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화 상담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과 상담 성과 요인: 경상남도 소재지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장회,이현진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elephone counseling and the factors of counseling performance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social distance caused by coronavirus infection-19. To this end, a docum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practical eclecticism in the counseling experience report prepared by 17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telephone counseling. A total of 114 meaningful statements and sentences were deriv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first coding. The secondary coding identified and conn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ful statements and sentences in the first coding, and 6 sub-themes were derived. And final two themes were derived through the third coding. The perception of telephone counseling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was ‘environmental comfort’, ‘psychological comfort’, and ‘difficulty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The outcome factors of telephone counseling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were ‘counseling skills’, ‘facilitative role’, and ‘insightful role’.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examined the perception and outcome factors of telephone counseling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in situations where non-face-to-face counseling is inevitable due to Coronavirus infection-19. Based on the results, a new direction of non-face-to-face telephone counseling a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 성과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화 상담을 받은 17명의 대학생이 작성한 상담 경험 보고서를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로 문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차 코딩에서 총 114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문장이 도출되었다. 2차 코딩에서는 1차 코딩에서의 의미 있는 진술과 문장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결하여 6개의 부주제를 도출하였다. 3차 코딩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2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의 인식은 ‘환경적 편안함’, ‘심리적 편안함’,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의 성과요인은 ‘상담의 기술’, ‘촉진적 역할’, ‘통찰적 역할’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상담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의 인식과 성과요인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전화 상담의 방향과 상담에 대한 함의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진로 타협과정의 차이: 초, 중, 고, 대학생 비교분석

        김장회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how the career compromise process comes out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making situations. The study object includes undergraduate, high,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excluded in career compromise study. This study established 4 situations. Situation 1 is consisted of jobs which have different level of wanting degrees. Situation 2 has highly wanting jobs. Situation 3 has midium wanting jobs and situation 4 has not wanting jobs. As a survey tool, computer programmed simulation method applied. This study, therefore, intended to identify whether the result of compromise study comes out consistently in case of narrowing multiple choice for decision in its survey into the situation variables. At the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mpromise process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making situations. The interest variable was identified as the most difficult variable to be compromised in the situation 1.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dergraduate students. Thes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interest variable in career decision making situations. Replication study can be conducted to confirm these findings. However, much attentions should be paid on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 상황에서 보편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으로 간주되는 진로 타협과정이 상황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기존 진로 타협연구에서 발달상의 이유로 배제되어 왔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포함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네 가지 상황 중에서 진로의사결정 상황 1은 원하는 정도가 상이한 세 종류의 직업선택지에서 선택하는 상황으로, 상황 2는 매우 원하는 직업으로 이루어진 직업선택지로, 상황 3은 보통 정도로 원하는 직업선택지로, 상황 4는 원하지 않는 직업선택지로 구성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조사 도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된 모의실험법을 적용하였다. 무선으로 표집된 참여자는 초등학생이 214명, 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284명, 대학생 180명 등 전체 864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원, 부산, 경남지역 소재의 학교들이며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 4개교,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5개교, 대학교 4개교가 참여하였다.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타협과정의 초, 중, 고, 대학생 간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상황 1에서는 초, 중, 고, 대학생 모두 성 유형을 가장 먼저 포기하고 두 번째로 지위를 포기하였으며 흥미는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상황 2, 3, 4에서도 흥미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초, 중, 고, 대학생의 타협 요인별 고려 수준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초, 중, 고, 대학생들은 공통적으로 흥미와 지위에 대하여 상황 1에서는 상황 2, 3, 4에서보다 높게 고려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성 유형에 대하여서는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에게서 상황별 차이가 없었고 대학생은 상황 1에서 높게 고려하는 등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과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 Citric acid 존재시 Goethite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분해

        김장회,공성호,손국일,김용수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2001 環境科學論文集 Vol.22 No.-

        과산화수소가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산소공급원으로서 지중에 주입될 경우 효소촉매인 Catalase나 Iron oxide와 같은 전이금속 산화물에 의해 급격히 분해되어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 분해속도는 오염물 처리를 위한 미생물의 산소 소모율보다 커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지역의 중금속과 유류로 오염되어 있는데 이러한 오염지역의 경우 중금속으로 인해 생물학적 처리가 제한될 수 있다. Citric acid는 중금속의 미생물에 대한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Goethite 표면에 흡착되어 Goethite에 의한 급격한 과수분해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Citric acid를 첨가제로서 과산화수소와 동시에 주입함으로써 중금속과 유류로 오염된 지역의 지중 생물학적 처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Iron oxide 중 과산화수소 분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Goethite를 선택해 Goethite에 의한 수분해속도에 미치는 Citric acid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Citric acid 존재시 Goethite에 의한 과수분해 속도식은 과산화수소와 Citric acid의 Goethite 표면에의 경쟁적 흡착에 근거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중의 많은 Humic acid나 Fulvic acid와 같은 Organic matter도 Goethite 표면의 흡착에 대해 Citric acid와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는 측면에서, 과산화수소를 지중의 오염지역에 적용할 경우 Organic matter의 농도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When hydrogen peroxide, as an oxygen source for in situ bioremediation, is injected into the subsurface, the rate of H₂O₂ decomposition is greater than the rate of oxygen utilization by microorganisms due to its rapid catalytic decomposition by transition metal oxide such as iron oxide. Furthermore, the presence of heavy metals that are toxic to microorganisms may inhibit microbial degradation. Citric acid as additive may reduce toxicity of heavy metals and decrease the rate of H₂O₂ decomposition on the surface of iron mineral. Therefore, injection of H₂O₂ and citric acid for in situ bioremediation enable to effectively treat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petroleum hydrocarb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ric acid on the rate of H₂O₂ decomposition on goethite, which is the most reactive with H₂O₂ among the crystalline iron oxides. In the presence of citric acid, the H₂O₂ decomposition rate on goethite can be affected by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H₂O₂ and citric acid on goethite.

      • KCI등재

        SNA 기법을 활용한 웹기반 상담시스템 연구 동향

        김장회,이현정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is study was execu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future internet counseling by analysing the study trend of the WBC system that embodies counseling through the internet. Total 45 thesis were analysed as the final study objects. The SNA technique widely used in social and scientific phenomenon analysis was utilized as an analysis tool of this study. Data value was collected as 8 units, which were basic items, system developmental environment, interaction type, performance evaluation and operation condition, counseling object, counseling area, counseling type, and psychological test typ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keyword analysis, counseling type analysis and psychological test type analysis. Study year, researcher's agency, principal agent of operation, counseling object, interaction type, counseling area, and system developmental environment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due to the overall insufficient research on WBC system, with technical limitation of system environment, active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in counseling, national policy support, and the efforts of developing intelligent WBC system, etc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인터넷을 통한 상담을 구현한 WBC 시스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인터넷 상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종 연구대상으로 총 45편의 논문이 분석되었다. 분석 도구로 최근 사회적․과학적 현상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SNA 기법이 사용되었다. 데이터 값은 기초사항, 시스템 개발 환경, 상호작용 형태, 성능평가 및 운영상태, 상담 대상, 상담 영역, 상담 형태, 심리검사 유형 등의 8개로 분류하여 수집되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키워드 분석, 상담 형태 분석, 심리검사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분석으로는 연구 연도, 연구자 소속, 운영 주체, 상담 대상, 상호작용 형태, 상담 영역, 시스템 개발 환경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WBC 시스템 연구가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시스템 환경의 기술적 한계 등과 함께 상담학 관련 전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국가의 정책적 지원 및 지능형 WBC 시스템의 개발 노력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 요인 및 진로의사결정수준의 매개효과 분석

        김장회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서울, 강원, 경남 등의 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무선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554명의 학생들로부터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진로의사결정수준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문헌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진로자기효능감, 학교만족도,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학업성적 등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모든 요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진로자기효능감과 학교만족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는 진로준비행동이 4학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해서는 진로자기효능감(t=8.53, p=.000), 진로의사결정수준(t=4.93, p=.000), 학업성적(t=2.71, p=.007), 진로성숙도(t=2.36, p=.019)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의사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의사결정수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진로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factors o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schools located in Seoul, Ganwon, and Gyeongnam province. The data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methods. The effect factors that selected through literature study were career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level, major satisfaction level, career maturity level, and academic scores.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mong all the variables. The result of Multi-Regressions which executed to verify comparable effect powers on the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revealed the career self-efficacy(t=8.53, p=.000) came first, career decision making level(t=4.93, p=.000), academic scores(t=2.71, p=.007), and career maturity level(t=2.36, p=.019) came next. At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as the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increases the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re strengthen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 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래의 직업 세계에 대한 인식: 초, 중, 고, 대학생 비교 분석

        김장회,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is study was executed through the survey instrument which utilized the job titles of ‘future vocational world 2007’ to provide a basic data on vocational education. The samples are 720 students who ar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dergraduates located in Seoul, Kyung-Gi, Kang-W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the vocations which are well perceived by the students in terms of working areas, duties and how to reach the jobs are 16 in school children, 30 in middle school students, 36 in high school students, and 62 in undergraduates. The overall perception level is low in all school levels. Moreover, the analysis by 5 point scales indicated the following results. The number of the jobs that answered as I never heard of the jobs - the lowest perception level - are 36 in school children, 8 in middle school, 2 in high school, and don't know what the job do or does - the second lowest level - 68 in school children, 84 in middle school, 74 in high school, and 25 in undergraduates. The total number of these two are 104(61%) in school children, 92(54%) in middle school, 76(45%) in high school, and 25(15%) in undergraduates. At the F-test, only 22 job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our school groups. Especially, perception o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job areas marked as low.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vocation world leaned upon a specific area. The information about the vocation world was obtained mainly through the mass media such as the internet, TV, reading books, and family members. These findings tell the urgent needs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such things are discussed as the necessity of the career education class, developing various career programs, governmental supports, strengthen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o forth. 본 연구는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수준을 파악하여 직업 세계 이해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서울, 경기, 강원 지역 소재 국ㆍ공립 초, 중, 고,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미래의 직업세계 2007’에 제시된 직업명을 사용한 조사 도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결과, 무슨 일을 하는 직업인지 잘 알고 동시에 그 직업을 갖는 방법도 잘 알고 있는 직업의 종류는 전체 170개의 직업 중에서 초등학생이 16개, 중학생이 30개, 고등학생이 36개, 대학생이 62개로 나타났다. 조사 도구상의 5점 척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최저 인식 수준인 전혀 모르거나 낯선 직업이라고 응답한 종류가 초등학교 36개, 중학교 8개, 고등학교 2개로 나타났고 이름은 들어 보았으나 무슨 일을 하는 직업인지 잘 모른다고 응답한 직업은 초등학교 68개, 중학교 84개, 고등학교 74개, 대학교 25개로 나타났다. 이들을 합하였을 때, 초등학교가 104개(61%), 중학교 92개(54%), 고등학교 76개(45%), 대학교가 25개(15%)로 집계되었다. 사후 검증에서 4개 학교 급 전체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 직업은 22개로 조사되었다. 전체 26개 직업군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기술 및 이학전문 직업군에 속한 직업들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직업 세계에 관한 정보 취득은 교과 수업이나 진로 교육 시간보다는 인터넷 등의 대중 매체와 가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진로 교육 시간 운영의 필요성, 진로 프로그램의 개발, 정부 차원의 노력, 교사 대상 연수 등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 및 급변하는 미래 직업 세계에 대한 순발력 있는 대처 노력 등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