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퇴부에 발생한 고립성 퇴행성 신경초종 -증례 보고-

        김택선,김학준,김완태,김윤정,윤재은,Kim, Taek-Seon,Kim, Hak-Jun,Kim, Wan-Tae,Kim, Yoon-Jung,Yoon, Jae-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신경초종이 오래되어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이를 퇴행성 신경초종이라고 명칭하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혈관주변의 초자화, 출혈, 석회화, 낭성 괴사, Antoni A 구역의 축소, 핵의 변형 등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육종 등으로 잘못 진단되기 쉽다. 본원에서는 75세 남자 환자의 하퇴부에서 광범위한 출혈과 혈종, 낭성 변화, 석회화, Antoni A 구역의 축소 등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된 퇴행성 신경초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When the old schwannoma has the degenerative changes, it is named as the ancient schwannoma which was rarely reported. The degenerative changes are perivascular hyalinization, calcification, cystic necrosis, marked decrease of Antoni type A area, and degenerative nuclei and the ancient schwannoma may be misinterpreted as sarcomatous pleomorphisms. We experienced the ancient schwannoma which has massive hemorrhage and hematoma, cystic change, calcification, and marked decrease of Antoni A area in leg on 75 year old male patient, and report it.

      • KCI등재
      • KCI등재
      • 비골신경내의 결절종 - 1례 보고-

        윤정로,심재익,김택선,이성종,김영배,김학준,이태진,고대철,Yoon, Jung-Ro,Shim, Jae-Ik,Kim, Taek-Seon,Lee, Sung-Jong,Kim, Young-Bae,Kim, Hak-Joon,Lee, Tae-Jin,Ko, Dae-Ch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말초신경초 내에 발생하는 결절종은 일부 보고된 바는 있으나, 발생빈도는 드문 것으로 되어있으며, 발생 부위는 슬관절과 근위 경비관절 부위의 비골신경에서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저자들은 신경학적 증상없이 슬관절부 비골신경 내에 발생한 결절종에 대하여 후유증 없이 치료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Ganglion cysts occurring within sheaths of peripheral nerves have been documented, but are relatively rare entities. The peroneal nerve at the level of the knee and proximal tibiofibular joint is most commonly involved. We report a case of the intraneural ganglion cyst in the peroneal nerve without neurologic deficit, which was excised sucessfully.

      • 쇄골 중간부 골절후 불유합 및 지연 유합의 원인

        윤정로,심재익,김택선,이성종,김영배,김학준,안국환,장재영,홍명표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쇄골 중간 1/3 부위의 골절은 치료 결과가 양호하여 보존적 치료가 원칙적으로 받아 들어지고 잇으며 불유합에 대한 빈도도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전위 및 단축의 정도가 심할 경우 높은 불유합의 결과와 불량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이런 예에 대해선 수술적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 저자들은 단축 및 전위의 정도와 불유합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3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 했던 성인 중간부 쇄골 골절 환자 194명 중 완전 전위를 보인 78례를 조사하여 이중 63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후 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4개월 추시 후에도 방사성 사진상 유합 소견이 관찰되지 않으면 불유합의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 63례 중 불유합 및 지연 유합을 소견을 보인 환자는 15(23%)례였다. 골유합을 보인 48례의 단축은 평균 8.6㎜(2㎜-17㎜)였고, 전위는 평균 9.7㎜(2-22㎜)였다 .불유합 및 지연 유합을 보였던 15례에서 단축은 평균 14.5㎜(3㎜-37㎜), 전위는 평균 17.3㎜(4-25㎜)였다. 18㎜이상 단축이 있었던 경우 불유합의 발생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고(Fisher's exact test, p<0.01), Chi-square test상 16㎜ 이상의 전위를 보였던 경우 불유합 발생과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1). 결 론 : 쇄골 골절 특히 중간 1/3의 골절은 비교적 보존적 치료에 결과가 좋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전위 및 단축이 심한 경우 불유합에 대한 가능성이 높이 때문에 보다 경과 관찰시 유합의 진행이 없으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한다. Purpose : Because the prognosis of the mid 1.3 clavicle fracture is good, the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 figure of 8 bandage is the gold standard and the nonunions are rare. However, recently surgical treatment is recommended when the shortening and displacement is severe because of the high nonunion rate and the poor clinical resul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at the shortening and displacement at fracture site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onun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sed the 194 fractures of mid 1/3 clavicle in adults which had been treated conservatively from February 1993 to January 2002 and did the retrospective study. Of these, 78 cases were originally in the middle third of the clavicle and had been completely displaced. We reviewed 63 of these cases. The shortening and displacement at the fracture site was measured on the initial roentgenogram. And the analysis of the patients' chart was done for another predisposing nonunion factors. Nonunion and delayed union are considered to be present when there has been little or no progression of clinical or radiographic healing at a minimum of 4 months after injury. Results : 15 of the 63 cases had developed nonunion.. The average 8.6㎜(2㎜-17㎜) shortening and average 9.7㎜(2-22㎜) in the union patients. The average 14.5㎜(3㎜-37㎜) shortening and average 17.3㎜(4-25㎜) in the nonunion patients. We found that initial shortening ≥18㎜(Fisher's exact test, p<0.01) and initial displacement ≥ 16㎜(Chi-square test. p<0.01)at the fracture sit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onunion. Conclusion : The conservative treatment with figure-80-bandage is the gold standard in the clavicle middle one third fracture. However, the nonunion is commonly occurs in the cases of more of severely shortened and displaced fractures. If there are no signs of callus formation and the patient complains of pain after several week, osteosynthesi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