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이해교육’의 실태 분석 및 미래 발전 방안

        김일방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eju understanding curriculum and to find future-oriented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is.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Jeju-do and used 209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s an analysis target. As a research tool for this study, I constructed and used my own questionnaire titled 'A Survey on the Curriculum of Jeju Understand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program called 'Eureka'.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survey collected through Eureka was done using SPSS20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focused on describing the actual condition of application in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esented five future-oriented development plans. The five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he Jeju understanding curriculum, second, to hurry to develop and distribut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level of learners, third, to reorganize the school curriculum, fourth, to strengthen the financial support for Jeju understanding education, and fifth, Jeju identity education should be combined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이해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지향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내 중학교 교사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209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제주이해교육과정에 관한 의견조사’라는 제목의 자체 검사지를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의 실행은 ‘유레카’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유레카’란 각종 설문 및 통계 분석에 기반한 정책 연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 구축해놓은 전문 시스템을 말한다. 유레카를 통하여 수집된 설문조사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20 통계분석법을 활용하여 문항별 빈도, 백분율, 누적 빈도 등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실태를 기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미래 지향적인 발전 방안은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 다섯 가지란 ①제주이해교육과정에 관한 적극적 홍보가 필요하다는 점, ②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보급을 서둘러야 한다는 점, ③학교교육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점, ④제주이해교육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 ⑤제주정체성 교육은 세계시민성 교육과 함께 병행해야 한다는 점 등이다.

      • KCI등재

        허먼 데일리(Herman E. Daly)의 ‘정상상태 경제’론의 실체

        김일방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허먼 데일리의 환경사상의 정수인 ‘정상상태 경제’론의 실체를 밝혀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데일리가 주장하는 정상상태 경제의 개념을 규정해보았고, 이어서 정상상태 경제가 왜 필요한지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데일리에 따르면 그동안 인류가 추구해온 성장경제는 더 이상 문제 해결 방안이 될 수 없기에 인류는 이제 성장경제 대신에 정상상태 경제로 넘어가야 한다. 연구자는 데일리의 그러한 주장의 근거를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네 가지란 ①성장경제는 생물물리적 한계와 윤리사회적 한계에 직면한다는 점, ②우리가 사는 세계가 ‘비어 있는 세계’에서 ‘꽉 찬 세계’로 바뀌었다는 점, ③ ‘비어 있는 세계’에서의 제약요인은 인공자본이었으나 ‘꽉 찬 세계’에서의 제약요인은 잔존한 자연자본이라는 점, ④‘한계편익・한계비용’ 비교론을 가리킨다. 이어서 데일리는 정상상태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까지 제시하고 있는데 연구자는 이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그 여섯 가지란 ①인구 대책, ②국민계정 개혁, ③캡앤트레이드 제도 도입 방안, ④환경세 개혁, ⑤최저소득과 최고소득 간 소득격차 폭을 제한하는 방안, ⑥국제무역을 규제하고 자유무역, 자유로운 자본의 이동, 글로벌화를 제한하는 방안 등이다. 끝으로 앞에서 분석해본 정상상태 경제론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도 밝혀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cover the reality of the ‘steady state economy’ theory, which is the core of Herman Daly's environmental thoughts. To this end, I first defined the concept of the Daly's steady-state economy. Next, I thought about why a steady-state economy was needed. According to Daly, the growth economy that we have been pursuing so far can no longer be a solution to the problems, so we must now move to the steady state economy instead of a growth economy. I have divided the basis for Daly's claim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things are ①that the growth economy faces biophysical limitations and ethical and social limitations; ②the world in which we live has changed from the ‘empty world’ to the ‘full world’; ③the factors that constrain our lives have changed; and ④‘marginal benefit and marginal cost' comparative theory. Daly also presents concrete measures for realizing a steady state economy, and I analyzed those measures in six categories. The six are: ①Population measures, ②National account reform, ③Introducing the cap and trade system, ④Environmental tax reform, ⑤Restricting the income gap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income, ⑥Regulating international trade, free trade, free capital movement and limiting globalization.

      • KCI등재

        디베이트식 수업이 학생들의 토론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일방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21 No.2

        From a few years ago, I have been teaching classes using a 3:3 debate model (the Phoenix model). In the debate model, students participate directly as the main characters in the debate. I've always wondered how this type of class affects students' ability to debate, an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I conducted a full-scale study to solve i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Debate Class on Students' Debate Capacity,' I organized a five-point scale questionnaire asking for discussion ability and checked it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After checking this, I found that the debat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debating skills. However, I could find that the effect did not appear constant in all five sub-components of debating power, and that th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component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of the study was in order of debate perception> research and preparation> logical thinking> communication ability> debate attitude.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디베이트식 수업이 학생들의 토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적용한 토론 모형은 교차조사식토론(CEDA) 방식을 개선한 ‘프닉스 토론 모형’이며, 검증하려는 토론능력의 요소로는 토론인식도, 자료조사 및 준비자세, 의사소통능력, 논리적 사고, 토론 태도 등 다섯 가지이다. 이 다섯 가지 요소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5점 척도 설문지를 준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대응표본 t 검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디베이트식 수업은 학생들의 토론능력을 증진하는 데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효과가 토론능력의 다섯 가지 하위 요소 모두에 일정하게 나타난 것은 아니고, 요소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음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전․사후의 비교 차이가 가장 많이 난 요소별로 나열하면 토론인식도>자료조사 및 준비>논리적 사고>의사소통능력>토론 태도 순이었다. 논리적 사고라든지 의사소통능력은 한 학기의 디베이트 수업만으로 큰 효과를 얻어내기는 무리이므로 이를 위해선 앞으로도 꾸준한 토론식 수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의의가 있다면 디베이트식 수업이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습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준다는 점, 학생들이 교수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 자신들이 직접 참여하는 수업 방식을 선호한다는 점, 그리고 디베이트식 수업이 토론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주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존 로크(John Locke)의 자연관에 관한 분석적 고찰

        김일방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One is to analyze Locke's view of nature. For this purpose, I attempted to reveal the essence of Locke's view of nature based on Chapters 2 and 4 of "Two Treatises of Government: The Second Treatise of Government" in which Locke's natural view is evident. The other purpose is to analyze Locke's view of nature from an environmental ethical point of view. From an environmental ethical point of view, I was able to define Locke as a restrictive advocate of anthropocentricism, limited frontier ethics advocate. And the more important point that I found in analyzing Locke's natural view was 'the Locke perspective.' 'Locke viewpoint' refers to the view that all the natural resources that we currently enjoy are not the property of any particular nation but the sharing․common asset of all mankind. I believe that this 'Locke perspectiv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a breakthrough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This paper also reveals in detail 'the Locke perspective' and its significance. 이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다. 하나는 로크의 자연관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로크의 자연관이 잘 드러나고 있는 『통치론』의 제2장과 제4장을 토대로 로크의 자연관의 핵심을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다른 하나의 목적은 로크의 자연관을 환경윤리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환경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로크는 제한적 인간중심주의자, 제한적 프론티어윤리 제창자로 규정지을 수 있었다. 그리고 로크의 자연관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더욱 중요한 사실은 로크식 관점이었다. 로크식 관점이란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연자원은 총체적으로 어느 특정 국가의 소유가 아니라 인류의 공유물․공동자산으로 여기는 관점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은 환경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하나의 소중한 돌파구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에서는 로크식 관점과 그 의의에 대해서도 자세히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지구온난화 논쟁과 그 대안

        김일방 한국환경철학회 2018 환경철학 Vol.0 No.26

        지구온난화 문제는 21세기의 최대 쟁점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였다. 그 결과 지구온난화 문제를 놓고 많은 논쟁들이 있어왔고 현재도 논쟁은 계속되는 중이다. 지구온난화 반대론자들은 온난화 찬성론자들의 주장을 가리켜 ‘과장된 호들갑,’ ‘역사상 가장 엄청난 날조극’ 등의 표현을 써가며 공격을 가한다. 반면에 온난화 찬성론자들은 반대론자들을 가리켜 ‘의심은 그들의 종합상품,’ ‘그릇된 정보를 퍼뜨리는 세력’이라 부르며 역시 맞대응을 펴고 있다. 이러한 논쟁을 지켜보노라면 과연 어느 쪽의 주장이 정당한지 심히 헷갈리게 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어느 쪽의 주장에 따라 우리의 행동방향을 설정해야 할지 선뜻 판단내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지구온난화 문제는 우리 삶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문제 해결을 위해선 인류 공동의 행동방향 설정이 요구된다. 그러려면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통일된 합리적 의견이 사전에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먼저 이 논문은 지구온난화 문제를 놓고 ‘지구온난화는 엄연한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찬성측과 ‘지구온난화는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반대측 간의 치열한 쟁점들을 살펴본다. 다음에는 앞에서 살펴본 논의를 토대로 지구온난화 문제에 관한 가장 합리적인 견해는 무엇인지를 모색해본다. Global warming has emerged as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the 21st century. For a long time we have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global warming, and the debate is still ongoing. Opponents of global warming attack global warming supporters by saying 'exaggerated drama queen', 'the greatest fake fiction in history'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Global warming supporters calls the opponents of global warming "the absurd distortion of science," "those who peddle false information." If you observe these arguments, it will be very confusing which one is right. It is not easy for us to gauge whether we should set our course of action based on which claim. Global warming has a direct impact on our lives, so we must have common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To do so, we must have a unified rational opinion on global warming. This paper starts from this problem consciousness.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ssues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global warming. This paper will then explore the most reasonable view of global warming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 KCI등재

        환경윤리학에서의 내재적 가치 -존 오닐(John O’Neill)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일방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80

        환경윤리학의 논의에서 내재적 가치라는 용어는 중요한 키워드로 기능한다. 이 가치를 어떤 존재들에까지 부여하는가에 따라 그 입장이 여러 갈래로 나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내재적 가치에 관한 세 가지 문제를 탐구한다. 첫째는 내재적 가치의 다의적 의미와 그 혼동의 문제이고, 둘째는 인간 이외의 존재들이 객관적인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며, 셋째는 인간 이외의 존재에 객관적인 내재적 가치가 인정될 경우 그로부터 정당한 도덕적 의무를 도출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이 글에서는 이들 문제를 존 오닐의 논의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John Passmore의 ‘보전(Conservation)’ 개념에 내포된 도덕적 문제: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론과 그 정당성

        김일방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1 No.-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 is Chapter 4 of John Passmore's book, Human Responsibility for Nature, that is, ‘Conservation’. According to Passmore, conservation is based on human-centered thinking that ‘protects nature for human beings’. What we should note in Passmore's argument is that when he says ‘we must protect nature for humans’, this human being is limited to the present generation and the immediate future generation. Then, what is the basis for his argument that the scope of future generations should be limited to the near future generation? The first reason is that if the scope of future generations is extended not to the near future but to the very distant future, the expression ‘inheritance’ becomes meaningless.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lternative resources is limitl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us the problem of resource depletion no longer occurs. The third reason is that human history follows a labyrinthine pattern in which we cannot easily predict how the future will unfold. In this paper, I focus on clarifying the above arguments of Passmore in detail and examining the validity of those arguments.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존 패스모어의 『자연을 위한 인간의 책임』의 제4장, ‘보전’이다. 패스모어에 따르면 보전이란 ‘인간을 위해 자연을 보호한다’는 인간중심적 사고에 기초한다. 여기서 눈여겨볼 만한 점은 ‘인간을 위해 자연을 지킨다’고 할 때, 이 인간이란 현세대를 포함하여 현세대와 가까운 미래세대로 한정된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미래세대의 범위를 이처럼 가까운 미래세대로 한정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는 무엇인가? 첫 번째 이유는 미래세대의 범위가 직접적 후손이 아닌 먼 미래세대로까지 확장되면 계승이라는 표현이 무의미해진다는 데 있다. 먼 미래세대의 경우 그들의 이익・욕구・관심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없는 만큼 계승이란 말 자체가 성립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해 대체자원의 개발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며 따라서 자원고갈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결국 미래세대에 대한 걱정보다 현세대와 직접적 후손세대를 위한 문명의 유지・존속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세 번째 이유는 인류 역사는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쉽게 예단할 수 없는 미로형에 따른다는 데 있다. 인간의 무지의 범위는 넓고 능력의 한계 또한 자명하므로 인류 역사의 방향을 자의적으로 선택하려는 시도야말로 허황된 착각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패스모어의 주장을 소상히 밝혀내고 그 정당성 여부를 검토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 KCI등재

        환경실용주의와 도시환경윤리: Andrew Light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일방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69 No.-

        이 글은 환경실용주의의 선구자 중의 한 명인 라이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환경실용주의와 도시환경윤리’에 관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실용주의가 대두하게 된 배경과 함께 환경실용주의에 대한 라이트의 기본적 입장을 밝힌다. 라이트에 따르면 환경실용주의의 주요과제는 사회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 정책적 선호도를 장기적인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바꿔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일이다. 라이트는 그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환경윤리를 전개한다. 필자는 라이트의 도시환경윤리의 특징을 세 가지 핵심 개념, 곧 도시, 자발적 참여,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그 실체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어서 필자는 라이트의 환경실용주의와 도시환경윤리에 관한 논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결론으로 도출함과 함께 그 과제를 제시하였다. Andrew Light is one of the pioneers of environmental pragmatism.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opic of environmental pragmatism and urban environmental ethics by focusing on the Light’s arguments. To do so, I will examine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environmental pragmatism, as well as Light's basic position on environmental pragmatism. According to Andrew Light, the main challenge of environmental pragmatism is to motivate members of society to change their attitudes, behaviors, and policy preferences in ways that support long-term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Light develops a discussion of urban environmental ethics as a way to do just that. In this article, I have attempted to characterize Light's urban environmental ethics by interpreting it in terms of three key concepts: the cit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publicanism. I conclude with lessons that can be drawn from Light's discussion of environmental pragmatism and urban environment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