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해모니터링 능력

        김정미,Kim Jung-Mee 대한음성학회 2004 말소리 Vol.51 No.-

        Comprehension monitoring is a process of message evaluation and a very important skill of communication. Comprehension monitoring is a necessary language skill in classroom, as it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assess their own understanding of task instructions and teaching cont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mprehension monitoring skill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compared to age-matched children and language-matched children. 18 vignettes and 6 displays were constructed.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one object or 'DK' card from a display after the children listened to the vignette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LI didn't have problem in comprehending unambiguous utterance and using prior statement. However, they had problem in monitoring comprehending ambiguous utterance compared age-matched children. Their performance were similar to language matched younger children. With respect to their performance,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화용적 이해

        김정미(Jung-Mee Kim),김영태(Young-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을 대상으로 생활연령이 일치된 일반아동 20명과 언어능력이 일치된 일반아동 20명을 비교하여 정보가 완전한 발화, 언어적 공존에 의한 상호지식을 이용해야 하는 발화 및 공동체멤버쉽에 의한 상호지식을 이용해야 하는 발화의 이해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 조건 당 6개 씩 총 18개의 문단과제와 12개의 그림판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정보가 완전한 발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생활연령일치 집단의 아동들보다 열등한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능력 일치집단의 아동들과는 유사한 수행을 나타냈다; (2) 언어적 공존의 상호지식을 이용해야하는 발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생활연령일치집단의 아동들 뿐 아니라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열등한 수행을 보였다; (3) 공동체멤버쉽의 상호지식을 이용해야하는 발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생활연령일치집단의 아동들보다 열등한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과는 유사한 수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단순언어장애아동의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r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ith respect to comprehending informative utterances, and using common ground in comprehending ambiguous utterances. The study subjects were 20 children with SLI, 20 chronologically age(CA) matched children, and 20 language ability(LA) matched children. Twenty-four short vignettes, which included a speaker, a listener, three or four sentences of context and a referential utterance by the speaker to the listener about one of the objects in the display, were constructed. After the children listened to the vignettes, each accompanied by a set of six pictures of objects randomly placed with varying details, they were asked to choose the matching object. Children with SLI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CA matched children, but similar to LA matched children, in comprehending informative utterances. Children with SLI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both other groups in using the common ground based on linguistic co-presence. However, in using the common ground based on community membership, children with SLI and LA matche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CA matched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ldren with SLI extend beyond their linguistic problems. They further suggest that children with SLI use different strategies than normal children in dealing with comprehension problems.

      • KCI등재

        Expressive Elaboration in Personal Narratives and Fictional Narrative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김정미(Jung M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1

        배경 및 목적: 이야기는 언어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성취이며 학업이나 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유치원 아동과 초등학교 2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경험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에 나타난 표현정교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유치원에 다니는 일반 아동 20명과 초등학교 2학년생 일반 아동 20명, 총 40명에게 개인적 경험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를 수집하였다. 이야기는 구성범주, 배경범주 및 평가범주의 3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표현정교화 점수체계로 분석하여 학년, 이야기 유형 및 하위범주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학년을 집단 간 변수로 하고 이야기 유형과 하위범주를 집단 내 변수로 하여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 이야기 유형 및 하위범주에서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학년과 하위범주 그리고 이야기 유형과 하위범주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의 이야기에 나타난 표현정교화 특성과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expressive elaboration in personal narratives and fictional narratives in typically developing kindergartners and 2nd graders. Methods: Twenty typically developing kindergartners and 2nd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sonal narratives were elicited using conversational map procedures and fictional narratives were elicited using sequential picture tasks. Personal narratives and fictional narratives were scored for 14 elements of expressive elaboration in the categories of appendage, orientation, and evaluation.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grade, type of narrative and categories were analyzed. And children’s performance across 14 elements of personal narratives and fictional narratives were examined. Results: There were main effects of grade, type of narrative, and categories. Second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than kindergartners. Th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personal narratives than fictional narratives. Among the three categories, the children performed better to worse in orientation, evaluation and appendage, respectively. Also, second grader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aluation category compared to other categories. In appendage and orientation, the children’s performances were better in personal narratives, but in evaluation, the children’s performances were better in fictional narrative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expressive elaboration analysis can be an additional method for narrative assessment.

      • KCI등재

        한국어 분석에 적용 가능한 단위 연구: 학령기 아동의 구어자료를 중심으로

        김정미(Jung-Mee Kim),정연주(Yeonju Jeong),신지영(Jiyoung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학령기 아동의 구어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Communication unit (C-unit)은 영어권에서 제안된 것으로 한국어에 적용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C-unit과 절 구분에 대한 정교한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일반 학령기 아동의 이야기 산출 자료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구분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 3학년 및 5학년 일반아동 총 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집한 이야기를 새로운 지침에 근거하여 C-unit과 절을 구분한 후 C-unit당 어절수(MLU-e)와 C-unit당 낱말수(MLU-w)를 비롯하여 C-unit당 종속절의 수를 유형별로 산출하였다. 또한 분석자 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사용 빈도수가 낮은 명사절을 제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모든 측정치가 증가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MLU-e, MLU-w, C-unit당 부사절수, C-unit당 인용절수, C-unit당 종속절수 및 C-unit당 총절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unit 구분 및 절 구분에 대한 분석자 간 일치도를 산출한 결과 각각 93.52%와 95.0%로 매우 높게 나타났 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접속사를 통해 발화를 연결하는 인구어와 달리 주로 어미를 이용하여 발화를 연결하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어에 맞는 C-unit과 절을 구분하는 정교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를 적용한 결과 학령기 아동들의 구문 발달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분석에 대한 높은 신뢰도가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는 새롭게 마련된 분석 지침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구어 분석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The C-unit is a basic unit for school-aged children’s spoken language analysis, and was developed for English speaki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guide for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applicable to Korean and to analyze school-aged children’s narrative and yield the reliability. Methods: A total of 48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 1, 3, an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generate narratives and the narrativ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narratives were analyzed based on a new version of the segmentation guide in the number of eojeol (a Korean morphological unit) and words per C-unit, the number of adnominal clauses, adverbial clauses, nominal clauses and quoted clauses per C-unit and the number of total subordinate clauses and total clauses per C-unit. And interrater agreement was calculated. Results: With the exception of nominal clauses which were infrequently used, all the other measures increased as children moved to higher grades.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grad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ade groups. And interrater agreement of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between the first researcher and the second researcher was 93.52% and 95.0%,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laborate guide for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for Korean can be a useful tool. School-aged children’s syntactic maturity was observed when we applied it to their narratives. And interrater agreement of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was high.

      • KCI등재

        Narrative Macrostructure of School-Aged Children under Different Picture Tasks

        Jung Mee Kim(김정미),Sung Eun Hwang(황성은),Hyo Seon Kim(김효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이야기 평가 시 이야기 과제의 주제와 자극제시방법은 아동이 산출하는 이야기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주제와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1학년, 3학년, 5학년 아동들의 이야기 산출을 비교하고, 세 가지 다른 과제 조건에서 아동들의 이야기 문법 산출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학년, 3학년, 5학년, 총 48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야기 주제에 따른 이야기 산출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상과 상상을 주제로 구성한 한 장 그림을 이용하여 아동들이 꾸며말하기 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극 제시방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 장 그림과 13장짜리 연속그림 과제를 보고 꾸며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아동들의 수행은 이야기 문법 모델을 기반으로 한 루브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년과 이야기 주제와 제시방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년을 피험자 간 변수로 하고, 주제와 자극제시방법을 각각 피험자 내 변수로 한 혼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년과 이야기 주제에 따른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과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각 과제에 따른 이야기 문법 범주의 산출은 대체로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계기사건, 시도, 결과보다 내적반응과 내적계획 및 반응은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이야기 평가 시 대상아동의 학년뿐 아니라 이야기를 유도하는 이야기 그림의 주제와 제시방법에 따라 이야기 산출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ctional narrative macrostructure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across two types of narrative themes (everyday life and fantasy) and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single pictures and picture sequences). Methods: A total of 48 typically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 1, grade 3, and grade 5 produced narratives in response to two kinds of visual conditions: single pictures and picture sequences. The single picture tasks consisted of pictures with two different themes: everyday life and fantasy. The spoken narratives were transcribed and scored according to the rubric using the story grammar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grades and types of narrative themes. Th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fantasy stories than in everyday life stories. Second, there were main effects of grades and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Third, the scores of Initiating events, attempts, and conclu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internal responses, internal plans, and reactions in three different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arrative themes and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the narrative performance of school-aged children.

      • KCI등재

        영유아기 언어장애의 연구동향

        김정미(Jung-Mee Kim),홍경훈(Gyung-Hun H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4

        배경 및 목적: 영유아기 언어장애아동에 대한 조기평가 및 중재는 다른 발달 시기보다 예방적 효과가 크다. 영유아기 언어장애아동에 대한 지원이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반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동언어장애 분야 중에서도 영유아기에 대 한 연구는 다소 부진한 편이다.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언어청각장애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 기 언어장애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영어권의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와 우리나라의 「언어청각장애연구」에 최근 10년 간 발표된 영유아기의 언어장 애 관련 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유형, 독립변인, 종속변인의 유형들을 분석하여 연도별로 유형별 게재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은 일반유아가 가장 많았고, 연구유형은 기 술연구 중 발달과 특성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독립변인 유형 중에서는 연령 · 성별이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 유형에서는 표현언어 중 의미 관련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영어권의 연구 논문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자폐 · 전반적 발달장애, 가족력 그리고 격리(시설) · 입양과 관련된 연구, 실험처치와 중재효과 연구, 가족관련, 인공와우와 관련된 연구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도 표현언어 관련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우리나라의 경우 영유아언어 장애관련 연구논문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또한 연구 영역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에 대한 제안들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Recent legislation for the disabled allowed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o be eligible for free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To establish this program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the basic research regarding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concerning infancy and toddlerhood language impairment,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Methods: Eighty-fiv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and th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from 1999 to 2008 were analyzed. Thes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ubjects/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50% of the research focused o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bout 90%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descriptive studies, while there were relatively few empirical studies. Age and sex were frequently used for independent variables, while expressive language was frequent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Discussion &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overall trends regarding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pertaining to infancy and toddlerhood language impairments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마음이론

        김정미(Jung M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마음이론은 사회인지의 최근 연구주제로 자신과 다른 사람이 각각 독립적인 심적 상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심적 상태를 귀인할 수 있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틀린 믿음과제를 이용하여 단순언어장애아동 16명을 대상으로 마음이론발달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아동 16명과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정상아동 16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그 수행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아동들 뿐 아니라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정상아동들보다 틀린 믿음과제 수행에서 유의하게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기초로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Social cognition means cognition and knowledge about people and their doings. The theory of mind is an emerging research area in social cognition. The ability to understand that a person has a belief that does not match reality and that he or she may act in accordance with that belief is an important milestone of cognitive development. To have a mature theory of mind is to understand that human beings possess mental states which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the reality and which can be used to predict and explain human behaviors. Using false-belief task,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of mind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ere poorer in the ability of theory of mind compared with chronological-age matched children as well as with language-ability matched children.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부의 성격에 관한 연구동향

        김정미 ( Jung Mee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2

        This study searched for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ies spanning a period of 19 years, from 1995 to 2013, in Korea. A total of 49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investigating couples`` persona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grasping how the researches on couples`` personalities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to promote happy marriages, to seek practical solutions to conflicts, and to educate about divorce prevention. Also, the study’s aim was to present base data that are needed for researchers of couples and the field of marital counseling and family coaching. The method of analysis was content analysis, which was typically conducted in literature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f couples`` personalities in terms of prevention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theory, the communication theory and positive psychology. Second, the studies on couples`` personalities in terms of treatment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conflict theory, MBTI and Big Five Model.

      • KCI등재후보

        학령기 아동의 담화쓰기에 나타난 명사 발달

        김정미(Kim Jung-M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학령기 아동기 어휘는 형태적으로 복잡하고 의미적으로 다양하며 추상적인 항목들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명사는 텍스트에서의 정보의 흐름을 관장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담화를 조직하는 데에 결정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 4, 6학년 일반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붉은 캥거루’라는 다큐멘터리를 15분간 보여준 후 설명담화를 쓰게 한 후, 그 자료를 바탕으로 명사밀도 및 명사범주별 사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명사밀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전체명사에서의 각 명사범주비율을 분석한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체명사범주 비율은 낮아지고, 사태명사범주 비율은 높아졌으며 관계명사범주는 학년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명사밀도와 사태명사범주 비율이 학령기 아동의 언어평가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Vocabulary of the school-aged children is morphologically complex and semantically various and abstract. Especially nouns are critical in organizing overall discourse since nouns control the flow of the information in text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un development in school-aged children. Participants were 60 typically developing 2nd, 4th and 6th graders. After watching documentary film, “Red Kangaroo”, they were asked to write down expository texts. The written materials were analyzed in nominal density and percentage of each noun category per total nouns. Results showed that as the children’s grade level increased, nominal density and the percentage of abstract noun were also increased. But the statistical difference were varied according to measurement among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stimates such as the nominal density and percentage of abstract noun per total noun are valid assessment methods.

      • KCI등재

        학령전기 일반아동의 발화유형과 발화 종결기능 어미 사용 특성

        김정미(Jung-Mee Kim),윤미선(Mi-Sun Yoon),김수진(Soo-Jin Kim),장문수(Moon-Soo Chang),차재은(Jaeeun C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3

        배경 및 연구목적: 구어는 문어와 달리 불완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언어병리학에서 구어에 기초한 연구들은 구어의 이러한 특성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자발화에 나타난 발화유형과 발화종결기능 어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동구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세~5세 아동 16명에게서 수집한 자발화를 바탕으로 김수진ㆍ차재은ㆍ오재혁(2011)의 발화유형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종결어미발화, 연결어미발화, 조각발화 및 미완결발화로 분류하고 다시 어순에 따라 정상발화와 도치발화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발화유형과 발화종결 기능 어미는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2세 아동들은 조각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 4, 5세 아동은 종결어미 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4세와 5세 아동들은 종결어미발화, 조각발화, 연결어미발화 및 미완결 발화의 순으로 나타나 성인의 발화유형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발화 종결에 사용한 어미들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유형의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아동들이 산출한 발화유형과 종결기능 어미분석을 통해 구어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발화유형의 비율에는 아동들의 문법능력이 반영되어 있었다. 아동 자발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구어적 특성들은 언어평가와 중재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Spoken language has incomplete structures, and prior studies in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lacking in this area.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types of utterances and examined utterance final functioning endings of typically developing 2- to 5-year-old children. Methods: Six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utterances were recorded in everyday interactional contexts. A total of 3,200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utterance final intonation, final ending, completion for grammar and word order. Results: Results showed the fragment utterance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2-year-old children and utterance type with sentence final ending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other ages. In addition, the types of ending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increas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adults’ utterance types and discussed in a language development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