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발화 차이

        김진실(Kim, Jinsil),정렬(Kim, Jeong-ryeol)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4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1 No.2

        It's long been noted that a serious discrepancy exists betwee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an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 teacher tal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s. To this end, thre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and three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re tape-recorded, and their teacher utterances are analyzed according to forms of utterances, functions of utterances and language types. The result shows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use significantly more command forms and feedback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hile they use significantly more non-class related utterance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utter class-related managerial and disciplinary categories significantly more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hile they do miscellaneous categories significantly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languages teachers use in the classro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aks English significantly more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use plain Korean to individual students while using formal Korean to the whole class. Middle school teachers tend to use formal Korean irrespective of whole group, small group and individual students.

      • KCI등재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공동거주제 이용여부의 조절효과 검증

        김진실(Kim, Jinsil),이현주(Lee, Hyunjoo),박소정(Park, Soj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화의 생태학적 이론(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에 기반하여 노년기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공동거주제 이용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5개 지역과 경상남도 2개 지역, 총 62개소의 공동거주제를 이용하는 여성독거노인과 동일 지역의 비이용 여성독거노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32명 중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통계적 동질성이 확보된 이용노인 119명과 비이용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될수록 삶의 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둘째, 공동거주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공동거주제를 이용할 경우 전반적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거주제를 이용할 경우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농촌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주거 대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rawing on 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ealth status of older women in rural area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s of living in communal homes. Data came from the sample of residents in 5 regions of Gyeongsangbuk-do, 2 regions of Gyeongsangnam-do, and 62 communal homes and their peers in the conventional homes. Propensity score analysis was used to construct the comparison group, using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as matching variables. As a result, 238 (living in communal homes group=119, control group=119) piece of data were selected,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 1) those who needed more assistance wit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had a lower life satisfaction score, 2) the residents in communal homes reported a higher life satisfaction score compared to their peers in conventional homes, and 3)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assistance with IADL and life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living in communal homes.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housing alternatives such as communal homes to promote successful aging in place among older women in rural areas.

      • 비 치료 목적 유전자 편집 기술이 가지는 윤리적 함의와 유전자 조작 사회에 대한 고찰 ― 위르겐 하버마스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 그리고 영화 《가타카》를 중심으로 ―

        김진실 ( Jinsil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20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11 No.1

        가까운 미래 유전공학의 발전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특히 인간 대상 비 치료적 유전자 편집 기술의 사용에 대하여 위르겐 하버마스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살펴본다. 하버마스는 우리가 자기 삶의 단독 저자로서 온전한 책임을 지는 본질적으로 평등한 인격체이어야 하고, 비 치료적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탄생한 인간은 더 이상 스스로를 자신들의 고유한 삶의 역사의 유일한 저자로서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샌델은 우리의 주어진 삶을 선물로 이해하고, 우리는 이에 대하여 어떠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하여 감사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이 삶을 우리가 속한 공동체와 공유해 나아가는 것을 일종의 의무로 보았다. 하버마스와 샌델의 논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을 허용한다면 비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을 막을 근거가 부족해진다는 점이다. 둘째,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과 비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을 명확하게 구분 짓는다는 전제 하에 이루어진 하버마스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는 불충분하다.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에 대하여는 샌델의 비판대로 자연적인 출생 또한 자율성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샌델의 선물 논변 또한 유전적 조작을 통해서 태어난 삶을 선물로 여기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생명의 가치는 출생의 과정과 무관하게 동일하고 무한하다는 점이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태어난 인간도 모두 똑같은 인간이고 인간은 모두 동일하고 무한한 생명의 가치를 가진다. 영화 《가타카》는 가까운 미래의 유전자 조작 사회에 대하여 유전자가 말해주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보여준다. 어떠한 출생의 과정을 거치든, 그 결과가 어떻든 인간의 생명은 모두 고귀하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남들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졌다고 하여 그 사람의 인생이 고귀한 것이 아니고, 유전자 편집을 거치지 않은 채 자연적으로 우수하게 태어났다고 하여 그 사람의 인생이 고귀한 것도 아니다. 인간의 생명은 모두 동일하게 고귀하고 이러한 고귀함은 자신에게 달려있다. We look at the discussion of Jürgen Habermas and Michael Sandel on the use of non-therapeutic genetic editing techniques, especially for human embryo, which may occur with the development of genetic engineering, in the near future. Habermas said that a human being must be an essentially equal personality with full accountability as the sole author of his life, and someone who are born through non-therapeutic genetic editing techniques will no longer understand themselves as the only author of his own history of life. Sandel understands our life as a gift and we can not assert any rights to it, but we should appreciate it and see it as an obligation to share this life with our communities. Discussions of Habermas and Sandel encounter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f it permits the editing of a gene for therapeutic purposes, there is a lack of bases to stop the non-therapeutic gene editing. Second, the discussion of Habermas and Michael Sandel on the premis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rapeutic gene editing and non-therapeutic gene editing is clearly distinguished is insufficient. As for Habermas' autonomy argument, natural birth is not autonomous, too as Sandel's criticism. Sandel's gift statement also does not guarantee that someone will not consider his life born through genetic manipulation as a gift. Finally, the value of human life is all same and infinite regardless of the process of birth. All human beings born through genetic manipulations or not are all same human being, and all human being life have all same and infinite value. The film 《Gattaca》 shows that the gene is not all about. Whatever the process of birth, whatever the outcome, human life is all noble. It is not that the person's life is noble even if he has superior ability than other people through genetic manipulation, while it is not that the life of a person is noble because he was born excellently in nature without going through genetic editing, too All human life is equally noble and this nobleness depends on oneself.

      • KCI등재
      • ESG의 거버넌스와 복수의결권주식제도 ― Ben & Jerry’s Case ―

        김진실 ( Jinsil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연세법현논총 Vol.1 No.2

        본고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는 ESG와 복수의결권주식제도 사이의 관계를 풀어 내기 위해서 거버넌스가 기업의 환경정책과 사회활동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 그리고 과연 바람직한, 올바른, 투명하고 건전한 등 지배구조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복수의결권주식제도와 관련지어 탐구해 본다. 미국 아이스크림 제조 회사인 Ben & Jerry's Homemade, Inc.(벤앤제리스)는 세계적으로도 가장 진보적이고 이해관계자를 중시하며 환경과 사회가치를 실현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평가받는 회사다. 벤앤제리스는 1978년 창업한 이래로 꾸준히 실천해온 위와 같은 활동을 2000년 다국적 거대 기업인 유니레버에 인수된 이후에도 변함없이 실현할 수 있었다. 이는 벤앤제리스와 유니레버가 체결한 독립 이사회의 운영이라는 특수한 계약 조건에 기인하는 바가 크지만, 벤앤제리스가 인수되기 전부터 복수의결권주식제도를 통해 벤과 제리를 비롯한 초기 경영진들이 의결권을 확보하여 초심을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결과이기도 하다. 다만, 위와 같이 복수의결권주식제도를 통해서 소수의 경영진들이 장기간 경영권을 독점하는 지배구조가 바람직한 지배구조로 평가받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ESG 경영을 실천하는 데에 있어서 경영진의 의사결정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실제로 벤앤제리스가 현재까지도 충실하게 환경과 사회가치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복수의결권주식제도를 통하여 기업의 경영철학을 유지하고, 환경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도 있다는 점은 눈여겨볼 가치가 있다. ESG 경영을 위한 회사지배구조에 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회사법이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unravels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nd the dual-class shares, whether governance can affect corporate environmental and social activity policies and what a desirable, correct, transparent, and healthy governance structure means. Ben & Jerry's Homemade, Inc., an American ice cream maker, is considered the world's most progressive, stakeholder-oriented, and the leader in practicing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Ben & Jerry's has been able to perform its originated activities since its foundation in 1978, even after being acquired by Unilever, a multinational giant, in 2000. This is largely due to the special terms of the operation of an independent board of directors signed by Ben & Jerry's and Unilever, but it was also the result of early management, including Ben and Jerry, securing voting rights through the dual-class shares system before Ben & Jerry's was acquired.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for a small number of executives to monopolize management rights for a long time through the dual-class shares system as described above to be evaluated as a desirable governance structure. However, management's decision-making is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acticing ESG management, and it is true that Ben & Jerry's is faithfully continuing its activities for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to this day. It is worth noting that it may maintain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a company through the dual-class shares system and grow into a company that can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and society. I think it is a near future task to consider this aspect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also, in the face of ongoing discussions on corporate governance for ESG management in the Corporate Law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