong, Jukdong-dong, Sikman-dong, Sanggok-dong, and Geumjeong-gu Oryun-dong. An additional OD analysis confirms that the results changes depending on which values are more weighted between equity and efficiency. The authors argue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reduce disaster management costs and minimize the disaster avoidance gaps by considering both equity and efficiency simultaneously.

      • KCI등재

        공공조직 원격근무제도 만족도의 영향 요인 분석

        이성희 ( Lee Sunghee ),나태준 ( T. J. Lah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5 No.3

        공공조직 내 비대면 근무가 활성화됨에 따라, 본 연구는 원격근무제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크게 재택근무제와 스마트워크센터근무제로 나누어 제도별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택근무제는 수평적 의사소통, 참여적 의사결정과 비용절감을 많이 하는 조직일수록 구성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마트워크센터근무제는 혁신적인 조직문화 및 수직적 의사소통이 원활한 조직일수록 구성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같은 원격근무제 도임에도 유형에 따라 구성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개인적 특성보다는 조직문화, 의사소통 및 비용절감 등 조직적 특성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재택근무제도와 스마트워크센터근무제도에 대한 정책 방안을 제시해볼 수 있을 것이다. As ‘untact’ work culture has been expanded within public sector,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telework. In this paper, the telework system has been divided into the telecommuting system and the smart work center system, and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and cost saving organ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atisfaction of telecommuting. Also,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vertical communication organ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atisfaction of smart work center system.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factors affecting employees’ satisfa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lework type. Especially, the results imply that the telework system is affect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that reason, it will be meaningful to policy suggestions for the telecommuting and smart work center work system in public sector.

      • KCI등재

        정부의 감염병 대응 메타거버넌스 분석: 2015년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구주영 ( Koo Jooyoung ),나태준 ( T. J. Lah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2 No.3

        정부는 재난 초기상황에 효율적,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를 설계해야 하며, 재난대응과정 관리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또한, 재난 대응과정에서 형성된 거버넌스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응 행위자 간 신뢰형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메타거버넌스의 관점에서 2015년 우리나라에 창궐한 메르스 대응 과정을 중심으로 정부의 역할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메타거버넌스 분석을 위해서 제도적 설계, 대응과정 관리, 대응과정에의 참여를 분석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불확실성이 높은 메르스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가 현실 적합적으로 설계되지 못했고, 정부의 대응 과정 관리 는 정보 공유, 자원 지원, 협력적 측면이 부실하게 전개되었다. 또한 메르스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적이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정부가 다양한 대응 주체들을 통제·조정할 수 있는 역할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설계하고, 이를 관리·수행할 수 있는 역량 확보와 행위자들의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적극적인 참여 유인책의 제시가 필요하다.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which took place in South Korea in 2015, was a new kind of disaster that the government had not experienced. In the event of an uncertain disaster, such as MERS, various actors participated to form governance. However, the government failed to manage and coordinate governance to overcome the disaster situ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role of government regarding disaster response, This article utilized metagovernance framework to analyze the role of government in disaster situation. After defining the conception of metagovernance, this study reviews the failure of the initial response of 2015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The factor of analysis is defined as an institutional design, response process manage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overnment had to have an institutional design ability that enables the government to control and coordinate various response actors, the capability of the governance management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