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도로터널에서 근접행렬을 이용한 교통량 계산 방법

        김학범,백종훈,Kim, Hag Beom,Beak, Jong Ho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0 No.3

        도로 터널 내의 환기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각 차종별 교통량 구성 비율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인 도로터널의 경우 입구와 출구의 수가 동일하고 일방향이기 때문에 유입된 차종별 구성 비율이 출구에서 나올 때까지 달라지지 않는다. 반면에 네트워크 도로터널의 경우 터널 내의 연결이 복잡한 네트워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차종별 구성 비율이 달라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접행렬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도로터널에서 차종별 일교통량 구성 비율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design the ventilation in the road tunnel, it is necessary to know the ratio of average annual daily traffic by vehicle type. In general, the road tunnels are onedirectional tunnel, so the traffic of each vehicle type does not change along the tunn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etwork road tunnels, since the connections in the tunnels are complex, the traffic of vehicle-type varies depending on the network composition of tunnels. In the studying the easy method for calculating the ratio of vehicle type for the network road tunnel are proposed with using incidence matrix.

      • 다단계 보안통제가 가능한 확장된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

        김학범,홍기융,김동규,Kim, Hak-Beom,Hong, Gi-Yung,Kim, Dong-Gy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6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is an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the user's roles and it provides more flexibility and applicability on the various computer and network security fields than 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or MAC(Mandator Access Control). In this paper, e newly propose ERBAC\ulcorner(Extended RBAC\ulcorner) model by considering subject's and object's roles and security levels for roles additionally to RBAC\ulcorner model which is firstly proposed by Ravi S. Sandhu as a base model. The proposed ERBAC\ulcorner model provides finer grained access control with multilevel security on he base of subject and object level than RBAC\ulcorner model.

      • KCI등재

        시각장애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학범,차정호,Kim, Hak Bum,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8 대한화학회지 Vol.62 No.1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시각장애학생 대상의 과학탐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 16명과 고등학생 15명으로, 이 중 14명은 전맹, 13명은 저시력이었으며 나머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탐구활동은 이 연구를 위해 제작한 물과 얼음의 분자모형을 참여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탐색하면서 연구자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모형에 대한 탐색을 마친 후 물의 상태변화 개념과 관련지어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모형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화는 녹음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들은 활동에 사용된 모형의 재료와 개수에 대해서는 정확히 대답하였지만 무엇을 표현한 모형인지 설명하기 어려워하였다. 물의 분자와 상태변화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으나 그 개념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현상적인 경험에 기초한 수준에 불과했다. 활동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들은 물과 얼음의 분자구조와 상태변화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연구에서 사용된 모형이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visually impaire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 of "changes of state of water" was explored. Science inquiry activity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implemented to 1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5 high school students from school for the blind. 14 of them were totally blind, 13 had low vision and the others were not identified. Inquiry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researcher while students were individually exploring the molecular models of water and ice developed for the study. After the exploration, students were asked to explain the concept of changes of state of water with the model they explored. Opinion on the need and the usability of this kind of tactile model was also asked to them. All conversation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As a resul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swered exactly about the materials used for the model and their numbers. However, they didn't know what the model stood for. They had experiences of learning molecule of water and changes of state of water, but it was a phenomenon and superficial understanding. Students got to understand the molecular structures of water and ice, and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usability of the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

        김학범,차정호,Kim, Hak Bum,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5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탐색과정과 이해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교수 학습지도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 화학교사 21명에게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모형을 암실 속에서 탐색하게 하였다. 암실에서 이루어진 연구자와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암실 속에서 '얼음의 분자구조' 모형을 탐색하고 학습내용을 구상하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얼음의 분자구조는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신의 암실활동 경험에 비추어 시각장애학생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예비 화학교사들은 연구자가 제시한 분자모형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on the learning situation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a darkroom and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wenty-on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buk were encouraged to explore individually hands-on model for the molecular structure of ice freely, and had a discussion with a one of the researchers during the activity. All the conversation and discussion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As a result,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realized that learning sit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as quite different with their perception while exploring and figuring out hands-on model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ice in the darkroom. They already learned and could see this model by themselves but also recognized that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d inconvenience and difficulty in learning science concepts. Based on these reflections, som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suggested directions for modification to fit visually impaired students' needs more.

      • KCI등재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학범,백상수,차정호,Kim, Hak Bum,Baek, Sangsu,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4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 특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명(3명은 전맹, 1명은 저시력)을 대상으로 용해 현상, 용액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 그리고 용해 시 부피의 변화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모든 인터뷰 상황은 녹화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시각장애 학생들은 용해 현상, 용해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용해 시 부피변화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는 같은 학년의 일반 학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용해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더 바르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설명 수준은 현상적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 수준에 불과했다. 일부 시각장애 학생은 입자 수준의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n dissolution were investigate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about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and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were conducted with 4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ree were blind, and one had low-vision).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transcription. As a resul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knew well about the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and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while they couldn't explain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Althoug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found to have similar level of understanding with students without visual impairments, they had sounder understanding about uniformity of solution. Howeve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ad superficial understanding based on phenomenal experiences. Som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ried to give micro-level explanat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ETA 기법 활용 고찰

        김학범(Kim, H.B.),이수경(Lee, S.K.),송동우(Song, D.W.),김기성(Kim, K.S.),김종훈(Kim, J.H.)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추계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의 성능위주의설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ETA(Event Tree Analysis) 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ETA기법에서는 화재시나리오를 사건(Event)의 인과관계로 된 각 단계의 사건으로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ETA에서 구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심각도를 화재시뮬레이션과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행으로 사망자수를 도출하는 방안을 적용하였고, 각 시나리오의 빈도(확률)은 FTA(Fault Tree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분기 확률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ETA에서 도출한 사망자수와 빈도를 이용하여 F-N 커브를 작성하여 위험도를 평가하여 소방설계의 보완 및 대책을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지하철 승강장 매점 화재실험

        김학범(H. B. Kim),김치훈(C. H. KIM),이덕희(D. H. Lee),장용준(Y. J. Jang),정우성(W. S. Jung),김진곤(J. K. Kim)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철도 승강장의 매점은 현재 신문판매대, 표준 간이매점, 간이매점(복권방)등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신문이나 잡지등은 쉽게 불에 붙기 때문에 화재의 발화원이 되며,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와 마찬가지로 방화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의 매점 화재 실험을 통하여 열방출율과 독성을 측정 분석하고 이에 대한 승강장 매점의 화재방재 요건을 마련코자 한다. Recently, a lot of newsstands and mini station-store are operated as a store at the platform of subway. But the papers and magazines which are main articles for sale could be as the source of fire ignitable because those kind of easy flammable. Therefore the newsstands could be the target for fire. In this paper, fi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to plan the fire-safety for Newsstands and Mini station-stores fire

      • KCI등재후보

        결산자금계산서를 이용한 지방사립대학의 등급판별

        김학범 ( Kim Hak-beom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2 지역산업연구 Vol.35 No.2

        사립대학 회계의 가장 핵심적인 재무제표인 결산자금계산서에는 대학의 경쟁력 향상 노력과 관련된 회계수치들이 보고된다. 이 회계수치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작(operation)하면 대학의 위상 또는 성과등급을 설명하는 투입지표들을 정의할 수 있다. 대학의 성과등급은 주로 산출지표들에 의해 평가되는데, 만일 성과등급이 뚜렷이 구별되는 대학들이 이러한 투입지표들에 관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면, 그것은 결산자금계산서에 보고되는 회계정보만으로 대학의 위상 차이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학들의 성과등급을 판별하는 데 유용한 결산자금계산서 정보 항목들과 그것들에 함축되어 있는 합리적 재정운영방향을 탐색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결산자금계산서를 통해 보고되는 투입 측면의 회계수치들이 산출 측면에서 평가된 대학의 위상을 판별하는 데 유용한 정보내용을 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산단전입금수입, 등록금수입, 연구비, 보수, 고정자산매입비, 그리고 미사용적립금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지방사립대학들의 재정운영방향에 대해서 중요한 시사점을 함축하고 있다. 대학의 경쟁력과 그것에 기반을 둔 대학의 위상을 높여 미래의 예상되는 대학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해서는 미사용적립금의 일정 비율을 연구비 확대와 보수 증대에 충당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교수들의 연구의지를 고무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인 재정운영방향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장기적으로 대학의 경쟁력과 위상이 제고되고, 산단전입금수입의 확대와 그것에 따른 등록금의존도의 감소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재정수입 중에서 연구 및 교육과 무관한 유형고정자산매입에 배분되는 비율을 줄이고, 연구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지출의 경우에도 그 필요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집행하고 엄격한 자산관리를 통해 낭비적인 지출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이다. 마지막으로, 상위 등급의 대학들이 보고하는 해당 지표들의 수준을 지방사립대학들이 장기적으로 달성해야 할 표준으로 설정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하면 슬로건 형태의 추상적인 비전으로 제시되어 온 전략목표를 회계지표의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고, 따라서 전략목표와 일치된 재정수입의 조달 및 배분 계획의 수립도 가능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The settlement fund statement information is useful for determining or predicting the grade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which would be evaluated on the output performance indicators. Significant information items are transfer of the net revenue of IACF, enrollment payment of students, research subsidy and payroll, and expenditure for purchasing tangible fixed assets. This result suggests some implications about the orientation of financial operation of the poor grade local private universities.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reasonable orientation of financial operation to downgrade the ratio of unappropriated reserve and enlarge the rates of allocation to research subsidy and payroll of professors for motivating their efforts. Through this financial operation, we may expect improvement of the competitiveness or the grade of university, enlargement of transfer of the net revenue of IACF, and downgrade of the dependency on the enrollment payment of students in the long term. Another significant implication is that the expenditure for purchasing tangible fixed assets like lands or buildings irrelevant for research and education should be escaped. Finally, the above mentioned accounting indicators of the top level private universities could be set as long-term targets of the poor grade local ones. By doing them, the strategic goals which had usually been set as abstract visions like just slogans could be presented in the form of more concrete ones. Thus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long-term finance and allocation planning being consistent with strategic goal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인권보호를 위한 신변보호제도 개선방안

        김학범(Kim, Hak Bum),김현수(Kim, Hyeons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4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인권 보장과 경찰의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하여 신변보호제도의 개선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행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신변보호제도는 포괄위임입법 금지의 원칙에 반할 소지가 있으며, 신변보호제도의 법적 근거 및 목적의 모호성도 문제점으로 제기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기본권 침해 우려와 신변보호담당관 업무가중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가칭 ‘북한이탈주민 신변보호법’의 제정을 통해 기본권 침해소지를 줄이고 경찰행정작용의 정당성을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사회정착에 부합하는 신변보호제도의 목적을 명확히 규정하고, 법 적용범위와 보호대상을 세분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신변보호관의 업무과중 해소와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를 법에 명시하고 신변보호 대상자의 심의청구권을 보장하는 등의 내용도 법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신변보호제도 관리주체의 전환을 통해 일반 보호대상자의 관리기관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규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북한이탈주민 신변보호제도 개선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improvement of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 order to ensur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ensure smooth work of the police. Under the current ‘North Korean Refugee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ct’,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may run counter t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general delegated legislation, and ambiguity of the legal basis and purpose of the security system is also raised as a problem. As a result, concerns about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problems arising from the heavy workload of their personal protection officer.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enactment of the tentatively named North Korean Refugees Protection Act sh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give legitimacy to police administrative actions. Specifically, it should clearly define the purpose of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that conforms to the stable soci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disaggregate the scope of the law and the target of protection. Also, the Act should include matters such as stipulating the education system to relieve the burden of personal protection officers and to foster experts, and guaranteeing the right to request review by those who are protected. Above all, it will be necessary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s the management institutions of the general protection target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managing body of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improvement of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