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velopment of Quantitative Vitellogenin ELISAs for Bullfrog (Rana catesbeiana) used in Endocrine Disrupter Screening

        이상훈,강윤주,이춘일,김안드레,김춘봉,정규혁,김동규,박남규,박광식,강신원,박장수,Lee Sang-Hoon,Kang Yun-Ju,Li Chun-Ri,Kim Andre,Jin Chun-Feng,Chung Kyu-Hyuck,Kim Dong-Kyoo,Park Nam-Gyu,Park Kwang-Sik,Kang Shin-Won,Park Jang-Su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2006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1 No.2

        난생 생물의 알 생성유도 단백질인 비텔로제닌(viteILogenin, VTG)을 성숙한 암컷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혈청으로부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 하였으며 정제한 비텔로제닌을 BALB/c mice에 주사하여 폴리크로날 항체를 생산하였고 이것은 protein A column으로 정제 하였다. 이렇게 정제된 폴리크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 비탈로제닌 측정용 효소면역측정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측정 범위는 $12{\sim}1,560ng/mL$였다. 또한 이 효소면역측정법을 평가하기 위해 성숙한 수컷 황소개구리를 청정지역과 폐수처리장 하류 하천에서 서식하는 황소개구리 혈액 속의 비텔로제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폐수처리장 하류 하천에 서식하는 수컷 황소개구리 비텔로제닌이 청정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추출용매 변화에 따른 바나바(Lagerstroemia speciosa Pers.) 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김균하(Kyun Ha Kim),노상근(Sang Geun Roh),이춘일(Chun-Ri Li),김춘봉(Chun-Feng Jin),김안드레(Andre Kim),최원철(Won Chill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9

        본 연구는 바나바 잎 추출 용매에 따른 항당뇨 효과에 관한 것으로 세포 독성 실험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β-cell 인슐린 분비 실험을 통하여 항당뇨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당뇨 유발쥐를 이용한 인슐린 분비 실험, 체중변화 측정, 혈중 및 혈청의 glucose 농도, 총콜레스테롤 수치, HDL-cholesterol 농도, triglyceride 농도, free fatty acid 농도, langerhans islet에서의 인슐린 분비의 확인을 통해 혈당조절 효과를 비교하였다. 물 혹은 에탄올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나 70%, 9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 보다 열수로 먼저 추출한 후 에탄올로 다시 추출하여 혼합안 추출물이 항당뇨 효과가 더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친수성(hydrophilic) 유효성분들과 소수성(hydrophobic) 유효성분들의 추출 유무나 함량에 의한 것이다. 특히, 많은 문헌에 언급된 코로소린산이라는 단일 성분(unique)에 의한 항당뇨 효과라기보다는 친수성 및 소수성 폴리페놀 및 항산화성분과 같은 유효성분들이 조합되어(mixture) 항당뇨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antidiabetic effects of banaba extracts with variety solvents selectivity in vitro and in vivo. Banaba extracts were prepared with water, 70% ethanol, 90% ethanol, 100% ethanol and water-ethanol that of extract twice times sequentially water and ethanol. Cell toxicity and insulin secretion of banaba extracts was tested by MTT (3-[4,5-dimet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on hamster insulinoma cell line, HIT-T15. Also we tested that insulin, body weight,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in streptozotocin diabetic rats. Water-ethanol extract has remarkable antidiabetic effect compare with the other banaba extracts. For water-ethanol extract has both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antidiabetic materials from banaba. Expecially, corosolic acid, as known as unique polyphenol, has antidiabetic effect studied by many researchers till nowadays. But corosolic acid does not solve in water. Otherwise, we suggest that banaba extract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materials (polyphenol and antioxidants) mixture more increased antidiabetic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