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상담 과정 모형 개발

        나미현,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iblio-counseling process model so that counselors can effectively utilize reading media in counseling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e bibliotherapy process. In the stage of planning the model,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demands in order to understand bibliotherapy and to explore what its important elements were.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principle and a conceptual model of bibliotherapy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o supplement its limitations, this study constructed a basic framework of the bibliocounseling process model based on the integrative model of the counseling process proposed by Patterson and Welfel (1994). In the stag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del, this study formed a group of bibliotherapy practitioners and expert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find the main categories and elem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Preliminary model and final model were modifi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by the expert group. For the measurement of content validity, Content Validity Ratio (CVR) was calculated by each item, applying the output formula of the internal validity developed by Lawshe. In the stage of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model, this study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clients and counseling majors and made an objective evalu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to verify its usefuln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ibliocounseling process model consisted of an initial opening stage, in-depth navigation stage, self-application stage and wrap-up stage. In each stage, a sub-step of the process of the application of books is included, and this was presented as a summary-type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n integrative model of the bibliocounseling process, composing contents, including the role of counselors, the role of clients and important action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posed a systematic framework to be able to apply a stepwise reading in personal counseling.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posed a theoretical framework so a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bibliotherapy that the process of its application is non-deterministic, so it has insufficient practicality and to approach reading step by step in 1:1 personal counseling, breaking away from the method of the group program.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독서치료 과정의 한계를 보완하여 상담자들이 독서매체를 효과적으로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독서상담 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모형 기획단계에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이해 및 중요 요소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독서치료의 기본원리와 개념적 모형을 탐색하고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Patterson과 Welfel(1994)이 제시한 상담과정의 통합적 모형을 바탕으로 독서상담 과정의 기본 틀을 구축하였다. 모형 구성단계에서는 연구모형에 포함되어야 하는 주요 범주와 요소를 찾기 위해 현장에 있는 독서치료 실무자, 심리상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예비모형과 최종모형은 각각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수정이 이루어졌다. 내용 타당도 측정은 Lawshe가 개발한 내적 타당도 산출 공식을 적용하여 각 항목별로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다. 모형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내담자와 상담전공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고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여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독서상담 과정 모형은 초기개방 단계, 심층탐색 단계, 자기적용 단계, 종결 단계에 해당한다. 각각의 단계에는 도서 적용 과정의 하위 단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요약형 모형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담자 역할, 내담자 역할, 중요행동을 포함하는 내용을 구성하여 독서상담 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개인상담에서 단계적으로 독서를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틀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추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생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나미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여 교육성과 평가에 지속해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학생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문헌분석과 4년제 대학 비교과 홈페이지를 탐색하고, 관련 대학 평가 인증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도 소재 K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3년간 참여한 학생의 마일리지 점수, 프로그램 참여 수, GPA, 핵심역량 진단점수를 기준으로 연구 문제에 따라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연도별 차이와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GPA와 핵심역량 점수에 마일리지 점수와 프로그램 참여 수가 연도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수는 GPA 와 핵심역량 점수에 영향이 없으나 마일리지 점수 즉, 프로그램 참여 시간은 68시간 이상 참여시 GPA 첨수가 향상되고 21~33시간참여시 전문성 역량, 68시간 이상 참여시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된다. 2018년도 GPA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로는 2017년도GPA 점수, 여학생, 마일리지 점수 680점 이상이다. 2018년도 핵심역량 점수는 2017년도 진단점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프로그램 참여수 13~15개 참여시 전문성 역량이 향상된다. 결론 각 대학에서 부여하는 인증점수와 프로그램 참여 수와 같이 실질적인 자료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성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사춘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간의 관계에서 마인풀니스의 매개효과

        나미현(Na, Mi-hyeon),조정인(Cho, Jung-i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1

        이 연구는 사춘기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공감능력 간에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의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마인풀니스가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연구에 대한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작성방법에 대한 안내를 실시하여 자녀들에게 설문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총 32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Baron과 Kenny의 단계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춘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 능력간의 차이에서 정서지각과 정서반응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높은 반면 냉담한 정서반응은 아버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과민한 정서반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공감능력과 모-공감능력의 상관관계에서 정서지각, 관점수용, 공감적 정서는 서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냉담한 정서와는 부적상관이 있으며, 과민한 정서반응은 관점수용, 공감정서와 낮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마인풀니스의 융통성, 독창성은 매개효과가 성립되지 못하였으나 몰입성은 부분 매개하였다. 탐구성은 부-공감능력에서는 매개하지 못하였으나 모-공감에서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공감능력은 사춘기 청소년의 몰입성, 탐구성을 발달시키고, 냉담한 정서 반응은 몰입성, 탐구성, 독창성의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추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empathy skills perceived by adolescent and to know if mindfulness mediates between the parents adolescent empathy skills and resilience. For this purpose, the parents of adolescents were informed abou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questionnaire was provided so that the questionnaire could be received by their children. A total of 321 data were collected with using SPSS 18.0, matched pair sample.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difference of empathy skills of fathers and mothers by adolescent, stigmatism perception and empathic emotional reaction of mother is higher than those of father. In contrast, concerning cold emotional reaction, father is higher. And there is no meaning about hypersensitive emotional reaction.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of parents empathy skills, there s static correlation in the awareness of emotion, acceptance of viewpoints and empathic emotion, fathers corelation in cold emotion. As for hypersensitive emotional reaction, there s low correlation between acceptance of viewpoints and empathic emotion.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empathy skills and adjustment resilience, flexibility of mindfulness and creativity don t establish mediator effects, while immersion is partly mediated. Creativity isn t mediated by fathers empathy skills, but partly mediated by mothers’ empathy. In other words, the parents empathy skills can develop the immersion and investigation, but cold emotional reactions hinder the development of immersion, investigation and creativity. Lastly,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projects were suggest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양성을 위한 서번트 리더십 지수(SLQ) 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박병기,김희경,나미현,김봉주,류철식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easure of individua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SLQ). For the purpose, a total of 100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and the final choice corresponds to 40 questions. The first factor comprises thirteen items reflecting listening (5 items), empathy (4 items), healing (4 items), and the second factor consists of nine items which are futuristic view (2 items), stewardship (3 items), commitment to the growth of others (4 items), community building (4 questions). The third factor is conceptualization (5 questions), the fourth factor is recognition (5 questions), and the fifth factor is persuasion (4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selected items was .97,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and the subfactors within the range of r = .788 ~ .872. As a result of one-way ANOVA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 group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adult and middle adult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 questions are structured to measure individua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SLQ), which goes beyond the scope of groups or organizations Servant Leadership Quotient. 본 연구는 개인의 서번트 리더십 지수(SLQ)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총 100문항을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최종 선정은 40문항에 해당한다. 1 요인은 경청(5문항), 공감(4문항), 치유(4문항), 2 요인은 미래보기(2문항), 청지기정신(3문항), 이웃성장에 헌신(4문항), 공동체 세우기(4문항), 3요인은 개념화(5문항), 4요인은 인식(5문항), 5요인은 설득(4문항)에 해당한다. 최종 선정된 전체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97에 해당하였으며, 서번트 리더십 지수 전체와 하위요인 간에는 r=.788~.872범위 안에 해당하여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서번트 리더십 전체 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 중, 고, 성인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서번트 전체 지수에서는 학생집단(초,중고)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인초기, 성인중기 집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단이나 조직의 범위에서 벗어나 개인의 서번트 리더십 지수(SLQ)를 측정할 수 있도록 문항이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단회기 진로상담 모형 및 운영 매뉴얼 개발

        전은화,오은주,나미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담당 교수자(또는 학교 상담자)가 1회기(단회기) 동안 학생(내담자)을 대상으로 진로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상담 모형과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고 경기도 소재 D 대학의 신입생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과 연계된 진로상담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기초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에 대한 이론적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모형을 확립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 하였으며, 진로상담 매뉴얼의 구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단회기 진로상담 매뉴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단회기 진로상담 모형은 총 4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시작/준비 단계, 2단계는 심층탐색 단계, 3단계는 행동수행 단계, 4단계는 마무리 단계에 해당한다. 진로상담 매뉴얼은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단회기 진로상담 개요(단회기 진로상담의 정의, 운영기간, 운영 절차), 2장은 단회기 진로상담 준비단계(상담 신청 및 운영방법, On-Line 활용방법, 스케줄 관리 방법, 유의사항, 잠재학생 스크리닝 및 연계지원 안내), 3장은 단회기 진로상담 과정과 전략(단회기 진로상담 과정 4단계, 진로상담 개입전략), 4장은 진로문제 유형별 상담가이드(대학생 진로상담 유형 및 개입전략, 전공 만족과 목표 설정에 따른 사례), 5장은 상담자 준비행동점검(상담준비 체크리스트, 상담자 기본역할, 소통 체크리스트, 상담의 핵심기술), 6장은 부록(고위험군 Risk assessment, 전공만족 여부, 진로목표 유무, 갈등상황, 목표설정, 진로효능감을 위한 목록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진로교과 교수자(상담자)가 제한된 시간 안에 많은 학생(내담자)을 효율적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고 상담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단회기 상담이 오랫동안 존재해 왔는데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model and manual so that career counseling instructors (or school counselors) can provide career counseling services to students (clients) during one session (single session). Method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collected basic data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counseling linked to career courses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Based on basic data, the theoretical components of the research model were selected and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 were collected to establish the research model. In the second Delphi survey,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and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on the components of the career counseling manual. In the third Delphi survey, the validity of the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manual was verified. Results The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model consisted of a total of four stages. Step 1 is the start/preparation step, step 2 is the in-depth exploration step, step 3 is the action execution step, and step 4 is the finishing step. The career counseling manual consists of a total of 6 chapters. Chapter 1 outlines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definition of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operating period, operation procedure), chapter 2 prepares for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for counseling, how to use Online, schedule management method, notes, Guidance on screening potential students and related support), Chapter 3,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process and strategies (4 stages of single-session career counseling,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Chapter 4, counseling guide by type of career problem (types of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majors) Cases according to satisfaction and goal setting), Chapter 5 Examination of counselor preparation behavior (consultation preparation checklist, basic role of counselor, communication checklist, core skills of counseling), Chapter 6 Appendix (Risk assessment of high-risk group, satisfaction with major, career goals), conflict situation, goal setting, list for career efficacy, etc.). Conclusions A model was developed so that career course instructors (counselors) could efficiently counsel many students (clients) within a limited time, and a manual was developed to facilitate smooth counseling activities. Although single-session counseling has existed for a long time, it is meaningful that a plan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many studies has been prepared.

      • KCI등재

        사무소 건물에서 광선반의 채광성능 분석

        박병일(Byung-Il Park),양인호(In-Ho Yang),나미현(Mi-Hyun Na)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논문의 목적은 광선반을 사무소건물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광선반의 채광성능 시뮬레이션을 위해 3Ds Studio Max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광선반의 폭, 표면반사율, 설치각도와 같은 주요 변수의 최적값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최적값을 이용하여 광선반의 채광성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무소건물에서 광선반을 설치함으로써 주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guideline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light shelf in office building. For this, the computer simulation using Daylighting System of 3Ds Studio Max was performed, and the optimal values related to design factors such as a depth, a surface reflectance and a installation angle of light shelf were obtained. Then daylighting performance of light shelf using the optimal values was analyzed, an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optimal light shelf can improve a indoor lighting environment in office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