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지와 비가림 하우스 재배에 따른 블루베리 ‘Northland’ 품종의 생육 및 과실 특성 분석
김진국(Jin Gook Kim),조정건(Jung Gun Jo),김홍림(Hong Lim Kim),류명상(Myung Sang Ryou),김정배(Jung Bae Kim),황해성(Hae Song Hwang),황용수(Yong Soo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4
노지 포장과 비가림 하우스 시설내의 지상 및 지중부 온도와 광합성 유효광량자속 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조건이 블루베리 ‘Northland’ 품종의 수체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과실 생장은 비가림 하우스 재배에서 촉진되어 조기수확 및 수확기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상 및 지중부 온도, PPFD가 블루베리 과실의 과립중과 과실크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완숙기 과실에서 노지 포장에서 높았고, 산함량은 비가림 하우스의 과실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온도와 PPFD가 과실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완숙 과실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비가림 하우스의 과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기능성 성분인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도는 과실 발육기간 동안은 노지 재배 과실에서 높았으나, 완숙 과실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microclimates such as air and soil temperatur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on the berry development and physiological property between cultivation conditions (open field and rain shelter house) in ‘Northland’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The rate of berry growth and development was stimulated in plants grown in rain shelter house, thus, berry reached to the ripe stage about one week earlier than those in open field. Berry weight and size at ripe stage seemed not affected by microclimates. However, total soluble solids content was higher in berries from open field whereas the titratable acid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erries grown in rain shelter house. Berry firmness at ripe stage was little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 Total anthocyanin content of ripe berries was higher in berries harvested from rain shelter house. Total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berries were higher in open field than those of rain shelter house during berry development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at ripe berries.
배학근,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김진국,Bae, Hack-Gun,Yang, Nam-Gil,Ahn, E-Tay,Ko, Jeong-Sik,Park, Kyung-Ho,Kim, Jin-Gook 한국현미경학회 1992 Applied microscopy Vol.22 No.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cute irradiation effects on the substantia nigra of head-irradiated rats were carried out. Rats anesthetized with sodium thiopental, were exposed only on their head areas with a single dose of 3,000 rads or 6,000 rad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roduced by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at the speed of 200 rads/min. Aminals were sacrificed on 6 hours, 2 days and 6 days following irradiations. By the perfusion fixation through the heart, rats were fixed with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Two hours later, brains were exposed and immersed in the same fixatives over night. Tissue blocks from subtantia nigra were punched out, and they were refixed in the 2% osmium tetroxide solution. Blocks were dehydrated through alcohol series, and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s, From the ultrastructural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made: 1. Six hours after irradiation, severe depletion of synaptic vesicles was occurred in the many axon terminals of the nigral neuropil. 2. Dramatical decrease of lysosomes and dense granules was observed. 3. Two days following irradiation, alterations of ribosomes,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mitochondria, etc, were noticed. 4. Many of the malformations were seen to be repaired on the 6th day. 5. Abov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follows. At the acute stage of heavy irradiation, neurotransmitters in the substantia nigra are released severely. But they are recovered within 6 days. It is concluded that acute head-irradiation may result severe disturbance of nigral motor control function during the first few days.
VNIR 초분광 분석을 이용한 복숭아 ‘마도카’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예측
장경은(Kyeong Eun Jang),김경호(Gyeong Ho Kim),김민화(Minhwa Kim),박정인(Jung In Park),이은진(Eun Jin Lee),신해인(Hae In Shin),한가람(Ga Ram Han),이근재(Geun Jae Lee),조정건(Jung Gun Cho),정재훈(Jae Hoon Jeong),이슬기(Seul Ki Lee),김진국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지구온난화 및 병충해 발생 증가 등의 환경적인 요인은 안정적인 과실생산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많은 과수 작물 중에서도 복숭아는 숙기 예측이 어렵고 쉽게 물러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자연재해에 약하며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해 개화기와 수확기의 예측이 어려워지면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받고 있다. 최근 농업 현장에서는 비파괴 센싱 기술 중에서도 초분광 영상 기술을 과실 생육 과정에 활용하여 수확 적기와 품질 예측을 통해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복숭아 ‘마도카’ 과실의 수확기를 예측하고 수확 후 생육특징과 초분광 영상과의 상관관계와 그에 따른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초분광영상 취득은 SPECIM-IQ(SPECIM, SPECTRAL IMAGING LTD., Oulu, Finland)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수확 시기별 과실 30개씩을 7월 13일부터 3 ~ 5일 간격으로 6번 수확 후 180개 복숭아 과실에 대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복숭아 ‘마도카’를 필드, 마도카 전체 과실, 마도카 정중앙 과실의 과피와 과육 부분의 초분광 영상 스펙트럼(400 ‒ 1000nm)을 수집하고 영상을 분석한 결과, Core 과피 가용성 고형물 함량 예측 모델의 정밀도는 전처리하지 않은 경우 R² = 0.74, 평활화처리, 1차 미분, 2차 미분시 정밀도는 R² = 0.56 ~ 0.88로 나타났다. 복숭아 Core 과피의 고형물 함량 모델의 validation 결과, 전처리 전의 정밀도는 R² = 0.96을 보였고, 평활화처리, 1차 미분, 2차 미분시 예측 정밀도는 R² = 0.93 ~ 0.97의 예측성능을 보였다. 복숭아 과실 전체의 고형물 함량에 대한 모델은 전처리 전의 정밀도는 R² = 0.65를 보였고, 평활화, 1차 미분, 2차 미분시 예측 정밀도는 R2 = 0.73 ~ 0.88의 예측성능을 보였다. 복숭아 과실 전체의 고형물 함량 모델의 validation 결과, 전처리 전의 정밀도는 R² = 0.96을 보였고, 평활화, 1차미분, 2차 미분시 예측 정밀도는 R² = 0.97 ~ 0.98의 예측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VNIR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복숭아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복숭아 숙도 선정에 필요한 다양한 수확 지표들에 대한 초분광 영상 적용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재석 ( Jae Seok Choi ),장영수 ( Young Su Jang ),이광열 ( Kwang Yeol Lee ),김진국 ( Jin Gun Kim ),권오길 ( Oh Kil Kwon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2 No.1
2002년 12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충 12과 45종이었다. 한국고유종은 H. mylodon, A. yamatsutae, C. herzi 등 15종 (33.33%)이었다. 우점종은 Z. platypus(72.41%), 아우점종은 H. labeo (9.75%)였고 우세종은 O. uncirostris amurensis(5.98%), Z. temmincki(2.42%), R. brunneus(2.01%), H. olidus(0.88%) 등 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z. platypus 82,863.15g, H. labeo 32,942.63g, O. uncirostris amurensis 27,482.39g, C. carpio 6,502.87g, A. Jαponica 3,022.15g, S. scherzeri 2,711.05g의 순으로 나타났다. 파로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A. 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 C. carpio(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의 10종이었다. 이 중 C. carpio(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odes, L. macrochirus는 국외종이며 A. 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The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ro, Korea, was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02 to september 2003. During the surveyed period 45 species belonging 12 families were collected. There were 15 Korean endemic species 33.33%, including Hemibarbus mylodon, Acheilognathus yamatsutae and Coreoperca herzi. 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72.41%)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Hemibarbus labeo (9.75%). Also,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5.98%), Zacco temmincki (2.42%), Rhinogobius brunneus (2.01%) and Hypomesus olidus (0.88%) were numerous. The biomass of collected fishes were Zacco platypus (82,863.15g), Hemibarbus labeo (32,942.63g),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27,482.39g), Cyprinus carpio (6,502.87g), Anguilla japonica (3,022.15g) and Siniperca scherzeri (2,711.05g). Of the 10 introduced fishes in Lake Faro Cyprinus carpio (Israeli type),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were originated form foreign countries but Anguilla japonica, Hemiculter eigenmanni, Hypomesus olidus, Oncorhynchus masou masou, Chaenogobius urotaenius, Rhinogobiusgiurinu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rive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