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증상과 인지기능:6개월 개월 추적연구

        김철권,김성환,최병무,Kim, Chul-Kwon,Kim, Seong-Hwan,Choe, Byeong-Moo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목 적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의 호전이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증상의 호전이 예상되는 활성기 정신분열병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입원 직후에 증상과 인지기능을 측정하고 6개월 약물치료 후 증상과 인지기능을 재차 측정하여 두 영역에서의 변화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 약물치료에 의해 인지기능이 어느 수준까지 호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이와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 대조군 20명의 인지기능과도 비교하였다. 증상은 PANSS로 평가하였고, 인지기능은 고난도 지속수행검사를 이용한 지속적 주의력,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를 이용한 실행능력, 숫자 주의력을 이용한 주의 집중력, 그리고 레이 청각 언어성 학습검사를 이용한 언어성 기억과 학습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양성증상과 음성증상에서의 호전은 각 인지검사 점수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인지검사 점수의 변화에서 증상의 호전으로 설명될 수 있는 정도는 미미하였다. 또 정신분열병의 활성기에 비하여 6개월 약물치료 때의 관해기때 주의력, 실행능력, 기억력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지만, 나이와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대조군과 비교 시는 여전히 유의한 결손을 보였다. 결 론: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에서 증상과 인지기능이 서로 다른 영역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나아가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 증상의 호전뿐 아니라 인지기능의 호전에도 초점을 두어야 할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ongitudinal changes in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ffect cognitive functioning in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Sixty-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DSM-IV schizophrenia were examined on two occasions over 6 months for symptoms and cognitive changes. Symptoms were measured by PANSS. Cognitive functions were examined for sustained attention, executive function, concentration and atten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using Degraded Stimulu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Digit Span, and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espectively. Twenty control subjects were assessed to compare the cognitive scores of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Results: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ymptoms and all cognitive tests after 6 months treatmen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did not predict improvements in any aspect of cognitive functioning measured. Normal control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on all cognitive tests. The results show no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ymptoms and change in cognition in chronic schizophrenia. Conclusion: We suggest that symptomatic and cognitive impairment may be a distinct construc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o the clinical symptoms of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한국어판 사회기능척도 개발 :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김철권,이지아,Kim, Chul-Kwon,Lee, Ji-Ah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9 생물정신의학 Vol.16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Functioning Scale (KSFS)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KSFS was administered to 90 schizophrenic patients and 80 their parents and 90 normal controls for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 Data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of KSFS. The test-retest reliability, rater vs. self-repor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total scores of KSFS were 0.93, 0.44 and 0.94 respectively. Evidence for discriminant validity of KSFS comes from the results that the mean scores of schizophrenic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Construct validi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7 inter-areas correlations of the KSFS, and all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scores of KSFS and those of SOFAS lend support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is instrument.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and two factors were extracted accounting for 63.7% of the variance. Sensitivity was assessed indirectly via the distribution and range of scores on the SFS. The normal control group showed a distribution around a higher mean with a moderate positive skew. Conclusion : KSFS was found to be a valid, reliable, and sensitive instrument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ocial functioning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정신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입원치료에 대한 만족도 비교

        김철권(Chul Kwon Kim),김규호(Kyu Ho Kim),김성연(Seong Yeon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목 적 정신병원, 종합병원 정신과, 대학병원 정신과의 입원병동에서 퇴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입원치료에 대한 만족 도를 조사함으로써, 정신의료기관의 유형에 따른 차이와 입원치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정신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 정신과 병동에서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23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 도가 입증된 입원서비스 만족척도를 이용하여 입원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입원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점수에서 대학병원 환자군, 종합병원 환자군, 정신병원 환자군 순으로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입원서비스 만족척도의 5개 하위척도 중에서 치료진 태도, 치료의 질, 병동환경, 병동규칙에서는 전체점수와 마찬가지로 대학병원 환자군, 종합병원 환자군, 정신병원 환자군 순으로 만족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접근성/비용 하위척도에서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 나이, 학력, 직업, 월수입, 종교, 결혼상태, 입원유형, 유병기간, 입원횟수, 입원일수가 입원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1개 변수를 입원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점수에 대한 설명변수로 고려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p<.001 이하로 유의하였고(F 9,313 =14.02) 결정계수(R 2 )는 0.29였다. 그리고 p<.05에서 유의한 설명변수들은 정신의료기관 유형, 입원유형, 월수입이었다. 정신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만족도 율이 높은 문항들은 공통적으로 담당의사와 간호사의 태도와 능력에 관한 것이었지 만, 불만족 율이 높은 문항들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정신병원과 종합병원에서는 병동규칙이나 환경에 대한 불만족 율이 높은 반면 대학병원에서는 치료비용과 입퇴원에 대한 치료진의 설명에 대해 불만족 율이 높았다. 결 론 입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대학병원, 종합병원, 정신병원 순이었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정신의료 기관 유형, 입원유형, 월수입이었다. 따라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입원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제입원보다는 자발적 입원을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izophrenic in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tal treatment between the psychiatric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an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in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tal treatment. Methods:A 30-item multidimensional questionnaire tested for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administered to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n=323) discharged from psychiatric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Results:Patients discharged from university hospital were significantly satisfied than those of general and psychiatric hospital in the total scores of service satisfaction scale. Patients with university hospital were significantly satisfied than those of general and psychiatric hospital in the subscales of staff attitude, treatment quality, ward environment, ward polic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ubscale of access/cost between psychiatric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Three variables such as type of hospital, type of admission, monthly income were significant explanation on the satisfaction with inpatient psychiatric services. The common items with high percentage of satisfaction were included the attitude and ability of doctor or nurse in all three type of hospitals. But high percentage dissatisfied for the items were different between psychiatric facilities. Patients discharged from general and psychiatric hospital expressed high dissatisfaction with the ward rule or environment, but those discharged from university hospital expressed high dissatisfaction with treatment cost and the staff's explanation for hospitalization. Staff attitude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in the satisfaction of psychiatric inpatients. Conclusion:Patients discharged from university hospital were significantly satisfied than those of general and psychiatric hospital in the total scores of service satisfaction scale. Type of hospital, type of admission, monthly income were significant explanation variables on the satisfaction with inpatient psychiatric service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psychiatric inpatien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nduce patient to hospitalize voluntarily.

      • KCI등재

        <2046>: 사랑의 진실을 봉인하는 한 남자 이야기

        김철권 ( Kim¸ Chul-kwon ),임진수 ( Lim¸ Jin-so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속 차우의 삶과 그가 쓴 소설 「2046」에서 보여주는 바이링과 징웬, 인조인간 징웬과의 사랑과 욕망을 중심으로 차우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영화에서 차우는 바이링을 욕망하지만 사랑하지 않는다. 대신 징웬은 사랑하지만 욕망하지 않는다. 차우는 육체적인 욕망과 사랑을 분리한다. 육체적인 욕망을 통과해야만 사랑이 일어나는데 그는 욕망이 없는 순수한 사랑이 있다고 생각한다. 차우는 ‘사랑 없는 욕망은 있어도 욕망 없는 사랑은 없다’라는 것을 알지 못하기에 사랑의 실패를 반복한다. 차우에게 사랑은 가질 수 없는 것이고 가지는 것은 욕망이기에 그 두 가지는 결코 양립될 수 없다. 그에게 사랑은 가질 수 없어야 사랑으로 남는 것이고, 사랑에 실패하여야 구멍에 대고 비밀을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랑과 욕망을 분리하는 것, 그것이 바로 차우의 불행이다. 그의 불행은 사랑하는 곳에서 욕망하지 않고, 욕망하는 곳에서 사랑하지 않는 것에서 출발한다. 차우가 영화 속에서 「2046」이라는 소설을 쓰는 이유는 과거의 충족되지 못한 욕망을 글 속의 몽상적 세계에서 충족시키기 위해서다. <2046>에서 차우는 육체적인 사랑을 하며 방황하지만 「2046」이라는 소설에서는 과거의 이루지 못한 사랑의 충족을 꿈꾼다. 차우는 소설 「2046」을 통해 계속 미래를 꿈꾸고 그가 찾아가는 곳도 2046이라는 미래인데, 역설적으로 미래를 꿈꾸면 꿈꿀수록 그는 자꾸만 과거의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간다. 결국 차우가 꿈꾸는 미래는 그의 과거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런 점에서 2046은 과거, 현재, 미래 모두에서 사랑에 실패하는 공간이며, 실패한 사랑에서 벗어날 수 없는 기억의 장소이다. 2046은 상처받은 사랑을 봉인하는 장소이면서 동시에 시간을 관통하는 ‘파괴할 수 없는 욕망’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u’s psychology focusing on love and desire in his relationship among Bailing, Jingwen, and robot Jingwen that is shown in Chau’s life in the film 2046(hereafter shown as <2046>) and in the novel 2046(hereafter shown as 「2046」) which is written in the film. In the film, Chau desires Bailing but doesn’t love her. Instead he loves Jingwen, but doesn’t desire her this time. He separates love from desire. He thinks a pure love without desire is possible although sexual desire is indispensable for love. He doesn’t know that ‘there is desire without love, but there is no love without desire.’ He repeats the failure of love, not knowing love cannot be possible without desire. For him, love is something impossible to get and desire is to have. Love and desire are incompatible to him. So love remains itself only when he cannot have it, and only when he fails in love can he tell a secret into the hole. Separating love from desire, that is Chau’s misfortune. His misfortune comes from the fact that he doesn’t desire whom he loves and doesn’t love whom he desires. That’s why he writes the novel 「2046」 to satisfy the desire unfulfilled in the past through his fantasy in his writing. In the film <2046>, Chau wanders while making physical love, but he dreams of satisfying the unfulfilled love of the past in the novel 「2046」. He continues to dream of the future through the novel, and the place called 2046 he visits in 「2046」 is also the future. Paradoxically, the more he dreams of the future, the more he finds lost memories of the past. In the end, the future that he dreams of is created by his past. In this regard, 2046 is a space where love fail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s a place of memory where one cannot escape from the failed love. 2046 is a place where sorrowful love is sealed, and an ‘indestructible desire’ that penetrat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KCI등재

        〈하얀 리본〉: 진실은 우물 속에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김철권(Kim, Chulkw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2 씨네포럼 Vol.- No.41

        〈하얀 리본〉은 마치 우리가 자면서 꾸는 꿈의 형성 기법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억압된 것의 회귀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영화에서의 사건으로, 사건은 우리가 꾸는 꿈-내용(꿈)에 해당된다. 반면 사건을 야기하는 원인으로서의 진실, 혹은 억압된 것은 꿈-사고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그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변형 왜곡되어 표출된다. 이때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기법이 압축과 이동이다. 〈하얀 리본〉에서는 꿈-내용(꿈)에 해당하는 사건을 보여줄 때 꿈-내용(꿈)의 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전인 압축과 이동 작용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하얀 리본〉은 사실주의 기법을 적용한 영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감독이 꿈에서의 심리적 검열자인 자아처럼 압축과 이동 기제를 사용하여 시퀀스와 시퀀스 사이를 생략하고 건너뛰고 삽입하고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만들고 복선을 깔고 암시를 주는 방식으로 모든 사람이 범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그 누구도 범인이 아니라는 식으로 영화를 끌고 간다. 영화 속의 사건들은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것이 회귀한 것이다. 감독은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해 억압된 것을 보여주는데 그 과정에서 이동과 압축을 통해 변형 왜곡된 형태로 보여준다. 그래서 관객은 억압된 것의 본래 모습을 선명하게 알 수 없고 단지 어렴풋하게 짐작만 할 뿐이다. 감독은 영화에 내레이터를 도입하고 사건의 원인을 밝히기 어렵게 만드는 꿈의 형성 기법을 통해 진실은 결코 완전히 밝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가 사건의 진실을 추적하는 내용이라면, 그 진실의 모든 것은 감독이 짜놓은 진실의 각본이다. 진실이 미궁에 빠지는 것은,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지 않는 것은 감독의 촬영과 편집 기법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하얀 리본〉은 꿈의 형성에 작용하는 압축과 이동 기제를 통해 진실의 속성인 반쯤 드러나기를 잘 보여준다. 영화에서 감독은 마치 범인이 범죄를 숨기고 위장하는 방식을 그대로 쓰고 있다. 결국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진실은 부분적으로만 모습을 드러날 뿐 끝끝내 완전히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실은 우물에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이것을 영화 속의 사건에 적용하면, 사회적 보편적 억압의 진실은 사건 밖으로 몸을 반쯤만 드러내고, 영화에 적용하면 영화의 진실은 영화 밖으로 몸을 반쯤만 드러낸다. 그것이 곧 진실의 진실임을 감독은 〈하얀 리본〉에서 보여주고 있다. 〈White Ribbon〉 is a film made by the technique of dream formation which acts on our dreams. The incidents in the film correspond to the returning of the repressed, and the contents of our dream. On the contrary, the truth or the repressed as a cause which gives rise to incidents corresponds to dream-thought. It is not revealed itself as it is, but expressed into incidents in a modified form. In the film,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are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s for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In 〈White Ribbon〉, when incidents corresponding to dream-content (dream) appear, they characteristically show the mechanisms of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that ar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orming dream-content (dream). 〈White Ribbon〉 seems realistic and concrete like films with realism. In fact, the director, like the psychological censor in dreams, the omits, skips, inserts, blurs scenes deliberately, obfuscates the meanings, and indicates something beforehand in sequences, using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mechanisms. As a result, the movie unfolds in such a way that everyone can be the culprit and no one is the culprit at the same time. Incidents in the film correspond to the thing that has been repressed unconsciously and returned. The director shows the repressed in a transformed and distorted form using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in various incidents. Therefore, the audience can not clearly see the original appearance of what is repressed, but only guess it vaguely. The director shows that the truth never reveals itself completely, introducing narration and using dream-formation techniqu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incidents. If this film is about chasing the truth of incidents, everything about it is a script of the truth that the director has woven. The truth falls into mystery and the whole story of incidents does not reveal itself because of the director"s filming and editing techniques. 〈White Ribbon〉 shows the trait of truth, revealing its body only part by part, through the mechanism of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that act on dream-formation. The director produces the film in the same way criminals hide and disguise the crime. In conclusion, what the director intends to tell is that the truth only appears partially, but not reveals itself completely. The truth reveals its body only half out of the well. When this is applied to incidents in the film, the truth of universal, social oppression reveals its body only half out of the event, and when applied to the film itself, the truth of the film reveals its body half out of the film. The director shows it is the truth of truth in 〈White Ribbon〉.

      • KCI등재

        게이와 레즈비언을 다룬 영화가 의과대학생의 동성애와 동성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철권(Kim, Chul Kwon) 한국영화학회 2013 영화연구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ange in the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about homosexuality and same-sex marriage and the lasting of such change over time, after showing a film featuring gay men and lesbians. A film featuring a gay medical doctor and a lesbian medical doctor, ‘Two weddings and a funeral’, was shown to 45 students who are in their third year of medicine at Dong-A university. Th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ree rounds of scales (before the film, right after the film and after 3 month) consist of 20 questions on attitudes toward lesbians and gay men, and 17 questions on attitudes toward same-sex marriag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cale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the attitudes toward lesbians and gay men and same-sex marriage showed a positive change after the film.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consistent after 3 mon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ilm featuring the minority such as homosexuals can be effective tools, as they can change the prejudice and biased attitudes toward them.

      • KCI등재

        <송곳니>: 상징적 거세의 우화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6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언어에 초점을 두고 <송곳니>를 분석하는 것이다. <송곳니>는 아버지의 독재와 자식들의 저항보다는 근본적으로 언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영화다. 영화에서는 담장을 경계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세계로 나누어져 있다. 그것을 나누는 기준은 이름이다. 담장 안에서 생활하는 가족 구성원들은 모두 이름이 없다. 아버지만 이름을 가지고 바깥세상과 집을 왔다 갔다 한다. 아들의 섹스 파트너 역할을 하기 위해 담장 밖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크리스티나도 자기 고유의 이름이 있기에 일을 끝낸 후에는 담장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이것은 이름을 가진 자만이 담장 안과 밖의 세상을 오고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태어나자마자 최초로 갖는 것이 이름이고, 이름이라는 최초의 시니피앙을 가지는 것은 그 인간이 상징계로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징계로 진입한다는 것은 상징계의 특징인 차이와 결핍을 받아들인다는 말과 같다. 이름을 가지면 나와 너의 차이가 생긴다. 그런데 가족은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개와 사람 간에 차이가 없어지고 개와 사람이 같은 것이 된다. 그래서 모두 집을 지키는 개가 된다. 담장 안의 세상에서는 잔인하고 공격적이고 난폭한 행동이 난무하고 근친상간이 행해진다. 또 유아적 놀이와 물물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런 점에서 담장 안은 상상계이고 담장 밖은 상징계이며, 담장 밖에서 넘어 오는 고양이나 차에 묻어오는 흙은 상징계로부터 떨어져 나간 찌꺼기, 즉 실재계로 볼 수 있다. 큰딸은 ‘브루스’라는 이름을 스스로 가지게 된 후에는 상징계에 진입하게 된다. 큰딸은 상징계의 주요 특징인 차이를 받아들임으로써 옳고 그름을 인식하게 된다. 또 상징계의 결핍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송곳니를 아령으로 제거하고 담장 밖의 세상으로 탈출을 감행한다. 큰딸이 송곳니를 빼는 행위는 상징계로 들어가기 위한 결핍을 만드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ogtooth> with focusing on languag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film <Dogtooth>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theme of language, rather than the dictatorship of the father and the resistance of his children. In the film, there are two worlds separated by the fence. The criterion for dividing them is the name. All family members living in the fence have no name except father. Only father who has his nam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house and the outside world. Christina who lives out of the fence enters the house to act as his son’s sex partner. She can go out of the fence after she finishes her job because she has her own name. It means only those who have name are permitted to come and go in and out of the fence. When a human is born, he gets his name at the very beginning. Having a name is having the first signifiant. It means he has entered the Symbolic. Entering the Symbolic means accepting the difference and lack that are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ic. Having a name makes a difference between you and me. All family members except father have no names, so they are not different from dogs. They become the same things as dogs. So everyone becomes a dog that keeps the house. Everyone acts like a dog. In the world inside the fence, cruel, aggressive and violent acts are rampant and incestuous sexual acts occur frequently. In addition, infantile plays and barters are carried out. In this regard, the house in the fence is the Imaginary, the outside world of the fence is the Symbolic. The cat and dirts on the car coming in the house from the outside of the fence can be regarded as the Real, the residue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Symbolic. The eldest daughter enters the Symbolic after she has the name ‘Bruce’ herself. She recognizes what is wrong and right by accepting the difference which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Symbolic. By accepting the lack of the Symbolic, she removes her dogtooth with a dumbbell and tries to escape to the world outside the fence. The act of her pulling out her dogtooth is to create a lack to enter the Symbolic.

      • KCI등재후보

        <그녀에게>에서 베니뇨는 왜 알리샤를 강간하는가?

        김철권 ( Kim Chul-kwo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7 아시아영화연구 Vol.10 No.1

        <그녀에게>는 스페인 감독 페드로 알모도바르(Pedro Almodovar)가 2002년에 제작한 영화로 원 제목은 스페인어로 Hable Con Ella, 영어로는 Talk To Her이다. 이 영화에서는 주인공이 4명 등장하는데 남자 주인공은 베니뇨와 마르코이고 여자 주인공은 알리샤와 리디아이다. <그녀에게>는 베니뇨의 시각에서 진행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의 심리분석은 이 영화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그녀에게>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사건은 베니뇨가 알리샤를 강간하는 것이다. 베니뇨는 왜 알리샤를 강간하는가? 사랑하기 때문에 강간하였다는 설명은 너무 단순하다. 게다가 관객들은 베니뇨의 강간에 분노를 느끼지 않는다. 베니뇨의 강간이 <그녀에게>를 이해하는 주요 실마리임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 논문은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니뇨가 알리샤를 강간한 이유를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베니뇨는 어머니와의 병적 애착관계로 인하여 정상적인 발달 단계를 거치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 오이디푸스기에 고착되어 있다. 베니뇨가 알리샤를 강간한 것은 성적 쾌락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녀와 하나가 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베니뇨가 하나가 되고 싶은 사람은 알리샤가 아니라 그의 어머니다. 알리샤는 어머니의 대체에 불과하다. 베니뇨는 알리샤를 최초의 욕망의 대상인 어머니와 혼동하고 있다. 베니뇨의 강간은 어머니와 합체가 되려는 욕망 때문이다. 베니뇨는 어머니의 품속으로, 자궁 속으로 들어가 영원히 하나가 되고 싶은 근친상간적 욕망을 실현하기 위하여 알리샤를 강간한 것이다. 베니뇨는 <그녀에게>에서 여자에서의 결핍의 원인이자 욕망의 대상인 남근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베니뇨는 표면적으로는 어머니와 알리샤를 돌보는 일에 모든 삶을 바치는 남자이지만 정신분석적으로는 여자의 성애물품인 남근으로 환원되는 남자다. 어머니의 욕망의 대상이 되어 어머니에게 결핍된 남근을 어머니에게 제공하다가 어머니가 죽은 후에는 어머니의 대체물인 알리샤의 남근이 되는 남자다. 베니뇨는 어머니의 남근이 되어 어머니와 합체되는 퇴행적 환상에 사로잡혀 기꺼이 죽음을 선택하는 남자다. 그리고 자신은 죽음으로써 알리샤에게는 삶의 욕망인 오르가즘을 제공하는 남자이다. < Talk to her > is a Spanish film directed by Pedro Almodovar in 2002. The original title in Spanish is Hable Con Ella and it is translated as Talk to her in English. There are four main characters in this film: two men are Benigno and Marco, and two women are Alicia and Lydia. As the story is carried out from Benigno’s point of view, psychological analysis of Benigno would be essential in understanding this film. Why does Benigno rape Alicia? This is the most difficult yet critical question need to be asked to understand this film. Saying it is because he loves her would be too simple and superficial. Moreover, the audiences do not feel disturbed by the rape.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focus on the answer to this question even though it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is fil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xplanation to why Benigno rapes Alicia, using Freudian and Lacanian psychoanalyses. During his childhood, Benigno had a pathological attachment to his mother and fails to complete the normal developmental process. He is fixed at Oedipus stage. Benigno rapes Alicia not for sexual pleasure, but for them to become one body. However, whom Benigno truly desires is his mother, not Alicia. Alicia only serves as his mother’s substitute, Benigno confuses Alicia with his mother, the very first object of sexual desire. The rape represents his desire to be with his mother. He rapes Alicia to go back to his mother’s womb and become one flesh, fulfilling his incestuous desire. In Talk to Her, Benigno symbolizes the phallus, the object of desire and the cause of deprivation in women. On the surface Benigno is a dedicated man to his mother and Alicia, but psychoanalytically he represents the phallus which is a fetish of women. He is a man who becomes the subject of his mother's desire and serves her with the phallus that she lacks in, and after her death, he becomes the phallus of Alicia who is mother's substitute. Benigno is a man who is willing to die for his regressive fantasy of being his mother's phallus and coalescing with her. He is a man who provides the orgasm that is the desire of life to Alicia by dying.

      • KCI등재
      • KCI등재

        〈어둠 속의 댄서〉: 일곱 개의 환상과 마지막 앞의 노래에 대하여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둠 속의 댄서>에서 보여주는 셀마의 일곱 가지 환상과 마지막 앞의 노래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정신분석적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영화에서 셀마는 언제나 현실의 소리가 촉발작용을 하여 환상으로 빠져든다. 첫 번째 환상에서는 기계들이 덜컹거리는 소리가 셀마에게는 음악의 리듬으로 들리면서 기계음이 노동요(勞動謠)로 승화된다. 두 번째 환상에서는 셀마가 환상을 통해 어떤 한계도 없이 모든 것을 무궁무진하게 볼 수 있고 더 풍요롭게 상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 환상에서는 빌과 그의 아내 린다, 그리고 셀마의 아들인 진이 등장하여 셀마를 위로해주고 셀마가 그들로부터 듣고 싶어하는 말을 그들이 해준다. 셀마가 자기 자신의 욕망의 메시지를 타자로부터 거꾸로 된 환상의 형태로 되돌려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눈물 한 방울이 떨어지는 시간. 심장이 한 번 뛰는 시간. 뱀이 허물을 벗는 시간. 장미에 가시가 돋는 시간’이라는 가사를 통해 빌을 죽인 셀마 자신을 용서하는 심리 단계를 4단계로 표현한다. 네 번째 환상에서는 자신이 뮤지컬에 빠져드는 이유는 뮤지컬 속에 자신을 매혹시키는 그 누군가가 있다고 노래한다. 다섯 번째 환상에서는 법정에서 환상속의 올드리치 노비에와 함께 노래와 춤을 춘다. 환상 속의 올드리치 노비는 셀마의 뮤지컬 속에 있으면서 그녀를 매혹시키는 그 누군가에 가장 가까운 환상적 대상이다. 여섯 번째 환상에서는 셀마가 수감된 감옥의 감방에서 자신이 그리워하는 따뜻한 체코의 고향 집 풍경이 그려진다. 일곱 번째 환상은 교도관 브렌다의 도움을 받아 사형집행장까지의 107걸음이 107 걸음 행진곡으로 전환된다. 셀마가 죽기 직전에 부르는 노래는 죽음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하는 노래다. 셀마가 부르는 마지막 노래는 셀마에서 진으로, 그리고 진에서 그의 자식으로 이어지는 생명과 사랑의 사슬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셀마가 죽기 전에 부르는 마지막 앞의 노래는 ‘백조의 노래’가 된다. <어둠 속의 댄서>는 현실의 고단한 삶을 벗어나기 위해 뮤지컬 형식의 환상에 의존하는 셀마라는 이름의 한 여인을 통해 환상의 힘이 얼마나 큰지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녀가 꿈꾸는 일곱 개의 환상은 공통적으로 고통스러운 현실로부터 벗어나려는 동일한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셀마는 환상을 통해 삶의 고통을 극복하고 뮤지컬의 환상을 꿈꾸면서 승화의 길로 나아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ven fantasies and the second to last song in 〈A dancer in the dark〉. In the film, noises work as a trigger when Selma indulges in her fantasy. In the first fantasy, the clatter of machines which sounds like a rhythm of music for Selma is sublimated into a labor song. In the second fantasy, it is shown that Selma can see anything that she wants to see through fantasy and imagine what she sees more abundantly, without any limitations. In other words, her desire to be able to see is revealed. In the third fantasy, Bill, his wife, and Jin who is Selma’s son appear and each of them consoles Selma. They tell Selma what she wants to hear from them. It means that she gets back the message of her own desire from others in the inverted form in her fantasy. It is evident in her songs that she forgives herself for killing Bill. Her psychology is expressed in four stages through beautiful lyrics, which are ‘Time for a Tear to Drop’, ‘Time for Your Heart to Beat Once’, ‘Time for Roses to Get Thorns’ ‘Time for a Snake to Shed its Skin.’ In the fourth fantasy,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someone who fascinates her in the musical-style fantasy and that it is the reason why she indulges herself in musical. In the fifth fantasy, she sings and dances with Oldrich Novi whom she imagines wonderful in her fantasy. Oldrich Novi in her fantasy is an object who is the closest to the one who fascinates her in her psychological world. In the sixth fantasy, the scenery of Selma’s hometown in the Czech Republic is warmly depicted which she misses most while in prison. In the seventh fantasy, the 107 steps toward the execution ground turn into a march song while Selma walks with the help of a prison guard, Branda. Selma sings a song right before her death, in which the suffering of death is sublimated into art. The last song Selma sings plays a role as a chain of life and love which is supposed to be connected from Selma to Jin, from Jin to his offspring. The song right before the last song which Selma sings becomes ‘a swan song’. The film 〈a dancer in the dark〉 vividly shows how great the power of fantasy is through a woman named Selma, who relies on musical-style fantasies in order to endure her harsh life of reality. The seven fantasies which she dreams reveal her desire of avoiding painful life in common. She overcomes the pain of life and moves on to sublimation through musicals in fanta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