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록이선환(龜鹿二仙丸)의 경구투여(經口投與)가 난소적출(卵巢摘出)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골다공증(骨多孔症)에 미치는 혈액화학적(血液化學的) 연구(硏究)

        김한균,김상찬,Kim, Han-Kyun,Kim, Sang-Chan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1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9 No.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ral administration of Guirokyisun-Hwan on the estrogen-deficiency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in the rats, serum osteocalcin, estradiol, progesterone, follicular-stimulating hormone (FSH), calcium (Ca) and phosphorous (P) levels were monitored.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also monitored throughout whole experimental peri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ody weight of Control and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 weeks after ovariectomy but after 2 days of drug administration, body weight of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p<0.01 or 0.05)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2. Serum osteocalcin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in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Sham group but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3. Serum estradiol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Sham group but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4. Serum progesterone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Sham group but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s. 5. Serum FSH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in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Sham group bu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6. Serum Ca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Sham group but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7. Serum P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in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Sham group and Treatment group. No significant was detected between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Guirokyisun-Hwan have favorable effect 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in rats.

      • KCI등재

        사형의 양형기준

        김한균(Kim, Han-Kyun) 대검찰청 2017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4

        현재 형벌로서의 사형의 법적 지위와 형사사법적 효과는 불명확한 상태에 놓여있다. 한국은 사실상의 사형폐지 상태라 하지만, 확립된 관행으로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법문화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집행정지의 법적 근거 없는 상태에서 사형선고는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범죄와 형벌에 대한 시민들의 규범의식 혼란과 법질서에 대한 불신을 가져올 수도 있다. 법원의 사형 양형판단 합리성은 향후 사형존폐의 입법과정과 사회적 여론형성의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현행 양형기준 제도는 형종과 형량에 대한 기준에 있어서 구금형에 한정된 기준이며 사형에 대하여는 양형기준을 제시하지 아니하고 있다. 법정형에서 사형을 규정하고 있는 범죄유형의 경우에는 양형기준 권고형량범위에서 사형을 법관의 재량영역으로 남겨두고 있다. 사형 양형판단은 형량이 아닌 형종에 대한 양자택일적 판단이므로, 기존 사형 판결상 사형 허용요건과 양형심리 사유를 일응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현행 양형기준의 틀 안에서 집행유예기준을 모델로 사형선고의 참작사유를 제시해 볼 수 있다. 즉 일반참작사유 내지 긍정적 판단사유(“사형의 선고가 허용되기 위한 요건”), 주요참작사유 (“사형선택을 결정함에 있어서 필수적 양형자료”), 주요참작사유 내지 부정적 판단사유 (“사형의 선고가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한 경우”)로 구성될 수 있다. 참작사유를 종합적으로 비교평가하여 사형선택 또는 불선택을 결정하되, 사형선택은 면밀한 주요참작사유에만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참작사유만 존재하는 경우 사형불선택 판단은 가능해도 사형선택 판단은 가능하지 않게 된다. In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the legal status and effect of capital punishment remains unclear. No execution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December 1997, and thus South Korea is one of the de facto abolitionist countries. However, it cannot be said the abolition is being established as legal institutions or legal culture. The penalty continues to be handed down for serious offenses, and previous attempts to abolish the penalty in the National Assembly have failed to pass, and opinion polls suggest a strong majority of Koreans support keeping the punishment. There is no legal moratorium yet, and the Consitutional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death penalty was not unconstitutional. This may impose negative impact on people’s confidence on criminal justice system, as the sentencing and enforcement of ultimate punishment is not clarified. As for Korean sentencing guideline system, the system does not provide guideline on death penalty. Where the statutory punishment is death penalty, it is for the judicial discretion under the recommendation range of sentence. By analysing sentencing factors in judicial decisions on death penalty, a draft guideline on death penalty may be proposed, which this research aims to. Guideline on suspended sentence may be model of such death penalty guideline. There are four conditions for suspended sentence: special conditions, general conditions, negative conditions, and positive conditions. “Conditions for allowing death sentence” will be general-positive condition. “Critical sentencing elements for choosing death sentence” will be special condition. “Case of sentencing death penalty shall be seriously improper” will be special-negative condition for sentencing decision on death penalty.

      • KCI등재

        피의자 휴대전화 비밀번호의 제출 강제 : 영국 입법례 참고한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시 협력의무 부과 법안 추진 비판

        김한균(Kim, Han-Kyun)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3 No.2

        2020년 법무부가 피의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제출강제의 법제화 모델로 삼은 영국 2000년 수사권한규제법은 국가기관의 수사권한을 정보수집과 감시 확대를 위해 강화하는 법적 기반으로서 입법되어 실행되고 있다. 동법상 암호해제수단 제출강제제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수사기관이 획득한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이 가능한 암호해제수단을 소지한 자에 대한 암호해제 요구 고지를 신청한다. 둘째, 암호해제 요구 고지 신청에 대해 법원, 법관, 국무장관, 허가권한 있는 자 등은 일정 요건에 해당할 경우 고지를 허가한다. 국무장관 등에 의한 허가는 수사권한위원회의 준사법적 사후통제대상이다. 셋째, 허가에 따라 특정 수사기관은 암호해제요구 고지를 부과하고, 일정 시한내 이행하도록 요구한다. 넷째, 요구에 따른 암호해제 이행을 하지 아니하거나, 암호해제 이행에 관한 비밀을 누설한 경우 암호해제 불이행과 비밀누설행위에 대해 관련범죄의 각 중한 정도에 따라 구금형과 벌금형으로 처벌한다. 영국의 사례를 살펴보건대, 입법단계에서는 첨단기술에 대응한 법집행 강화 명분으로 서둘러 제정되었지만, 시행유보와 개정을 거듭하는 가운데 과도한 인권침해로 인한 여전한 비판대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법무부의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시 협력의무 부과 검토 방안은 피의자에게 비밀번호를 진술하거나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작 피의자의 혐의사실에 대한 처벌이 아니라 진술거부로 처벌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전화 압수수색과 이를 위한 암호해제정보 제출강제는 신체에 대한 직접적 침해에 다름 아닐 만큼 인권침해 내지 침해위험성이 클 뿐만 아니라, 법적 정당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점에서 과연 현실적으로 효과적이고 정당한 대책인지 신중히 따져볼 문제다. 현실적으로 범행수법과 수단의 변화는 새로운 강제수단 입법보다는 새로운 수사기법과 장비로 대응해야 할 경우가 더 많은 법이다. In 2020, Korean Ministry of Justice has proposed to introduce investigation power to require disclosure of password to suspect’s digital divices, including mobile. So-called “Imposing duty of the suspects to cooperate in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has found its policy model at the UK Regulation of Investigatory Powers Act 2000, which has provisions on the power to require disclosure. According to the Section 49 of the 2000 Act, if any person with the appropriate permission believes, on reasonable grounds that a key to the protected information is in the possession of any person, and that the imposition of a disclosure requirement in respect of the protected information is necessary in the interests of national securit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detecting crime; or in the interests of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United Kingdom, and that the imposition of such a requirement is proportionate to what is sought to be achieved by its imposition, and that it is not reasonably practicable for the person with the appropriate permission to obtain possession of the protected information in an intelligible form without the giving of a notice under this section, the person with that permission may, by notice to the person whom he believes to have possession of the key, impose a disclosure requirement in respect of the protected information. A person to whom a section 49 notice has been given is guilty of an offence if he knowingly fails, in accordance with the notice, to make the disclosure required by virtue of the giving of the notice. A person guilty of the offence shall be liable on conviction on indictment, to imprisonment for a term not exceeding 5 years or to a fine, or to both.(Section 54)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UK cases shows that mandatory key disclosure of mobile may not avoid the risk of privacy infringement, while such law brings littl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in securing digital evidence.

      • KCI등재

        북한인권법 제정 및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김한균(Kim Han Kyun) 대검찰청 2016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1

        인권은 주권국가의 배타적 관할을 넘어 국제사회의 보편적 문제다. 북한의 인권증진은 남북대화의 중요한 목적이며, 우리 민족 모두가 인간답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근본이다. 따라서 북한 인권문제의 설정과 해법 모색의 절차 및 방법은 통일추진 과정과 통일 이후를 대비하는 통일 형사정책의 주요 과제이다. 그 시대적 계기는 국내적으로는 2016년 북한인권법의 제정이며, 국제적으로는 2014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다. 본 논문은 북한인권법과 유엔 북한인권조사보고서의 형사정책적 주요 의미를 평가하고, 북한인권법 시대를 맞이하여 남북인권대화에 기여하고 통일 이후를 대비하는 형사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간존엄성의 존중과 행복추구권 보장은 우리 헌법의 최고원칙이므로, 북한인권법제도 전체의 최고원칙이기도 하다. 또한 향후 북한 인권침해 불법청산의 국내적·국제적 노력은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는 방식일 때 비로소 의미가 있다. 따라서 북한정권의 인권침해 감시·억제의 측면에서는 북한인권침해기록의 수집·보존과 국제형사재판 절차가능성도 검토하면서, 북한 내 친인권적 법제도 환경 조성의 유도・조력의 측면에서는 남북한 형법의 국제인권규범 이행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북한인권기록 관리와 남북인권대화는 통일 이후 통일 형법 제정과 통일 형사정책 수립의 바탕이 될 것이다. 통일한국의 형법 제정의 근본원칙은 북한 인권침해를 형사법적으로, 국제형법적으로 규명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북한인권법의 제정과 국제인권규범의 요청에 따라 남북한 사이에 인권을 의제로 한 대화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남북한 형법의 국제인권규범 이행이 주요과제다. In the year of 2016,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Bill, after 11 years of political and legal debates. The Act is intended to “protect and improve human rights of the North Korean people. (Art.1.)” The Act includes provisions to create a North Korean Human Rights Foundation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to provide humanitarian aid in line with international monitoring standards. The 2016 Act also establishes a system to document and archive information on human rights violation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its political leaders that could be used for future efforts to pursue accountability for crimes against humanity. This essay analyses the main provisions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and further the report of Commiss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PRK in 2014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 Korean unification-criminal justice policy. Firstly, human dignity and right of pursuing happiness should be the principle of transitional justice and criminal justice policie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Secondly, international efforts of pursuing accountability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orth-South Korean relationship and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irdly, criminal justice policy for the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mot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will be collecting data on human rights violation against North Korean citizens, contributing to international efforts on criminal trials, and assisting North Korea to promote its own human rights standards. Lastly, with North-South Korean human rigths dialogue, both North and South will make efforts to impleme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in the area of criminal justice.

      • SF. 가스절연 Recloser용 PMA에 대한 특성해석에 관한 연구

        김한균(Kim Han Kyun),장정원(Jang Jeong Won),이창환(Lee Chang Hwan),서왕벽(Suh Wang Byuck),한성진(Hahn Sung Chin)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SF. 가스절연 Recloser는 선로에 일시적인 과전류가 발생하면 개방 후 자동 재투입 하면서 선로의 정상적인 운전상태를 회복하고, 영구 고장 시에는 정해진 Sequence에 따라 개방, 투입을 반복한 후 개방완료 상태에 이르게 하는 보호기기이며, 조작부는 주로 Solenoid Actuator 방식을 채택해왔었다. 그러나 Solenoid Actuator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은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사용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감소 시키고 조작 신뢰성을 증대시킨 Magnetic Actuator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Magnetic Actuator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F. 가스절연 Recloser의 조작부에 Magnetic Actuator 방식(이하 PMA (Permanent Magnetic Actuator)을 채용 하였으며, 이를 적용하기위한 입력전원 및 투입, 개방 코일을 패러미터로 하여 PMA의 동적특성을 실험하였으며, 이 실험 자료에 근거하여 27[㎸] SF. 가스절연 Recloser의 PMA 조작부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 ‘게임이용장애’ 규정의 과잉질병화 논란에 대한 법정책적 평가 : 인공지능 역기능에 대한 형사정책적 개입판단의 시사점

        김한균(Kim, Han-Kyun)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0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2 No.-

        디지털 게임은 긍정적 측면을 개발 · 증진할 ‘4차산업혁명 기술이 집약된 융합콘텐츠’일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과몰입이나 중독 등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응한 보건정책으로부터 청소년비행 · 범죄예방정책까지 포괄하는 다양한 정책검토 대상이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게임몰입을 중독이나 비행으로 규정한다면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과잉질병화에 따른 과잉치료, 과잉비행화와 과잉범죄화로 가중되는 연쇄현상을 불러올 수도 있다. 이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할 법정책적 고찰의 의미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형사정책적으로 볼 때도 빠르게 폭넓게 변화 · 발전하는 기술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부작용 문제를 어떻게 파악하고, 문제의 전모가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도 예방적이고 선제적으로 개입할 것인지, 신중히 자제할 것인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인공지능의 역기능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형사정책 차원에서 해석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악용한 범죄와 범죄피해 현상이라 하겠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형사정책적 개입의 적정성은 규범적으로는 형법의 보충성, 실천적으로는 효과성 두 관점에서 판단될 것이다. 인공지능 첨단기술 사회에서도 여전히 형법의 최후수단성 내지 보충성은 견지될 것이지만, 보충적이고 최종적으로 투입할지 여부를 판단한 종래의 기준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혁명적 변화현상 앞에서 예방적 선제적 투입의 필요성은 형사정책적 개입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다. 물론 문제현상에 대한 섣부른 범죄화도 과잉범죄화이기 때문에, 여전히 형사정책적 개입은 신중해야 한다. 첨단 디지털게임이 기반한 인공지능 첨단기술이나, 그러한 게임을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의 디지털 문화를 경험하지 못한 과거 산업혁명시대의 체험수준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이 규범정립자 내지 입법자가 되면 자신의 경험으로 파악하거나 장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해서는 질병이나 비행이나, 심지어 범죄로 낙인찍을 위험이 있다. 아동 청소년기를 컴퓨터와 인터넷 게임속에서 성장해 온 미래 세대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게임이용장애를 도박이나 약물, 알콜중독처럼 질병화하고, 이러한 질병이 비행으로 범죄로 이어질 경우에 대비한 법과 제도를 만들려 한다면 과거의 경험으로 미래의 경험을 제한하려는 정책이 된다. ‘게임이용장애’ 규정의 과잉질병화 논란이 인공지능 역기능에 대한 형사정책적 개입판단에 주는 시사점은 기술에 대한 두려움, 무지, 오해는 4차산업혁명 위험사회와 정보기술사회의 복합적 환경에 처한 형사정책 또한 맞서야 할 문제라는 사실이다. This essay deals with the social issue of gaming dis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policy. In Korean society, digital game is acclaimed as multi-contents made by high-developed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ccused as addictive disorder which make children deviative. In the year of 2019, gaming disorder is defined in the 11th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 as a pattern of gaming behavior (digital-gaming) characterized by impaired control over gaming, increasing priority given to gaming over other activities to the extent that gaming takes precedence over other interests and daily activities, and continuation or escalation of gaming despite the occurrence of negative consequences. This provides some thoughts on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criminal justice intervention in the technical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criminal justice policy is demanded as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ome possible dys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National AI Strategy of 2019 and the National Guidelines on AI Ethics of 2020 by Korean government cover some policy concerns on both promotion and regulation of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The new generation of digital culture experience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digital game as critical parts of their life in the age of AI. Over-regulation or over-criminalization of such individual and social experiences of highly-developed technology comes from misunderstanding of the revolutionary chang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gal intervention or regulation without proper evaluation of social problem should be checked when deals with social issues of highly developing technology. This also should be considered for any crime prevention policy on AI.

      • 신뢰가능한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법정책의 신뢰성

        김한균(Han-Kyun Kim)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1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4 No.-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여부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판단은 결국 인공지능을 증진하고 규제하는 법제도와 인공지능에 기반을 둔 정책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지에 달려있는 문제다. 인공지능은 발전중인 개념이며 고려해야 할 혜택과 위험이 다양하기 때문에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인공지능 법정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도 하거니와 바람직하지도 않다. 신뢰가능한 인공지능과 신뢰받을 수 있는 인공지능 법정책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다. 인공지능의 신뢰가능성, 설명가능성, 투명성, 공정성과 같은 문제는 기술적으로 구현될 과제일뿐만 아니라 정책적 뒷받침과 규제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신뢰가능한 인공지능과 신뢰받을 수 있는 법정책은 상호지지하는 방향으로 함께 발전하는 것이다. 2014년부터 100년 장기기획으로 시작한 「인공지능 백년연구」(One Hundred Year Study on Artificial Intelliegence, 약칭 AI 100)의 1차 연구보고서(2016년)는 인공지능 기술과 연구의 급격한 진전으로 인해 법과 정책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법적 관점은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정책논의에 필수적이라는 의미다. 이어 2차 연구보고서 (2021년)는 인공지능의 정책적인, 일상적인 활용에 따른 신뢰가능성 관련 문제점을 살펴본다. 불확실성이 높은 공공정책현안에서 인공지능 기반 예측기법을 활용한다면, 정책결정자는 그 이행관리에 있어서 어떤 사회적, 체계적, 실천적 문제를 고려해야 할 것인가? AI 100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전문성있게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발전하고 있는 기술 표준과 기준을 점검하면서 필요한 지점에 맞춤한 규제를 구성해야 한다. 인공지능 기술 발전양상과 그 영향에 대한 분명한 전망이 어려운 현실을 고려할 때 관련정책은 사회적 과제와 실제증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재평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효과적인 법적 규제는 엄격하고 세세한 통제규정보다는 일반적 법적의무 규정과 함께 투명성 요건을 엄격히 규정하는 형식이다. 인공지능 분야 역시 규칙강제와 단순 제재보다는 자체적으로 공적책임성(accountability), 투명성, 전문성을 기르는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방식의 규제가 바람직하다. 인공지능 법정책의 기본은 인공지능기술의 공적 사용과 산업적 활용이 공적 책임성, 형평과 공정성, 투명성과 검증가능성, 프라이버시와 인권보장의 가치를 침해하지 않고 존중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신뢰 기반을 구축하는데 있다. 인공지능 진흥과 규제의 법제도 또한 사회적 신뢰의 대상이 되어야 인공지능기반 산업과 연구활동, 그리고 시민의 기술향유를 규율할 수 있다. This essay reviews the Reports of The One Hundred Year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100), organized by Stanford University from the points of law and policy on AI. AI 100 is a longitudinal study to study and anticipate how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ripple through every aspect of how people work, live and play. Its first report of 2016 begins with a reflection on what constitut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concerning AI-related policy. These recommendations include devoting more resources to research on the fairness, security, privacy, and societal impacts of AI systems. The second report of 2021 covers key research questions on the pictures that reflect important progress in AI and its influences, the most important advances in AI, most inspiring open grand challenge problems, progress in understanding the key mysteries of human intelligence, the prospects for more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 sentiment towards AI, governments' act to ensure AI to be developed and used responsibly, the roles of academia and industry in the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AI technologies, the most promising opportunities for and pressing dangers of AI, and the impact of AI on socioeconomic relationships. The 2019 National AI Strategy of Korea government has proposed a basic law on AI, which covers AI principles under the objective of realizing human-friendly AI or human AI. The critical task of AI legal policy is to build up public confidence on the design,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AI technology. Such law and policy should focus on the accountability, equity and fairness, transparency, privacy and human rights in adopting AI technology and products into our dail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