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형 간염 보균자에서 골감소증의 빈도 및 간기능검사와의 연관성

        나은희,박재영,김상인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5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5 No.3

        Background : Osteopenia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potential complications of chronic liver disease. However, its correlation with hepatits B virus (HBV) carriage has not been reported.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enia and HBV carriage. Methods : Bone density was measured in 192 HBV carrier women and 200 healthy women in the following sites: the lumbar spine and three sites of the proximal femur (the neck, Ward’s triangle, greater trochanter) by dual-photon absorptiometry. Liver function tests (AST, ALT, Albumin, GGT, and ALP) were also performed. Results : The levels of the bone density measured at the four sit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r=0.34 to 0.99, P<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BV carrier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one density of the femur (P<0.05); the decrease was particularly marked at the Ward’s triang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one density and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 level (r=-0.44, P<0.01). Conclusions : Osteopenia was more prevalent in HBV carriers, particularly in those younger than 50 years of age.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 level was higher in those with a reduced bone density; thus, the measurement of bone density may be indicated in female HBV carriers. 배경 : B형 간염 유병률이 높은 한국에서 B형 간염 보균자에서의 골감소증의 빈도를 알아보고, 생화학적 간기능검사와 골밀도변화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 192명의 무증상 여성 B형 간염 보균자와 B형 간염이 없는 여성 20명에서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요추 및 대퇴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생화학적 간기능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및 t-test를 시행하였다.결과 : 건강 대조군에 비해 B형 간염 보균자에서 골밀도가 더낮았으며, 특히 대퇴경, Ward 삼각형, 대퇴 돌기에서의 골밀도는의의 있게 더 낮았다(P<0.05). 연령대별 골감소증의 빈도 차이에서 50대 이전의 HBV 보균자와 비보균자 차이가 50대 이후에서의차이보다 훨씬 높았다. 생화학적 간기능검사(AST, ALT, GT,알부민, ALP)들 중 ALP 만이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4, P<0.01). 결론 : 무증상 여성 HBV 보균자의 추적관찰에서 골밀도 감소에도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 TV에 재현된 힐링과 낭만의 ‘공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 -tvN <윤식당>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나은희,김영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8 東西言路 Vol.44 No.-

        본 논문은 2017년에 방영된 tvN <윤식당>이 일상 탈출과 삶의 힐링을 추구하며 재현한 이미지 중 공간의 의미에 주목하는 연구이다. 미디어에 재현된 공간은 실제 공간과는 달리 미디어 텍스트를 연출하는 생산 주체 의 의도와 관점에 의해 이미 해석된 공간으로 보이기 마련이다. 즉, 미디 어를 통해 다른 의미의 공간 생산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미디어 공 간의 재현이 의미하는 바를 고찰하고자 하비의 ‘절대 공간’, ‘상대 공간’, ‘관계 공간’ 개념과 스피겔의 사회 공간/미디어 공간에 대한 관점을 적용 하여 <윤식당>의 공간을 ‘홀 v. 주방’, ‘식당 v. 숙소’, ‘섬 v. 바다’, ‘길리 섬 윤식당 v. 서울 윤식당’ 등으로 나누어 해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홀 v. 주방’은 절대 공간의 관점에서 ‘원자재의 공간 v. 완성 재의 공간’ 의 의미가, 상대 공간의 관점에서 ‘생산의 공간 v. 소비의 공 간’의 의미가, 관계 공간의 관점에서 ‘통제된 공간 v. 정복한 공간’의 의미 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당 v. 숙소’의 경우, 절대 공간은 ‘폐쇄된 공간 v. 개방된 공간’의 의미가, 상대 공간은 ‘노동의 공간 v. 재 노동의 공간’의 의미가, 관계 공간은 ‘계급의 공간 v. 탈계급의 공간’ 의 의미를 배태한다. ‘섬 v. 바다’ 의 공간도 절대 공간 관점에서 ‘조형적 공 간v. 자연친화적 공간’의 의미가, 상대 공간은 ‘일상의 공간 v. 일탈의 공 간’의 의미가, 관계 공간은 ‘상징폭력의 공간 v. 상징자본의 공간’ 이라는 의미를 배태하고 있었다. ‘길리섬 윤식당 v. 서울 윤식당’ 공간 역시 ‘초보 자 v. 경험자’의 공간으로, ‘도전의 공간 v. 복기의 공간’으로, ‘집단적 공 간 v. 개인적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의 의 미는 결국, 미디어 주체가 의도한 힐링과 낭만의 공간으로 방부 처리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간의 멸균화를 통해 노동을 이상화하고 자 본 축적을 정당화함으로써 결국은 공간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것임 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imaged/imagined social and media spaces represented by tvN’s reality show <Yoon’s Kitchen> as the text reflects the production practices and cultural imagination of TV creators. Drawing upon David Harvey’s notion of ‘absolute/relative/relational space’ as well as Lynn Spigels’ construct of ‘antiseptic space’, it attempts to dissect and interpret the layered meanings of powerful binary oppositions that are structurally and symbolically inscribed in the text. Findings show that the creators/producers consistently attempted to sanitize the media space so that it can portray the spatially romanticized/exoticized version of an Indonesian island insulated from the conflicting historic/economic/cultural forces of the global/local.

      • KCI등재

        건강검진에서 공복혈당에 따른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나은희,이진경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6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6 No.6

        배경 : 본 연구는 건강검진자에서 공복혈당에 따른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및대사증후군 발생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히, 현재 정상공복혈당으로 분류되는 110 mg/dL 미만군을 100 mg/dL 미만군과 그 이상의 군으로 이분하고, 이들 군 사이에 hsCRP 및 대사증후군 발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20세 이상 남자 3,221명, 여자 3,334명의건강검진자를대상으로 공복혈당에 따라 정상 I군(100 mg/dL 미만 군), 정상

      • KCI등재

        한국인에서 비타민 D: 성별, 연령, 거주지, 계절에 따른 상태 및 결핍의 유병률

        나은희,김수영,조한익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5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5 No.2

        Background: Although many studies on vitamin D have been conducted, they have not been consistent regarding the method of measurement, the individuals investigated, and the season of blood sampling.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25-hydroxy vitamin D [25(OH)D] levels and the prevalence of 25(OH)D deficiency by age, region, and season using the standard method for vitamin D measurement. Methods: A total of 17,252 health examinees (9,180 men and 8,072 women) who were administered the vitamin D test at 16 health promotion centers in 13 cities in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3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asurements of 25(OH)D2 and 25(OH)D3 were perform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using the MSMS Vitamin D Kit. Results: The levels of 25(OH)D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women than men. The median 25(OH)D value was lowest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when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We observed the lowest levels in January and February and the highest levels in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The prevalence of 25(OH)D deficiency (having levels of <10 ng/mL)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men than men. When different age groups were analyzed, the highest rates of 25(OH)D deficiency were found in their 20s, and prevalence decreased with age (up to an age of 60 years). Lastly, the prevalence of 25(OH)D deficiency was highest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when compared to other regions. Conclusions: Level of 25(OH)D and the prevalence of 25(OH)D deficiency differed by sex, age, month (season), and region. 배경: 비타민 D의 결핍은 구루병이나 골연화증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당뇨병, 암, 심혈관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비타민 D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비타민 D 측정방법, 연구대상자 및 채혈시기에 따라 일관된 의견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 표준측정법을 사용해서, 연령, 지역, 채혈시기에 따른비타민 D의 혈중 농도 및 비타민 D결핍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국 13개 도시의 16개 검진센터를 내원한 검진자 중 혈청 비타민 D 검사를 한 17,252명(남, 9,180명; 여, 8,072명)을 대상으로, MSMS Vitamin D Kit (PerkinElmer, Wallac Oy, Turku, Finland)를 이용해서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법으로 혈청 25(OH)D2, 25(OH)D3을 측정하였다. 결과: 25(OH)D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25(OH)D의 중위수는 남녀 모두에서 20대에서 가장 낮았고, 1, 2월에 가장 낮았으며, 8-10월에 높았다. 25(OH)D 결핍(10 ng/mL 미만) 유병률은 여성에서 더 높았고, 남녀 모두에서 20대에 최고 유병률을 보이고, 60세 미만까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지역에 따른 비타민 D 결핍 유병률은 서울, 경기지역이 가장 높았다. 결론: 25(OH)D의 혈중 농도와 25(OH)D 결핍 유병률은 성별, 연령, 채혈시기(계절),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 B형 간염 보균자에서 골감소증의 빈도 및 간기능검사와의 연관성

        나은희,박재영,김상인,Na, Eun-Hui,Park, Jae-Yeong,Kim, Sang-In 한국건강관리협회 2005 한국건강관리협회지 Vol.3 No.2

        Background : Osteopenia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potential complication of chronic liver diseases. Its correlation with hepatits B virus(HBV) carrier, however, has not been reported.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steopenia and HBV carrier. Methods : Bone densities in 192 HBV carrier women and 200 healthy women were measured; the lumbar spine and three sites of the proximal femur(neck, Ward's triangle, greater trochanter) by dual-photon absorptiometry. And liver function tests(AST, ALT, Albumin, GGT, ALP) were also performed. Results : Bone densities at the four sites measure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r=0.34 to 0.99, P<0.0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BV carriers had significant decreases in bone densities of femur(P<0.05), particularly marked at Ward's triangle. A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bone densities and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 were also found(r=-0.44, P<0.01). Conclusions : Osteopenia was more prevalent in HBV carrier, particularly in the groups before-fifties.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 was higher in those with reduced bone densities Thus measurement of bone densities seems to be necessary in female HBV carriers.

      • KCI등재후보

        뇌백질병변과 열공경색의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와의 관계

        나은희,조한익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2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2 No.2

        Backgrou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of white-matter lesion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lacunar infarcts; however, both these conditions are related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whitematter lesions and lacunar infarct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hese conditions. Methods: We included 4,255 patients who showed neurological deficits during health checkups. These individual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3 groups on the basis of MRI findings: normal, white-matter lesion, and lacunar infarct. The groups were compared for age; weights;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levels of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lipi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nd HbA1c. Results: Age,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levels of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triglycerides and HbA1c;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were the highest in lacunar infarct group, followed by white matter lesion group, and normal group. Ag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level were related to white matter lesions, and age, systolic blood pressure level, and blood glucose level were related to lacunar infarcts. Further, the prevalence of the above-mentioned lesion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lacunar infarct is more advanced lesion than white matter lesion. Among all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high blood pressure and impaire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white-matter lesions and lacunar infarct. 배경: 뇌백질병변과 열공경색은 뇌 MRI상 다른 소견을 보이며,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증상 뇌백질병변 또는 열공경색과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소와의 연관성 및 대사적 특징을 밝히고, 이들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건강검진자 4,255명을 뇌 MRI 소견상병변이 없는 정상군, 뇌백질병변군, 열공경색군으로 나누어, 연령,비만도, 혈압, 혈당, 혈중지질, hsCRP, HbA1c들을 비교해 보았고, 대사증후군 발생빈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연령,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혈당, 중성지방, HbA1c가정상군, 뇌백질병변군, 열공경색군으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요소의 유병률이 위와 같은 순으로 증가하였다. 뇌백질병변은 연령, 이완기 혈압과, 열공경색은 연령, 수축기혈압, 공복혈당과 연관성이 있었고, 이 병변들의 유병률은 대사증후군 요소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론: 뇌백질병변보다 열공경색이 더 진행된 병변이며,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 중, 고혈압, 공복혈당장애가 뇌백질병변 및 열공경색과 연관성이 있었다.

      • KCI등재

        건강검진자에서 임상전단계 관상동맥 죽상경화증과 혈중 호모시스테인치와의 연관성

        나은희,조한익,최중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6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6 No.4

        Backgrou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tic plaques is known to be correlated with elevated circulating homocysteine (Hcy). However, whether the level of Hcy is related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in the subclinical state is unclear. Therefore,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Hcy levels and subclinical atherosclerosis in asymptomatic self-referred subjec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enrolled 2,968 self-referred asymptomatic subjects (1,374 men, 1,594 women) who had undergone both coronary CT angiography (CCTA)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therosclerosis, Hcy, and other clinical factors were assessed. Results: Higher levels of Hcy were related with age, male gender,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triglyceride, blood glucose, HbA1c, hsCRP,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CS). Coronary plaque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higher Hcy quartile groups (21.3%, 28.8%, 34.4%, and 34.3%, P<0.001).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stenosis>50%) was also more frequent in higher Hcy quartile groups (1.8%, 5.4%, 5.0%, and 6.6%, P<0.001).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ACS included age, male gender, levels of HbA1c, Hcy and hsCR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gender and confounding factors showed that the third- and fourth-quartile Hcy groups had higher odds ratios [odd ratio (OR) 3.980 (1.723-9.194), P=0.001, 7.355 (3.291-16.439), P<0.001, respectively] for high CACS (CACS >400) than the first quartile group. Conclusions: Blood Hcy level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he presence and extent of subclinical atherosclerosis in asymptomatic subjects. 배경: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혈전생성과 혈관의 산화적인 손상 및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장애을 일으키며, 이는 죽상경화반의 진행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상전단계의 관상동맥 죽상경화증과 혈중 호모시스테인치의 연관성은 불분명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증상의 건강검진자들에서 임상전단계의 죽상경화증과 혈중 호모시스테인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CT조영술(coronary CT angiography)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 2,968명(남자, 1,374명; 여자, 1,59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혈중 호모시스테인치에 따라 사분위수로 나누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호모시스테인 사분위수에 따른 관상동맥석회화수치, 관상동맥경화반, 관상동맥협착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높은 사분위수의 호모시스테인은 연령, 남성,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당화혈색소, 고감도 C반응성단백질 및 관상동맥석회화지수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관상동맥경화반도 더 높은 사분위수인 경우에 더 많이 관찰되었고(21.3%, 28.8%, 34.4%, 34.3%; P<0.001), 관상동맥의 50% 이상 협착도 더 많이 관찰되었다(1.8%, 5.4%, 5.0%, 6.6%; P< 0.001). 관상동맥석회화수치와 연관된 인자는 연령, 호모시스테인, 당화혈색소 및 고감도 C반응성단백질이었고, 석회화수치>400인 경우와 호모시스테인과의 연관성은 제1사분위수에 비해 제3사분위수에서는 3.980배(95% 신뢰구간: 1.723-9.195) (P=0.001), 제4사분위수에서는 7.355배(95% 신뢰구간: 3.291-16.439) (P<0.001,) 더 높았다. 결론: 혈중 호모시스테인치는 임상전단계의 죽상경화증과 연관이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공복혈당장애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치와 죽상경화증과의 관계

        나은희,조한익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3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3 No.4

        Background: Prediabetes is the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and a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bnormal homocysteine level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in diabetes, but not well studied in pre-diabe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homocysteine levels and subclinical atherosclerosis in the individual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Method: Individual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with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of 100-125 mg/dL (1,537 men and 1,563 women)were selected from 10,848 health examinees who underwent a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carotid artery during health check-up over 20 y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quartile groups depending on homocysteine level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each homocysteine quartile with abnormal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CIMT) and carotid plaque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actors associated with abnormal CIMT and carotid plaque were age, homocysteine levels,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gender and confounding factors showed that the third- and fourth- quartile homocysteine level groups had higher odds ratios ([OR]-95% confidence interval [ CI ])- for abnormal CIMT (1.656 [ 1.11-2.47], P =0.013, 1.966 [ 1.32-2.93], P =0.001, respectively) and for carotid plaque (1.608 [ 1.01-2.56 ], P =0.045, 1.913 [ 1.22-3.00 ], P =0.005, respectively) than did the first quartile group . Conclusion: Blood homocysteine leve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clinical atherosclerosis in individual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