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思辨錄辨」의 浩然之氣論에 대한 고찰

        김태년(Kim Tae n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8 기전문화연구 Vol.34 No.-

        朴世堂(西溪, 1629~1703)의 『思辨錄」을 둘러싼 老論과 少論 간의 시비는 환국을 통한 당파간의 부침이 심했던 숙종대 대표적인 학술논전이자 斯文亂賊 논란이었다. 그리고 金昌協(農巖, 1651~1708)은 노론의 입장에서 「論思辨錄辨」을 저술함으로써 그 논란의 한 가운데 서게 된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김창협의 『사변록』 비판 중 浩然之氣 개념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孟子』의 浩然章, 특히 호연지기 개념은 기호학파 내부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던 주제였다. 그들이 호연지기를 대상으로 理와 氣의 관계에 주목한 이유는 단지 수양론적 관심 뿐 아니라 바로 理와 氣, 그리고 心과 性의 관계가 이단과 정학을 구분해주는 기준이기 때문이기도 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김창협의 논의를 살펴보면 노론측이 제기한 성인을 모독하고 경전을 훼손했다 는 의혹, 구체적으로는 朱熹의 해석을 부정하여 주자학의 종지를 무너뜨렸다는 문제 제기가 정당한 것인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변록』에 등장하는 호연지기 개념에 대한 김창협의 비판을 살펴보면, 그가 朱熹와 宋時烈(尤庵, 1607~1689)의 견해에 따라 박세당을 비판하였으며, 그 이면에는 노론계의 理氣論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그저 자신이 존중하는 朱子 와 다른 의견을 제기했다는 이유에서만 박세당을 비판한 것은 아니었으며, 자신들이 볼 때 박세당의 학설이 正學 의 틀을 벗어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에 비판했던 것이다. 한편 박세당은 분명히 몇 가지 점에서 朱熹의 주석과는 다른 해석을 제시했지만, 이것만 가지고는 그가 주자학, 혹은 폭을 더 넓혀서 성리학(신유학)의 틀을 벗어난 어떤 새로운 사상 체계를 제시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호연장과 관련한 그의 논의를 볼 때 그의 주 관심은 여전히 道義(理)의 실현에 있었고 인식틀 또한 전통적인 이기심성론의 자장 안에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노론 측의 사문난적 이라는 비판은 분명 도가 지나친 것이었다. 게다가 소론계 학자들이 지적했듯이 노론계 학자들 내부에서도 朱熹의 주석이나 주장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박세당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정치적 공세의 일환이었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 朱熹의 학설에 대한 비판의 태도 가 문제였다면 몰라도 내용 만 가지고는 斯文 을 배신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김창협과 박세당의 대립을 탈성리학 대 성리학의 구도에서 볼 것인가 아니면 조선의 성리학계 내부의 노선 다툼으로 파악할 것인가에 대해 다시 검토해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In King Sukjong era s heterodoxy debates between the Noron school and the Soron school, estimation of Park Sedang(l 629 ∼ 1703) s work Sabyeon-nok was key issue in the academia when the two schools showed constant fluctuation of their status to one another. This article deals with Kim Changhyeop(l651 ∼ 1708), a core debater of the Naron school, especially with his theory of Great Morale(Hoyeonjigi) expressed in A Treatise on Sabyeon-nok. As well known, the Passage in Mencius on Great Morale, especially its concept of Great Morale was a frequently discussed theme inside Giho school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i and gi which was a touchstone to discriminate between the orthodoxy and heterodoxy. Thus, it is reasonable to expect that analyzing his stance toward the theme would help to verify the legitimacy of the Noron school’s claim that Park desecrated the holy men and damaged the classics of Confucianism. In the process of analyzing Kim’s critique on the theory of Great Morale in Sabyen-nok, it becomes clear that Kim criticized Park in accordance with Zhu Xi and Song Siyeol( 1607 ∼ 1689), being based on the Noron school’s theory of i and gi. It should be emphasized, however, that Kim’s criticizing Park was not due to the later’s suggesting different stance from Zhu Xi s but due to strong possibility of Park s deviating from Neo Confucian orthodoxy. As to Park Sedang, it is clear that his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was different from Zhu Xi’s but still he hardly shows a possibility of suggesting a new paradigm beyond Zhu Xi or Neo Confucianism. His discussion on the above-mentioned chapter in Mencius remained being focused on the realization of i and his frame of thought still confined under influence of traditional theories of i-gi simseong.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oron school’s accusation of Park being heresy was not reasonable and might be suggested for political reason. All things being examined, we should ask that whether the confrontation between Kim Changhyeop and Park Sedang was the one between ex-Neo Confucianist on the one hand and orthodox Neo Confucianist on the other, or was the one inside the realm of Neo Confucianism.

      • KCI등재

        LTSA 기반 초등수학 안내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김태년,김영미,황대준,Kim, Teh-Nyun,Kim, Young-Mi,Hwang, Dae-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에서의 컨텐츠의 효율적 관리와 중복개발방지 및 재사용성을 위한 교육학습시스템의 표준화 수립과 수요자 중심의 맞춤교육을 통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여 보다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근접한 LTSA기반의 초등수학 안내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 진도/방법을 제시하여 프로그램학습의 기계적인 교육이 되지 않도록 학습자의 개인간차(학습자와 학습자)를 고려하였다. 또한 표준안을 기반으로 구현된 초등학교 교육 활용사례를 통한 교육의 학습내차(학습자 내부영역)의 문제를 부각시켜 시스템 내의 지도(coach)프로세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We suggest on this paper the LTSA-based Guide System for elementary mathematics, that is useful in managing of educational contents, avoiding redundant contents-development and improving reusability of contents. And it gives more satisfaction to the learner by making leaner choose his own courses. We considered the educational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for the learning not to be a mechanical thing, by giving the educational course and method adequate to the learner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resulted from elementary educational adaption example implemented on the bas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we suggested a method for activating the coaching process in the system.

      • KCI등재

        ‘正典’ 만들기의 한 사례, 『栗谷別集』의 편찬과 그에 대한 비판들

        김태년(Kim, Tae-neon)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이글은 李珥(栗谷, 1536∼1584)의 저작집인 『栗谷全書』, 그중에서도 특히 그의 언행록인 『栗谷別集』의 편찬과 그에 따른 논란을 살펴봄으로써 李珥의 학설을 둘러싸고 그의 후학들이 대립하여 분화하는 과정을 추적해보려는 것이다. 李珥의 학문적 업적을 정리하는 사업은 成渾이 편찬을 주도한 『栗谷集』 발간(1611), 朴世采에 의한 『外集』(1682), 『續集』(1682), 『別集』(1686) 발간, 그리고 양자의 작업을 기반으로 진행된 李縡에 의한 『栗谷全書』 편찬(1744), 洪啓禧에 의한 『栗谷全書(拾遺 포함)』(1749) 발간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朴汝龍 등의 海州 제자들과 金長生 등의 서울 제자들 사이의 신경전, 成渾-尹宣擧 학맥과 李珥-金長生 학맥을 기반으로 한 朴世采와 宋時烈의 대립이 불거졌으며, 이는 이미 진행되고 있던 학파의 분화가 반영된 것이자 이를 통해 분화가 촉진되었다. 특히 『栗谷別集』을 둘러싸고 벌어진 宋時烈과 朴世采의 대립은 학파뿐 아니라 老論과 少論이라는 정파의 분화가 반영된 것이었으며, 宋時烈의 再傳弟子인 韓元震의 『栗谷別集』에 대한 비판 속에는 훗날 栗谷學派의 헤게모니를 두고 맞붙게 되는 ‘湖洛論爭’의 불씨가 잠재되어 있었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Supplementary Work of Yi I(Yulgokbyuljip 栗谷別集), which records his words and deeds in the Complete Work of Yi I(Yulgokjeonseo 栗谷全書), and review the debates on it. By doing these, I will analyze how Yulgok School has been divided by his followers advocating different aspects of Yulgok’s theories. Yi I(李珥)’s academic achievements had been organized by his friends and disciples as follows: Song Hon(成渾) compiled the Work of Yulgok(Yulgokjip 栗谷集, 1611), Pak Se-ch’ae(朴世采) the extra work(Yoijip 外集, 1682), sequel (Sokjip 續集, 1682), and supplementary one(Byuljip 別集, 1682). Based upon these two compilations, Yi Jae(李縡) compiled the Complete Work of Yulgok (Yulgokjeonseo 栗谷全書, 1744), and Hong Kye-hi(洪啓禧) published another version of his Complete Work(Yulgokjeonseo 栗谷全書, 1749).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students of Haeju(海州) like Pak Yo-ryong(朴汝龍) and those of Seoul like Kim Jang-saeng(金長生) strike sparks off each other. And after than there was a deep conflict between Pak Se-ch’ae(朴世采) who is derived from Song Hon(成渾), Yun Son-geo(尹宣擧) line, and Song Si-yol(宋時烈) who belongs to Yi I(李珥), Kim Jang-saeng(金長生) line. These accelerate division of Yulgok School. Especially, the conflict between Pak Se-ch’ae(朴世采) and Song Si-yol(宋時烈) surrounding the compilation of the supplementary work reflects not only academic bifurcation of the School, but also political division between Noron(老論) and Soron(少論) factions. And one of the second-generation students of Song Si-yol(宋時烈), Han Won-jin(韓元震)’s criticism of the Supplementary Work has a latent source to raise Horak(湖洛) Controversy that fights for the Hegemony of Yulgok School.

      • SCOPUSKCI등재

        당뇨병 유무에 따른 췌장암의 임상 양상

        김태동 ( Kim Tae Dong ),오희주 ( O Hui Ju ),김국현 ( Kim Gug Hyeon ),김성목 ( Kim Seong Mog ),김준환 ( Kim Jun Hwan ),장병익 ( Jang Byeong Ig ),김태년 ( Kim Tae Nyeon ),정문관 ( Jeong Mun Gwan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3 No.1

        Background/Aims: Pancreatic cancer is fatal with a dismal 6-month median survival from diagnosis. Diabetes mellitus is reported to be present up to 33.3 percent of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The reason for the high frequency of diabetes is unknown. We studied the prevalence and duration of diabetes i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seases. Methods: A total of 152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diagnosed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inical features, family history, smoking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tumor were compared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Results: Among 152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43 patients (28.3%) had diabetes. In diabetic group, mean age of diagnosis was significantly younger than non- diabetic group (62.0±7.2 vs. 65.0±8.8, p<0.05). Most of the patients with diabetes had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and did not have family history. Diabetes was diagnosed within 2 years after the diagnosis of pancreatic cancer in 35 patients (74.3%) of the diabetic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ocation and stage of tumor, chief complaints, presence of weight loss, and body mass index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Diabetes mellitus occurs frequently i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and does not influence clinical features of pancreatic cancer. Pancreatic cancer should be suspected in patients with recent onset diabetes, especially in patients without family history of diabetes and with type of NIDDM.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35-40)

      • KCI등재

        췌장암 환자에서 Oxaliplatin 사용 후 발생한 돌발성 난청 1예

        김승범 ( Sung Bum Kim ),김소영 ( So Yeong Kim ),김국현 ( Kook Hyun Kim ),김태년 ( Tae Nyeu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2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6 No.5

        Oxaliplatin is a new generation of platinum derivatives used frequently to treat solid organ malignancies, including colorectal and ovarian cancer. Recently, an oxaliplatin-based chemotherapeutic regimen was adopted for advanced pancreatic cancer. Although oxaliplatin has extensive therapeutic potential, its use can be limited by significant adverse effects, particularly ototoxicity. This paper reports a rare case of irreversible unilateral hearing loss in a 48-year-old female that developed after the intravenous infusion of oxaliplatin during pancreatic cancer treatment.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second reported case of oxaliplatin-related ototoxicity in pancreatic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20;76:261-264)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