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임신부 및 융모상피종 환자에 있어서의 세포 매개면역

        김장흡 ( JH Kim ),조봉춘 ( BC Cho ),김진홍 ( CH Kim ),한구택 ( GT Han ),석준호 ( JH Suk ),강홍일 ( HI Kang ),안웅식 ( WS An )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1

        결론 저자들은 초기 임신부와 치료전 상태의 융모상피종 0기 및 I~IV기 환자에 대하여 말초혈액내 임파구 절대수, DNCB 감작에 의한 피부반응 및 임파구 배양에 의한 PHA 반응도 그리고 rosette 형성시험을 통한 T-임파구 절대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비임신 건강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융모상피종의 임상경과 등과 연관지 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기 임산부에 있어서의 임파구 백분율, DNCB 피부반응 및 PHA 자극반응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임파구 절대수와 T-임파구수는 차이가 없었다. 2. 융모상피종 0기 (포상기태)환자에서는 DNCB 피부반응과 PHA 자극반응이 임산부에서와 비슷하게 감소되었으며, 역시 임파구 절대수와 T-임파구수는 변화가 없었다. 포상기태 배출후 15~72시간에 일시적인 PHA 자극반응의 저하가 관찰되었으며, 1년간의 임상 추적증에 면역기능이 낮은 7예에서 악성변화가 발견되 었다. 3. 융모상피종 I∼IV기 환자중, 특히 전이가 진행된 III~IV기 환자에서 임파구 절대수, DNCB피부반응과 PHA 자극에 대한 임파구 분화도 그리고 T-임파구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면역기능이 낮을수록 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이 불량하였다. 4. 말초혈액내 임파구수, DNCB 피부반웅 및 PHA 자극반응 등의 검사방법 사이에는 유의한 비례관계가 있었다. 5. 임산부와 융모상피종 0기 환자에서 임파구배양액에 자가혈청을 가하였을 때 ,H-thymidine uptake치의 감소 현상이 있었으며, 이를 당시의 요중hCG호르몬 농도와 비교하였을때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신부 및 융모상피종 환자에서 세포매개 면역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그 원인은 혈청인자, 특히 hCG흐르몬의 영향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융모상피종 환자의 세포매개 면역은 임상경과 및 화학요법의 치료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ole of the immune system in pregnancy and neoplastic diseases has long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lmmunoregulatory process tolerating the fetus and the trophobl-astic neoplasia, as natural allografts, is not fully understood but usually explained by the suppressed host immunocompetence. Several authors recommended somne humoral factors (serum proteins, immune complex or hormones etc.) as the key depressants affecting the maternal immunologic system.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have a depressed immunological function and in view of the accumulating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immunologic reactivity and prognosis, information of indⅳidual patient on immunocompetence may be of great importance in the clinical evaluation of the cancer patients. In an effort to study the cell-mediated immunity of pregnant women and patients with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ia (GTN), authors employed a battery of lymphocytem- onitoring techniques: absolute lymphocyte counts, DNCB skin testings, PHA-induced ly-mphocyte transformation and T_lymphocyte roset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ealthy nonpregant women, the peripheral lymphocyte count and the T-cell subpopulation were 2,146±813/ui and 83.9±6.2% (1,796 810/ul) respectively. The positⅳe rate of DNCB skin response was 90.0%, and H-thymidine uptake of PHA-stimulated lymphocytes was 126,248±38,038 cpm/2x1,000,000 cells. 2. Women with early gestation revealed the significant decrease in DNCB skin react- ion,H-thymidine uptake of PHA-stimulated lymphocytes and proportion of peripheral lymphocyte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bsolute lymphocyte count and T-cell rosettes as compared with the healthy nonpregnant control. 3. In patients with GTN stage 0(hydatidiform mole) : (1) DNCB skin reactⅳity and PHA-induced lymphocyte transformation were, although not statistically in DNCB test (0.083)

      • KCI등재

        난관폐쇄성 불임증 진단에 있어서 자궁난관 조영법과 복강경검사의 비교관찰

        김장흡(JH Kim),함재홍(JH Ham),박혜동(HD Park),김윤호(YH Kim),송승규(SK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2

        1974년 1월1일부터 1979년 12월31일까지 6년동안 가톨릭의과대학 부속성모병원 불임크리닉 에 등록된 여성불임환자 1857예중 자궁난관조영술과 복강경검사를 모두 시행한 91예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난관의 소통성 또는 폐쇄여부 및 폐쇄부위의 진단에 있어서는 복강경검사와 자궁난관조 영술이 거의 일치된 소견을 보였다. 2. 난관주위의 유착을 동반한 난관폐쇄의 진단에는 복강경검사가 자궁난관조영술 보다 결정 적으로 우월하였다. 3. 난관인자 이외의 불임환자에 있어서는 복강경검사가 난소 및 골반질환 진단에 도움이 됨 에 반하여 자궁난관조영술은 자궁내 질환의 진단에 보다 유용하였다. 4. 자궁난관조영술은 9.1%의 위양성 및 8.0%의 위음성 진단율을 보였다. 5. Buscopan Compositum을 이용한 전처치가 난관폐쇄의 위양성 진단율을 저하시키는데 도움이되었다. In present days, many diagnostic methods and tools are used in research for infertlity, but there is no simple and reliable test for tubal patency. Among them diagnostic reliability of hysterosalpingography (HSG) and laparoscopy is a source of marked controvers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for tubal patency and the site of tubal occlusion, findings of the laparoscopy and HSG agreed with each other. 2. As for the tubal occlusion and/or peritubal adhesions, the use of laparoscopy was definitely superior to HSG. 3. As for the factors other than tubal occlusion and/or peritubal adhesion pelvic and ovarian disease were the most common abnormalities discovered by laparoscopy , whereas all intrauterine factors were easily detectable by HSG. 4. HSG showed false positive results in 8 cases (9.1%) and false negative results in 7cases (8.0%) 5. Premedication with Buscopan Compositum was of benefit in decreasing the incidence of false positive tubal occlusion in HSG.

      • KCI등재

        부인과 악성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Gynaegnost 검사

        고광덕(KD Ko),현병규(BK Hyun),김장흡(JH Kim),안웅식(WS An),남궁성은(SE Namkoo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8 No.12

        생화학적으로 처리된 Gynaegnost라는 탐폰을 이용하여, 분비물내의 LDH 농도를 반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부인과 악성종양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양성종양환자(대조군) 65명, 악성종양환자(검사군) 49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대조군 65명중에서 음성이 60명(92.3%), borderline이 2명(3.0%), 양성이 3명(4.6%)이었으며, 검사군 49명중에서는 양성이 38명(77.6%), borderline이 5명 (10.2%), 음성이 6명(12.2%)으로 borderline까지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87.8%의 양성으로 높은 감수성과 특이성을 보여 악성종양을 확진하긴 어려우나 screening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Gynaegnost is a clinically applicable new diagnostic agent supplied in the from of a specially prepared customary tampon By means of a colour change to blue as a function of the individual concentration it can be serve to detect the free lactate dehydrogenase present in vaginal secretion The latter exhibits markedly increased levels in the case of pathological change such as tumors and/or infection and yielded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ynaegnost test result at early and stag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Gynaegnost can serve as an indicator for early detection or exclusion of grnecological malignancy In 49 patients diagnosed to malignancy pathologically there was obtained with Gynaegnost 38 positive(77.65) 5 (10.2%) borderline 6(12.2%) negative results in 65 patients diagnosed to benign 60(92.3%) negative 2(3.0%) borderline 3(4.6%) posi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permit the conclusion in case of suspected carcinoma Gynagenost can be recommended for early diagnosis in gynecological cancer screening.

      • KCI등재

        산욕기 자궁내번증 12 예

        지용헌(YH Chee),차인종(IJ Cha),김장흡(JH Kim),김도강(D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8 No.4

        Twelve case of acute and subacute puerperal inversion were experienced at St. marys Hospital from 1974 to 1982, are studied to identify important predisposing factors and to assess management.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수술후 감염증 예방에 있어서의 ornidazole 의 투여효과

        이승훈(SH Lee),한상균(SK Han),김장흡(JH Kim),나종구(JG Na),김수평(SP Kim),이헌영(H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3

        1987년 5월1일부터 1987년 8월31일까지 4개월간 가톨릭의과대학 부속성모병원에 수술을 받 기 위하여 입원한 환자중 무작위로 추출한 50명을 대상으로 수술후 감염방법을 위하여 ornidazole 단회 투여법으로 얻은 임상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술후 부작용은 창상감염 및 농양 2예, 자궁내막염 2예, 발열 2예, 요로감염 1예, 기관지 감염 1예등 8예에서 발생하여 16%의 발생율을 보였다. 2. 창상감염 1예와 자궁내막염 1예는 혐기성 및 호기성균 복합감염이었으며 나머지 6예는 모두 호기성균 감염이었다. 3. 수술후 협기성균 감염에 ornidazole 은 96%의 예방효과를 보였고, 혐기성 균주로는 2예에 서 모두 peptostreptococci가 배양되었다. 4. 호기셩균 감염은 ornidazole 단독 투여군에서 3예, ornidazole 과 cephradine동시 투여군에 서 5예가 발생했다. 5. ornidazole 투여에 다른 부작용은 전혀 없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nidazole (a(chloromethryl)-2-methy-5-nitroimidazole-1-ethanol;Tiberal), administered prophylactically against postoperative infections connection with Obsterics and Gynecology surgery. 50 patients aged between 23 and 62 years who had to undergo abdominal surgery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May 1987 to August 1987 were admitted to the study. 25 patients in group A were given at the time of premedication 1 hour before the start of the operation, 1000 mg ornidazole in 500 ml 5% dextrose in water by intravenous infusion. 25 patients in group B were given 1000 mg ornidazole in 500ml 5% dextrose in water by hour before the start of the operation. The two medications were administered seperatively in group B cas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ed in 8 cases (16%); 2 with wound abscess, 2 with endometritis, 2 with fever , 1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nd 1 with pneumonia. 2. 1 case with wound abscess and 1 case with endometriosis were combined anaerobic and aerobic infections and the other 6 cases were all aerobic infections. 3. There was 95% prophylactic value of ornidazole in preventing anaerobic infections postoperatively, 2 strains of peptostreptococi were isolated from the infectious foci. 4. 3 aerobic infections were observed in group A compared to 5 in group B. 5. No side effects attributable to the ornidazole administered were observed . The study demonstrates that ornidazole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aerobic infections postoperatively, But does not prevent complications with aerobic pathogens. So the neccessity of giving adjuvant prophylaxis against aerobic infections must also be emphasized.

      • KCI등재

        임신부 빈혈치료에 있어서 Iron Protein Succinylate (Hemo-Q) 의 임상적 효과

        김장흡,김수평,김진홍,김휘준,김찬주,박미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5

        Iron protein succinylate (Hemo-Q) is a new iron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iron protein succinylate were evaluated in 40 pregnancy and postpartum women under serum hemoglobulin level 10 gm/d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iron protein succinylate in iron deficiency anemia of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Most women received 2 bottles (30ml) every day for 60 days. Improvement was measured by hematologic variables and clinical symptom or sign after 30 days and 60 days respectively. In Conclusion 1. Efficacy of iron protein succinyl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etreatment, 30 and 60 days treatment group in serum hemoglobulin and iron level. 2.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 (polypnea, asthenia, anorexia) and sign (cutaneous, mucous pallor) of iron deficiency anemia were noted in both 30 and 60 days treatment. 3. Side effects (vomiting, constipation, diarrhea, gastric discomfort) were reported with 1(2.5%) to 2(5%) of 40 women.

      • KCI등재

        골반동통을 호소하는 자궁내막증 환자에서의 네메스트란의 임상적 효능

        김장흡,이진우,김진홍,임용택,정기욱,유영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1. 가톨릭의대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1993년 12월부터 1995년 2월 사이의 15개월 간의 임상 연구기간중에 골반 동통을 호소하는 33명의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네메스트란 제제를 1주일 에 2회씩 각각 2.5mg/회 6개월간 복용하도록 하였으며 부작용 및 추적실패로 본 연구분석의 기준에 미흡한 3례를 제외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분석하였으며 이중 18명의 환자는 추적 복강경 수술을 받았다. 2.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증상의 소실을 기준으로 하면 완전한 자각증상의 소실이 22례 (73.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부분적인 자각증상의 소실 8례(26.7%)에서 관찰되었다. 추적복강경 수술결과, 4레(22.2%)에서는 자궁내막증 병변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12례(66.7%) 에서는 자궁내막증 병변의 부분적인 소실이 관찰되었으며 2례(11.1%)에서는 치료전의 경복 강경수술 소견과 차이가 없었다. 3. 네메스트란 제제투여시의 부작용으로는 남성호로몬양 작용에 의한 안면 여드름은 거의 모든 환자(N=29, 96.7%)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면 부정기 점상 출혈, 지루가 각각 66.7%, 및 63.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체중증가는 33.3%(n=10)에서 관찰되었다. 안면홍조, 두통, 유방위축, 우울증, 간기능 이상, 근육통 등이 각각 26.7%(n=8) 10%(n=3) 6.7%(n=2), 6.7%(n=2), 3.3%(n=1)에서 관찰되었다. 심한 안면 여드름과 지루로 인하여 투약을 중지한 1명을 제외한 30명의 환자에서는 투약시에 상기와 같은 부작용으로 인하여 투약을 중단하지는 않았으며 치료기간 중에 주 2회 복용하는 점이 환자의 입장에서 좋은 수용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4. 네메스트란은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임상적인 유효성이나 환자의 약제에 대한 부작용 및 수용성에서 합리적인 새로운 치료체제로 사료되며 특히 골밀도가 저하된 자궁내막증 환자에 서 1차 선택제제로 사료된다. Pelvic endometriosis is the mysterious disease of theories in terms of its pathophysiology, diagnosis, medical or surgical treatment and recurrence Danazol has been drug of choice in medical treatment of pelvic endometriosis patients since 1970. Recently many different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s(GnRHa) have been introduced since 1983.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which were taken from 33 pelvic endometriosis patients with pelvic pain who received Nemestran(Gastrinone) 2.5mg twice a week for 6 months duration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1993-January, 1995. We excluded three patients including one patient who gave up to take Nemestran due to severe facial asne and seborrhea and two patients who were lost to follow-up. Complete and partial symptomatic relief were attained in 73.3% (N=22) and 26.7% (N=8) of study patients(N=30) respectively. In the mean time, follow-up laparoscopic examinations(N=18) revealed that complete response, partial response, and failure of treatment were observed in 22.2% (N=4) 66.7%(N=12), and 11.1%(N=2) of patients. Most common side effect was expectedly facial acne in almost all patients(N=29, 96.7%). others were break through bleeding (N=20, 66.7%) seborrhea(N=19. 63.3%) weight gain(N=10, 33.3%) facial hot flushing(N=8, 26.7%) throbbing headache(N=3, 10%), breast atrophy(N=2, 6.7%) mood swing(N=2, 6.7%) LFT abnormalities(N=2, 6.7%) and cramping muscle pain(N=1, 3.3%) in the decreasing frequency . We concluded that Nemestran is the reasonable and acceptable medical treatment modality in pelvic endometriosis patients with pelvic pain. Nemestran seems to be the first-line drug in pelvic endometriosis patients with the decreased bone density.

      • KCI등재

        정상 한국 여성의 폐경전 , 후 요추 골밀도 변화

        김장흡,이진우,김수평,김진홍,유영옥,나덕진,권동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1992년 5월부터 1994년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폐경기크리닉을 방문한 환자중 문진 및 검사에 의해 골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분비질환이나 약물의 복용이 없는 448명중 폐경전 여성 111명, 폐경후 여성 337명을 대상으로 폐경과 연관된 요추골밀도의 변화와 요추 골밀도와 연관된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요추 골밀도와 연관된 요인중 연령과 폐경후 기간이 가장 높은 역상관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신장, 체중의 순서였다. 2. 폐경전, 후 동일 연령에서의 요추 골밀도의 비교는 45-49세군 및 50-54세군 모두 폐경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골밀도를 보였는데 (p=0.001) 이는 폐경이 골밀도 감소의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3. 폐경후 요추 골밀도의 변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골밀도의 감소를 보였으며, 45-49세군과 50-54세군과 비교해 다른 연령군은 유의하게 골밀도의 감소를 보였다(p$lt;0.05). 전체 폐경기간중 매년 0.79%의 골밀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특히 55-59세군이 50-54세군과 비교하여 매년 1.9%로 가장 높은 골밀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는 조기 폐경이 골밀도 감소의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4. 요추 골밀도는 50세이전에 폐경이 있는 경우가 50세이후의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골밀도를 보였다(p$lt;0.01). 5. 폐경기간에 따른 요추 골밀도의 감소는 폐경기간에 따라 직선상의 감소양상을 보였다. (r=-0.52, p=0.001). 또한 폐경후 10년간 16.7%의 요추골밀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정상여성의 요추골밀도값은 폐경의 유무에 따라 연령별로 구분하여야 되리라고 생각되며, 폐경후 요추 골밀도의 감소는 연령의 증가, 폐경후 기간과 조기 폐경이 높은 연관성을 보이므로 이러한 위험군은 골다공증에 관한 적극적인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골다공증과 연관된 골절을 예방 및 치료를 하여야겠다.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nopause on bone mineral density(BMD) of normal Korean women, BMD of the spine was measure by dual-energy X-ray absoptiometry(DEXA) in 111 premenopausal and 337 postmenopausal women. We found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of BMD with age and years since menopause (YSM), and positive correlation of BMD with height and weight. Comparison of quinquennial menas ofr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age bands 45-49 years and 50-54 years shows that at these age postmenopausal BM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premenopausal BMD (p=0.0001). This finding suggests that separate normal ranges should be used for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Postmenopausal women showed a rapid loss of BMD amounting to 23.9% in the lumbar spine in the age range under examination. The BMD of postmenopausal women whose menopause occurred before 50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women whose menopause ocurred after 50. This finding suggests that early menopause is a serious risk factor in postmenopausal bone loss even after 65 years of age. BMD showed a rapid and almost linear redction within 10 years after menopause, and the total loss of BMD for 10 years after menopause was approximately 16.7%. This finding suggests that bone resorption occurs rapidly within 10 yearss after menopause and then continues slowly.

      • KCI등재

        17 a-Hydroxylase 결핍으로 인한 남성가성반음양 1 예

        김장흡,김진홍,나종구,최소영,강창석,김재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4

        A 21-year-old phenotypic female with 46,XY genotype presented with primary amenorrhea, headache, absence of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and hypertension. Further evaluation confirmed male pseudohermaphroditism having no nterus and adnexase. After basic hormonal study and ACTH stimulation test, we concluded 17 a-hydroxylase deficiency. Owing to the high risk of gonadal neoplasia in XY gonadal streaks, prophylactic removal of the steaks is recommended. Traditionally this procedure has been performed by laparotomy, but in this case laparoscopic gonadctomy was performed. Following treatment with hydrocrtisone, potassium, progesterone, 11-deoxycorticosterone, corticosterone and urinay pregnanediol levels were normalized. normal blood pressure measurements were achieved during treatment with hydrocortisone and estrogen with the patient.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ei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β-hCG의 의의

        김장흡,이진우,나덕진,정기욱,권동진,김진흥,신희정,이원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자궁외임신은 1970년대이후 이환율 및 사망율은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발생빈도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90년 1월 1일부터 1993년 8월 31일까지 개복수술 및 복강경 검사에의해 자궁외임신(난관임신)으로 진단된 251레를 대상으로 진단 및 치료방법에 따른 혈청 b-hCG의 진단시 값과 치료후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생빈도 같은기간중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37.4였으며, 1,000분만당 자궁외임신의 발생빈도는 26.7%이었다. 2. 연령분포 연령분포는 19-46세였으며 평균연령은 29.5±4.8세였다. 또한 가장 빈번한 연령층은 25-29세로써 36.5%를 차지하였다. 3. 임신 및 유산횟수 임신횟수에 있어서 미산부는 25.9%였으며, 평균 임신횟수는 0.9±회였다. 유산횟수에 있어서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는 24.3%였으며, 평균 유산횟수는 1.5±였다. 4. 임신주수 평균 임신주수는 6.9±1.5였으며, 가장 빈번한 임신주수는 6-7주로써 22.7%를 차지하였다. 5. 기왕력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인 기왕력은 PID로써 23.5%를 차지하였으며, 이외에 복강경에 의한 난관결찰, 수술기왕력,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불임 및 H-mole 기왕력 순서로 분포가 낮았다. 6. 착상부위 및 난관파열 가장 빈번한 착상 부위는 팽대부로써 74.4%를 보였으며, 파열형은 52.9%에서 관찰되었으며 착상부위에 따라서 자궁각 임신의 경우 93.2%로 가장 높은 파열빈도를 보였다. 7. 증상 및 검사소견 주요증상인 하복부 동통, 질출혈 및 무월경은 77.5%, 63.7% 및 71.7%를 보였으며, 초진시 혈색소 10 mg%이하가 35.4%였고 Hct값은 30%이하가 37.9%였다. 8. 진단의 양성율 진단의 양성율은 더글라스와 천자, 뇨임신 반응, 초음파검사, 복강경검사(n=31) 및 혈청 b-hCG검사에서 96.7%, 72.4%, 85.7%, 97.1% 및 100.0%를 보였다. 9.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검사(n=70) 및 혈청 b-hCG값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탈락막 변화, 증식기 변화, 분비기 변화 및 Arias-stella 반응은 각각 40.0%, 28.5%, 21.5% 및 10.0%를 보였다. 또한 임신 주수에 다른 자궁내막의 변화는 탈락막 변화 및 분비기 변화는 임신주수가 진행됨에 따라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Arias-stella반응은 임신 8주까지 증가한 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혈청 b-hCG값과의 관계를 보면 탈락막 변화의 경우 6096.8 mIU/ml로써 다른 경우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청 b-hCG값을 보였다. 10. 치료방법 치료방법은 개복수술 201예, 복강경검사 25예, Methotraxate(MTX)치료 5예 및 기대요법( expectant management) 20예였다. 11. 임신주수에 따른 혈청 b-hCG값 임신주수에 따른 혈청 b-hCG값의 분포는 13.5 mIU/ml였으며 평균값은 1518.3±160.7 mIU/ml로써 같은 임신주수의 정상임신과 비교하여 부위 및 파열에 관게없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임신 7주에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12. 착상부위 및 파열 유무에 따른 혈청 b-hCG값 착상부위에 따른 혈청 b-hCG값은 자궁각이 3017.9±1465.8 mIU/ml로써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양상을 보였으며, 비파열형의 경우 1778.3±293.7 mIU/ml로써 파열형에 비해 높았다. 13. 난관 절개술후 혈청 b-hCG값의 변화 수술전 혈청 b-hCG값은 1361.6±268.8 mIU/ml였으며 수술후 1일에 218.3 ±95.5mIU/m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12.6±7.9일이었다. 14. MTX치료후 혈청 b-hCG값의 변화 MTX 치료전 혈청 b-hCG값은 378.0 ±240.4mIU/ml 였으며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78.0±12.5일이었다. 또한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34.8±6.5일이었다. 15. 기대요법후 혈청 b-hCG값의 변화 기대요법전 혈청 b-hCG값은 1,426.1±257.9 mIU/ml였으며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78.0±12.5일이었다. 또한 혈청 b-hCG값이 1,000 mIU/ml이상인 경우가 이하인 경우보다 평균기간이 길었다. 16. 치료방법에 따른 난관소통율 치료후 난관소통율은 난관절개술, MTX치료 및 기대요법에서 69.2%, 80.0% 및 75.0%가 관찰되었으며, MTX치료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써 자궁외임신의 조기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혈청 b-hCG검사 및 추적검사는 현재 다른 검사들보다 그 의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apparent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making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desirable but often difficul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erum b-hCG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y,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251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or laparoscopically proven diagnoses of tubal pregnanci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ur Lady of Mercy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 1, 1991 to Aut.31, 1993.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e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37.4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25-29 years of ages. 3. 25.7% of patients was nullipara and 24.3% of total had not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4.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M.P.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6 weeks in 22.7%. 5. A previous history of PID was in 23.5% an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as in 18.4%. 6.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ed on ampullar portion in 74.4%. 7. On symptomatological analysis, lower abdominal pain was encountered in 77.5%, vaginal spotting and amenorrhea in 63.7% and 71.7% respectively. 8. In the diagnostic positive rate, culdocentesis was in 96.7%, U-hCG test in 72.4%, USG in 85.7%, laparoscopy in 97.1% and serum b-hCG test in 100.0%. 9. The histopathology of endometrium showed decidual reaction (40.0%), proliferative phase (28.5%), secretory phase (21.5%) and Arias-stella reaction (10.0%).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serum b-hCG and endometrial patterns (decidual rea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weeks and endometrial patterns (decidual reaction and secretory phase) was also found. 10. The range of serum b-hCG levels was 13.5-16,000mIU/ml in 100.0% of the cases and mean level of serum b-hCG was 1518.3±160.7 mIU/ml. The levels of serum b-hCG in each gestational weeks of ectopic pregnancy were below the low level of normal pregnancy and the levels of serum b-hCG increased till the 7th gestational week and after this week declined. 11. The level of serum b-hCG in each implatational portions was noted to be the highest in the cornual portion. The level of serum b-hCG in the unruptured cas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ruptured cases. 12. The preoperative baseline serum b-hCG in the patients was significantly declined at postsalpingostomy day 1 and the mean disappearance time of serum b-hCG($lt;5 mIU/ml) was 12.6 ±7.9days. 13. The mean disappearance times of serum b-hCG after MTX therapy and expectant management were 34.8±6.5 days and 78.0±12.5 days respectively. 14. The rates of tubal patency after salpingostomy, MTX therapy and expectant management were 69.2%, 80.0% and 75.0%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very important and the conservative tubal surgery, MTX therapy and expectant management can be successful in selected cases of ectopic pregnancy for further fer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