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택수(Tack-Soo Kim),정현석(Hyun-Suk Jeong),김영선(Young-Sun Kim),함선규(Suon-Kyu Ham)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8 Weed & Turfgrass Science Vol.22 No.2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이 함유된 발효액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잔디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복합비료(21-17-17)를 처리한 대조구(CF), 복합비료를 처리한후 미생물발효액비 500배액을 처리한 T500, 300배액을 처리한 T300, 100배액을 처리한 T100, 그리고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발효액비만을 처리한 L5OO 등 6개 처리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생육조사는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량, T/R 율 및 뿌리길이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 조사결과, T500ㆍT300ㆍT100 큰 CF>LSOO>NF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처리구는 T300로 조사되었다. 2.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량 비교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포함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3%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T300에서 25% 증가하였다.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처리한 L5OO은 무처리구인 NF보다는 지상부 88%, 지하부 44% 씩 각각 증가하였다. 3. 잔디의 T/R율을 비교한 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처리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7% 높았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시비한 처리구인 L500이 무처리구인 NF보다 약 39% 높게 조사되었다. 4. 뿌리길이 조사결과, 복합비료처리구에서는 1차·2차 조사에서는 CF보다 T500, T300, T100에서 평균 7~8% 더 높고, 3차 조사에서는 CF와 비슷하게 조사되었고, 복합비료가 시비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NF와 L500 처리구의 뿌리길이를 비교할 때 NF보다 L500에서 약 22~66% 높게 조사되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유산균과 효모균이 함유된 발효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뿌리길이, 지하부와 지상부 생육 및 잔디의 T/R율을 향상시켰고,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가장 좋은 처리구는 T300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on growth of shoot and root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cv. Pennlixs).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 of liquid fertilizer, the experiment plot was designed as follows; NF : non-fertilizer; CF : compound fertilizer(21-17-17) only; T500, T300, T100 : compound fertilizer +liquid fertilizer solution diluted 500, 300, 100 folds, respective; L500 : only liquid fertilizer solution which contained the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diluted 500 folds. The every treatments was arranged by a completel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s with three replications. The order of turf qualities like leaf color index and chlorophyll content in treatments showed T500ㆍT300ㆍTIOO ? CF > NF. In treatment applied with compound fertilizer, the dry weight of shoot increased by about 13% in T500, T300 and T1OO than CF, and that of root about 25% in just T300.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increased by 88% and 44% in L500 than NF,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CF, T/R ratio in T500, T300 and T1OO increased by 20%, 11 % and 21 %, respectively and root length 7%, 8% and 3%. In comparison with NF, T/R ratio and root length in L500 increased by 39% and 7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induced the development of turf quality and growth by promoting root growth in creeping bentgrass.

      • KCI등재
      • KCI등재
      • 골프코스에서의 월동 전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한국잔디의 부위별 양분 함량

        김영선,김택수,함선규,코스관리부,Kim, Young-Sun,Kim, Tack-Soo,Ham, Suon-Kyu,Course Service Team of Bear Creel G.C, Course Service Team of Bear Creel G.C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과학적인 잔디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월동 전 잔디의 양분함량을 분석하였다. 월동 전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 그래스 및 한국잔디의 단위면적당 건물 중은 지상부 비율은 각각 12%, 27%, 25% 이고, 지하부 비율은 각각 88%, 73%, 75% 이었다. 잔디 조직 중 함유된 다량원소의 순서는 N > K > Ca > P > Mg > Na 이며, 질소, 칼륨, 칼슘, 인의 함량이 90%를 차지하였다. 잔디 식물체의 조직 부위별 함유된 양분 비율은 켄터키 블루그래스, 벤트그래스 및 한국잔디의 지상부에는 각각 28%, 17%, 34%, 지하부에는 각각 72%, 83%, 66%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월동 전 잔디는 조직중 전체 함유 양분의 70% 정도를 지하부에 저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월동 준비 전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한국잔디를 관리함에 있어 질소, 인산, 가리 뿐 아니라 칼슘비료의 시비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utrient content at shoot and root(contained runner in zoysiagrass) in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before turfgrass dormancy. The shoot ratio of dry weight in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was 12%, 27% and 25% and root ratio was 88%, 73% and 75%, respectively. The orders of nutrients contained in turf-grass were N>K>Ca>P>Mg>Na in plant tissues. The proportion of nutrients in tissue of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was 17%, 28% and 34% in shoot and 83%, 72% and 66% in roo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nutrients in turf-grass tissue was contained more than 70% in root before grasses dormancy. In turf grass management, all grasses were required to fertilize sufficiently N, $K_2O$, CaO and $P_2O_5$ before winter.

      •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가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장과 토양 중 질소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김택수,함선규,방수원,이창은,Kim, Young-Sun,Kim, Tack-Soo,Ham, Suon-Kyu,Ban, Su-Won,Lee, Chang-Eun 한국잔디학회 2009 한국잔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완효성 질소 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생육과 토양 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속효성질소복합비료(11-5-7)를 처리한 대조구(CF), M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처리구 1(MU), IBDU 질소성분이 함유 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처리구 2(IBDU 1)과 처리구3(IBDU 2) 등 5개 처리를 난괴댑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속효성질소성분과 완효성질소성분의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변화와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잔디 생육량, 잔디밀도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질산태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비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질소는 점차 감소하였다. 질산태질소와 총질소는 속효성 비료처리구(CF)보다는 완효성 비료 처리구(MU, IBDU 1, IBDU 2)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시비 후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가용성질소의 변화는 시비초기에는 속효성 비료의 가용성 질소가 많으나 시비 후 30일 정도까지는 속효성 비료와 완효성 비료의 가용성 질소 비율은 비슷하고 30일 이후에는 완효성 비료 처리구에서 가용성 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을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MU, IBDU 1 및 IBDU 2에서 각각 6.5%, 6.7%, 5.9%, 5.5%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33.2%, 38.4%, 35.1%, 37.1% 증가하여 MU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잔디생육량은 CF, MU, IBDU 1 및 IBBU 2가 NF보다 76.2%, 77.7%, 69.5%, 72.3% 각각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 예초물량은 비슷하였고, 잔디밀도는 무처리구보다 비료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속효성 비료처리구(CF)보다 완효성 비료 처리구(MU, IBDU 1, IBDU 2)에서 잔디밀도가 증가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완효성 질소 성분함유비료가 속효성 질소에 비해 토양 중 가용성 질소의 함량을 높여 질소비효기간을 연장시키고,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은 비슷하며 예초물량은 비슷하거나 감소시키지만 잔디밀도는 향상시켜 완효성질소 함유비료의 시비가 잔디생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was used at golf course management because of promoting turfgrass growth and decreasing fertilizing labor. But, it was hardly published about turf grass growth by its effect and form like isobutylidene diurea(IBDU) and methylene urea(MU) in golf course management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such as IBDU and MU on creeping bentgrasss and the change in nitrogen in the root zone after application of fertilizers at AM turfgrass research institute with soil analysis, chlorophyll content index, leaf area index and dry weight during 5 months from July to december in 2007 year. Fertilizer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ing; non-fertilizer(NF), straight fertilizer(CF), treatment 1(MU), treatment 2(IBDU 1), and treatment 3(IBDU 2). The every treatments were arranged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relative to time after N fertilizers application, ammonium and nitrate in soil were increased, but T-N was decrease. $NO_3$-N and T-N content of slow release fertilizer(SRF), the treatment MU, IBDU 1 and IBDU 2, in soil was higher than that of CF, and the change of ratio of available N and T-N by elapsed time after fertilizing SRFs and CF was higher about 5% in root zone of SF to l5days, but in root zone of SRF from 30days about $5{\sim}10%$. Compared with NF, the turf color index was increased 6.5%, 6.7%, 5.9% and 5.5%, respectively, the chlorophyll content 33.2%, 38.4%, 35.1% and 37.1%, the dry weight 76.2%, 77.7%, 69.5 and 72.3% and shoot number 28%, 52%, 56% and 51%. The chlorophyll content index of MD, IBDU 1 and IBDU 2 was increased $2.6{\sim}5.2%$ than that of CF, shoot number $18{\sim}22%$ but turf color index and dry weight was analogous to that of CF.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RF application was supplied nitrogen for a long time in root zone by increasing an available nitrogen, and so bring turf growth such as chlorophyll content and shoot number in creeping bentgrass.

      • 무기성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김영선,김택수,함선규,Kim, Young-Sun,Kim, Tack-Soo,Ham, Suon-Kyu 한국잔디학회 2009 한국잔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골프장의 상토조성 시 사용되는 토양개량제의 적절한 활용과 이해를 위해 입경과 화학적 특성이 비슷한 무기성 토양개량제의 3종의 혼합비율에 따른 모래상토의 물리 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토의 물리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와 C가 pH가 95% 수준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C의 양이온치환용량이 95% 수준에서 상관성을 보여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상토의 토양화학성에 영향을 주었다. 상토의 토양물리성 결과를 통해 USGA 기준으로 평가할 때, 최적의 혼합비율은 토양개량제 A와 B에서는 3%였고, C는 7~10% 였다. 각 토양개량제들의 혼합에 따른 토양물리성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은 총공극량이었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개선효과 를 비교할 때, B는 모세관공극과 비모세관공극에서, C는 모세관공극, 총공극 및 수리전도 도에서 고도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해 골프코스의 상토조성에 사용되는 무기성 토양개량제는 그 종류와 혼합비율이 USGA 상토의 뿌리층 개량의 토양 이화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ixture ratio of the inorganic soil amendments on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is experiment, three kinds of soil amendments which had similar pH, EC and particle size, the A, B and C, were tested. The mixture ratio of soil amendment were 0%, 3%, 5%, 7% and 10% (V/V) incorporated with sand which met to the USGA(United State of Golf Association) particle standard. To analyze the effects of amendment on chemical soil properties, pH, EC(electrical conductivity) and CEC(cation exchangeable capacity) were measured. The porosity, bulk den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also measu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chemical properties, pH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ixture ratios of amendments, A and C(P<0.05), CEC and EC also related to the ratios of C(P<0.01). When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USGA standard of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the optimum mixture ratios of each amendment were 3% in A and B, and 7~10% in C. To analyze the corelation of mixture ratio versus to physical character, volume of poros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atio of B (P<0.05), and showed similar corelation in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with ratio of C(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ypes and mixture ratio of inorganic soil amendments should affect on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root zone on USGA sand green.

      •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토양 중 질소함량 변화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김택수,함선규,방수원,이창은,Kim, Young-Sun,Kim, Tack-Soo,Ham, Suon-Kyu,Bang, Su-Won,Lee, Chang-Eun 한국잔디학회 2009 한국잔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완효성 질소 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과 토양 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속효성질소복합비료(11-5-7)를 처리한 대조구(CF), M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MU 처리구(MU), IBD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IBDU 처리구(IBDU) 등 4개 처리를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속효성질소성분과 완효성질소성분의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변화와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잔디 생육량, 잔디밀도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비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나 총질소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질소질 비료 시비 후 30일까지는 속효성비료의 가용성 질소가 많았으나 시비 후 30일 이후에는 완효성 비료처리구에서 가용성 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을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MU 및 IBDU에서 각각 1.4%, 2.5%, 2.3%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16%, 25%, 26% 증가하여 MU와 IBDU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잔디생육량과 잔디밀도 조사에서 잔디생육량은 CF, MU 및 IBDU가 NF보다 각각 31%, 62%, 46% 각각 높았고, 잔디밀도는 104%, 185%, 148% 증가하였으며, 속효성비료처리구(CF)보다 완효성비료처리구(MU, IBDU)에서 잔디생육량 및 잔디밀도가 증가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완효성 질소 함유비료는 속효성 질소에 비해 토양 중 가용성 질소의 함량을 높여 질소비효기간을 연장시키고, 염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잔디밀도를 향상시켜 잔디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such as isobutylidene diurea(IBDU) and methylene urea(MU) on kentucky bluegrasss and the change of nitrogen in the root zone after supplying these at AM turfgrass research institute with soil analysis, chlorophyll content index, leaf area index and dry weight during 6 months from July to December in 2007 year. Fertilizer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ing; non-fertilizer(NF), straight fertilizer(CF), methylene urea(MU), isobutylidene diurea(IBDU). The every treatments were arranged a randomized complete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relative to time after N fertilizers application, ammonium and nitrate in soil were increased, but T-N was decrease. The change of ratio of available Nand T-N by elapsed time after fertilizing was decreased in CF from 30days but increased until 45days. Compared with NF, the turf color index in CF, MU and IBDU was increased 1.5%, 2.5% and 2.3%, respectively, the chlorophyll content 16%, 25% and 26%, the dry weight 31%, 62% and 46% and shoot number 104%, 185% and 148%. The chlorophyll content index of MU and IBDU was increased 7.5% and 8.8% than that of CF, shoot number 40% and 22%, and dry weight 24% and 12% but turf color index was similar to that of CF.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U and IBDU application was supplied nitrogen for a long time in root zone by increasing an available nitrogen, and so promote turf grass growth such as chlorophyll content and shoot number in kentucky bluegrass.

      • 유산군(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발효 액체비료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A. palustris Huds. CV. Pennlix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Kim, Young-Sun,Ham, Suon-Kyu,Kim, Tack-Soo,Jeong, Hyun-Suk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의 발효액을 함유한 비료가 크리핑벤트그래스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SKY72 골프클럽 증식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처리는 무처리구, 대조구, 처리구1, 처리구2, 처리구3로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에는 토양화학성, 엽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예초물량, 잔디분석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토양화학성은 공시비료의 시비가 토양에는 별다른 영향이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엽색지수는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7.6%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엽색지수 값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48.3%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과 처리구 3에서 각각 4.4%와 2.7%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기간 중 가장 좋은 잔디생육을 나타내는 처리구는 처리구 2로 조사되었다. 예초건물중은 무처리구 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83.6%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와 처리구 3에서 각각 13.8%와 13.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험 종료 후 채취한 잎의 무기성분은 시비구(CF, T-1, T-2, T-3)가 무처리구보다 질소는 82%, 인은 19%, 칼리는 42% 정도 증가하였고, 대조구(CF)와 처리구(T-1, T-2, T-3)사이에서는 비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ala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V. Pennlixs). By application method of liquid fertilizer, the experiment plot was designed as following; NF was non-fertilized treatment, control was applied with compound fertilizer and treatment 1(T-1), treatment 2(T-2) and treatment 3(T-3) were applied with compound fertilizer and liquid fertilizer solution diluted 500, 300 and 100 folds, respectively. The every treatments was arranged a randomized complete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Compared with NF, leaf color index of control, T-1, T-2 and T-3 in creeping bentgrass was increased 7.4%, 7.5%, 77% and 7.2%, respectively and chlorophyll content of T-1, T-2 and T-3 in creeping bentgrass was increased 45.7%, 45.6%, 52.1% and 49.6%, respectively, and T-2 and T-3 was increased 4.4% and 2.7% more than control. Dry weight of T-1, T-2 and T-3 was increased 2.7%, 13.8% and 13.9% more than control, when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were found that turfgrass qualities and growth was improved in treatment applied to compound fertilizer and solution of liquid fertilizer diluted 300 f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