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개정담보법상 부동산수익에 대한 저당권의 효력

        김인유(In-Yu K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05 比較私法 Vol.12 No.1

        This Paper is the effect of Mortgage from the Realestate-Fruit on Reforming Security Law in Japan. The Real Subrogation of Mortgage is that Mortgagee may exercise his Real Subrogation Right to the money or things which Mortgager is entitled to receive by reason of loss, damage or public levy of the thing mortgaged. The Real Subrogation is stipulated in Article 342 of the Civil Code and applied mutatis mutandis to Article 370.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Real Subrogation includes the insurance money of the object for security, the money for compensation for damages incidental to the tort committed by a third person, the money for compensation for public levy. but sale and rent are deleted in Article 342 of the Civil Code, So in this point our Civil Code differ from Japanese Civil Code.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Real Subrogation includes the rent as the Realestate-Fruit in Japanese Civil Code. that is the Real Subrogation is stipulated in Article 304 of the Civil Code and applied mutatis mutandis to Article 372. Also after a leading case of the Court of the highest Justice in 1989, the Real Subrogation on the rent have widely practiced. As a result many problems had arisen. Therefore recently assertion that claims necessity of an amendment to the Japanese Civil Code, has arisen in complicated and diversified Japanese society. The main goals of recent revision of the Japanese Civil Code remedies of individual rights due to an efficient execution of realestate. As the new method of execution of realestate, the system of the similar Compulsory Management was established newly. In case this system should adopted, Many problem has arisen. for example, relation to Compulsory Management on existing Civil Execution Law, to appointment of manager, especially relation to right of manager, etc. A numbers of professor and lawyer had several dispute concerning these problems in Japan. I examinate on this new system in Japanese Civil Code in this Paper and I introduce on these dispute and conclusion of dispute, because I furnish information on disputes. Finally, I prudently suggest that the system of the similar Compulsory Management, as the new method of execution of realestate, should adopt at our Security Law.

      • KCI등재

        영국판례를 통한 수상가옥의 법적 성질

        김인유(Kim In Yu),조민기(Cho Min Gi)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수상펜션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수상펜션을 선박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건축물로 볼 것인지, 그 이외의 다른 단순한 구조물로 볼 것인지에 따라 인허가상의 적용법규와 절차가 달라지고, 재산권보호를 위한 공시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수상펜션의 법적 성질의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이러한 수상펜션에 대한 법적 성질에 대한 선행연구나 판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상펜션이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매우 유사하고, 또 영국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수상가옥에 대한 영국판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수상가옥의 선박성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영국판례에서 선박의 지위여부를 다투었던 수상구조물들에 관련된 판례들을 검토하고 선박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를 선행한다. 그리고 수상가옥에 관련된 영국판례를 찾아 다양한 법률적 관점 하에서의 법적 쟁점을 검토하는 한편, 도출된 결론을 수상가옥에 적용하여 수상가옥의 선박 해당성 및 동산ㆍ부동산성에 대한 법적 성질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영국 판례의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수상펜션과 관련된 법제도 도입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purpose to clarify the legal status of floating pension currently spreading in regions of costal area of Korea. However, there clearly exist some issues in legal status of floating pensions in respect that, obviously due to its uncleared legal characteristic, various legally generated matters could arise. Nonetheless, relevant discussion detailed about the issue itself is quite insufficient. Legal application and proceeding for its licensing and permission matters will considerably change depending on our main aspect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be considered as a ship or just a building structure, or neither of them. This leads the same problem to b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matter of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be generally perceived as an object of public notification for ownership. Whilst relevant domestic case laws are virtually nil, we present an evaluation on legal status of floating pension mainly based on approaches to precedents of U.K courts dealing with house boat cases, of which main features (such as structure or functions) are fairly similar with that of domestic floating pension. Firstly, the study will go through a thematic examination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be categorized as a ship. To further identify the topic, we present possible legal issues of floating pension viewed in various legal perspectives according to relevant precedents. The findings came up from the research will be applied to evaluation of,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fall into the category as ship itself, or be categorized as chattel/real property. Possible implication for domestic legal system precedents of U.K courts stated in paper can have will also be suggested in conclusion.

      • KCI등재후보

        共同不法行爲로 인한 損害賠償責任과 船舶衝突로 인한 損害賠償責任에 관한 比較硏究

        김인유(In-Yu Kim) 한국해사법학회 2003 해사법연구 Vol.15 No.1

        Collisions between ships poses various difficult and complicated legal problems. however Commercial code are 6 articles in all related to liability for collision at sea. therefore Otbers should be according to the Civil code, article 760. The purpose of article 760 of the Civil code is in providing protection for a victim from the incident and of the joint liability. According to the Commercial code, article 846, the loss of property of third parties due to ship collision i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te liability, while the loss of lives of third partiss is governed by Tort principles under the Civil code, article 760. It is unreasonable that the system of liability for damage is governed by a dual principle. therefore, I think that the lisbillty for loss of property as well as for loss of lives of third party in case of collisions, shall be imposed joint obligation on both parties. Secondly, under the cross liability principle, each vessel is assumed to have a liability to contribute according to its degree of fault to the loss suffered by the other vessel. The two liabilities can be set off against each other. but the limitation of liability should apply only after the set off of the damages suffered by each shipowner. because it is the purpose and function of shipowner's limitation of liability system.

      • KCI등재

        학술발표회 논문(學術發表會 論文) : 건조중인 선박에 관한 법률관계

        김인유 ( In Yu Kim ) 한국해법학회 2010 韓國海法學會誌 Vol.32 No.1

        건조중인 선박은 아직 항행의 용도와 능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이므로 선박이라고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상법은 해상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기업자금의 원활한 조달이 가능하도록 건조중인 선박에도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현행법상 건조중인 선박에 대한 규정은 선박저당권의 규정을 준용한다는 규정뿐이고, 선박저당권에 대해서는 상법 제787조 한 조문뿐이다. 건조중인 선박의 개념 및 이에 대한 등기시점은 언제로 할 것인지에 대한 규정은 전무하다. 이 연구는 건조중인 선박에 대한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건조중인 선박의 법적 성질의 문제, 소유권의 귀속문제, 저당권설정시점 및 저당권이 미치는 효력의 범위 등에 관해 학설과 판례를 검토하는 한편 국제협약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모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선박의 건조는 건조자가 스스로 선박을 건조하고 그 완성된 선박을 타인에게 매각하는 방법과 주문자의 의뢰를 받아 건조하고 건조된 선박을 인도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주로 문제가 되는 후자의 경우에 한정하여 건조중인 선박을 논하기로 한다. 해상법분야는 대부분 국제협약에 기초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해상법분야의 각종 협약에는 거의 가입하지 않고 있지만, 그 협약의 내용은 수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입법론적 측면에서도 협약의 내용을 수용하여 상법의 개정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입법론 제기함과 더불어 그 입법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lthough the vessels under constructions do not satisfy the conditions that can be said vessels due to laking in skills and purposes of the navigation yet, the current commercial laws provide that the vessels under constructions could be mortgaged to raise corporation funds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marine enterprises. But under the current law, the regulation for the vessels under constructions is the only regulation which would be applied with necessary modifications in ship mortgages and there exist only provision in section 787 of the commercial law for the shipping mortgage. There is no regulation dealing with the concept of the vessels under constructions or the time of its registr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by examining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and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ing to Registration of rights in respect of vessels under Constructions which are about the problems of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s under constructions raised questions and the problems vested with ownership, the time of settlement of mortgage and the range of effects of mortgages. There are two ways of constructing vessel. One is that a constructor build a vessels by oneself and sell the finished vessel to a buyer, the other is to be asked by an orderer. Not to mention, the latter is general nowadays. This study is also going to go over the vessels under constructions bringing the latter into question which is complicated and raise disputes sometimes. The field of maritime law i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But korea assume an adopting attitude about contents of convention without joining maritime conventions. In the commercial law revisions, problems above mentioned should be reflected on adopting contents of convention in the view of legislation.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legislation talks about those proble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 KCI등재

        해사전문법원의 설립 및 관할권에 관한 연구

        김인유(Kim, In-yu),최성수(Choi, Sung-soo) 한국법학회 2022 법학연구 Vol.86 No.-

        이 논문은 해사전문법원의 설립을 위한 설립 타당성, 해사전문법원의 관할권 문제, 해사전문법원의 구체적인 설립안 등을 다룬 연구이다. 해사분쟁을 공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해사전문법원을 설치하여 관련 분야의 법리에 정통한 법관으로 하여금 사건을 처리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해사분쟁 처리의 신속·효율성을 증대시키고 해사분쟁 해결에 따른 비용의 해외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해사사건을 전문적으로 처리할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해사법의 발전에도 기여함은 물론이고 해사관련 판결에 대한 신뢰구축을 통한 해운산업 국가 경쟁력에도 일조할 것이다. 대외적으로는 해사/해상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고, 특히 중국, 홍콩, 싱가포르는 해사법원 설립 등으로 이미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움직임도 우리가 해사전문법원 설치를 서둘러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해사전문법원을 설치하는 경우, 현재 운영하고 있는 법원의 해사전문재판부와의 비교검토가 필요할 것이고 또한 현행 법원조직법이 인정하고 있는 전문법원 4가지 중에서 해사법원은 어느 형태를 취할 것인지, 해사전문법원의 토지관할 및 심급관할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 것인지, 그리고 어느 지역에 해사전문법원을 설치할 것인지 등의 문제가 검토되어야 한다. 현재 운영하고 있는 해사전문재판부는 해사사건만을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거래, 언론, 중재 등을 함께 처리하고 있어서 전문성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현재의 사건처리에만 국한한다면 해사전문재판부의 운영으로도 가능하겠지만, 해사사건의 전문성을 담보하고 우리 기업의 소송 비용 역외 유출을 막고, 장기적으로는 해외 사건 국내 유입이라는 법률시장의 확장가능성의 측면까지를 고려한다면 해사전문법원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해사법원의 형태와 관련하여서는 해사사건의 특수성과 사건수를 고려하여 행정법원이나 회생법원 형태의 해사전문법원의 설립(지방법원급)이 타당하다. 해사전문법원의 토지관할 및 심급관할과 관련하여서는 토지관할은 전국으로 하고, 제1심 내지 제2심을 모두 해사전문법원의 전속관할로 할 것을 제안한다. 설치지역과 관련해서는 내륙에 있는 도시가 아닌 중국 등 외국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해안도시 등 특정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선박이 입출항하는 항구에서 선박집행이 이루어지고, 신속을 요하는 선박집행의 특성상 항구도시에 해사전문법원을 설치할 필요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maritime court, the jurisdiction of the specialized maritime court, and a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maritime court. The establishment of a maritime specialized court entails a large amount of expenses, so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pecialized Justice Department currently in operation shall be reviewed. If it is limited to the current handling of maritime affairs, it can be operated by the Specialized Justice Department, bu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the legal market, which prevents the outflow of costs due to maritime litigation, and inflow into Korea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alized maritime court. Since the maritime affairs case has a special aspect and there are not many cases, it would be reasonable to establish a specialized maritime court such as the specialized administrative court. It is proposed that the jurisdiction of land shall be nationwide, and that all of the first and second trials shall be under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the specialized maritime courts. Regarding the installation area, it seems desirable to install it in a coastal city as in the case of a foreign country rather than an inland city. In particular, the ship execution takes place at the port where ships enter and depart from,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ships depart in a short time due to the development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hip execution,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alized maritime courts on the coast cities like China.

      • KCI등재
      • KCI등재

        자율운항선박과 민사책임

        김인유(Kim, In-yu)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9 No.-

        자율운항선박을 선도하는 영국, 노르웨이, 일본 등 해운선진국들은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선점을 위하여 자율운항선박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작년에 1,603억원을 지원하여 2030년까지 Level 4 수준의 완전무인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추진한다고 발표하는 등 해운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자율운항선박 개발에 대한 주도권 쟁탈전이 치열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법제 정비측면에서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민사책임, 즉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계약책임, 불법행위책임 및 제조물책임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자율운항선박 건조계약상 책임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많이 행하고 있는 일본조선소협회의 건조계약서 및 국내 조선소의 건조계약서상 책임관련 내용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 선박의 하자로 인한 확대손해에 대해서는 건조자에게 배상책임을 물을 수는 없었다. 따라서 자율운항선박 시스템의 결함으로 인한 확대손해의 배상은 불법행위책임이나 제조물책임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자율운항선박 충돌로 인한 불법행위책임과 관련하여, Level 2와 Level 3에서 육상운항관리자의 책임문제와 Level 4에서 자율운항 시스템의 권리주체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Level 4 선박충돌의 경우에도 책임의 주체는 선박을 통해 이익을 향유하는 선박소유자이고, 자율운항선박 또한 선박소유자가 운항이익을 누리고 있고, 자율운항 시스템에 의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자율운항선박을 지배하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자율운항선박의 책임의 주체는 선박소유자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이다. 다만 시스템의 오류 등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제조물책임법을 통한 구제, 즉 선박소유자와 시스템 제조자를 책임의 주체로하여 선박소유자와 시스템 제조자를 부진정연대책임을 부담하게 하자는 제안이다. 마지막으로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제조물책임과 관련하여, 선박의 경우 선박 자체의 손해나 영업손실은 제조물책임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판례의 태도이고, 선박에 적재된 운송물 등의 손해는 운송인과 화주간의 운송계약 책임으로 해결되므로, 선박건조자가 선박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 계약책임이나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하는 정도로 해결되는 것이 거래 실정이었다. 그러나 국내 사례에서 본 바와 같이 운송인은 숨은 하자를 주장하여, 그리고 해외사례에서는 선주책임제한을 들어 선주나 해상운송인은 면책되었고 화주의 피해 구제는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Level 4의 자율운항선박의 시대로 이어지면 화주의 피해전보를 위해서는 제조물책임법에 문의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상 내지는 선박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선박의 결함으로 운항하지 못해 발생한 영업손실은 확대손해로 보아 제조물책임법상 손해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about civil liability for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However, it was limited to contract liability, tort liability and product liability. First, in relation to the responsibility for the construction contract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the contents of the responsibility in the construction contracts at domestic & International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builder could not be held liable for any damages caused by the ship’s defects. Therefore, compensation for expansion damages caused by defects in the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must be resolved by tort liability or product liability. Second, in relation to the liability for tort liability due to the collis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the responsibility issues of the land navigation managers at level 2, level 3 and the rights subjectivity of the autonomous system at level 4 were review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evel 4 ship collision,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should still be seen as the owner of the ship, However, if there is a defect in the system, both the shipowner and the system manufacturer are responsible. Lastly, with regard to product liability for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In the case of ships, it is a precedent that damages of the ship itself or operating losses are not subject to product liability. In addition, the damage to the cargo loaded on the ship was resolved by the responsibility of the transportation contract between the carrier and cargo owner. but entering the era of Level 4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cases inquiring about product liability law will increas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or the ship, I think that the operating loss due to the defect of the ship should be protected by the product liability law.

      • KCI등재
      • KCI등재

        대학교수 발명의 직무발명 해당성에 관한 연구 -각 대학의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을 중심으로-

        김인유 ( Kim In-y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一鑑法學 Vol.0 No.40

        이 연구는 대학교수의 발명이 직무발명에 해당되는지, 해당된다면 그 성립요건은 어떠한지, 나아가 직무발명에 대한 특허등 권리 귀속관계 및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 등의 쟁점에 관해, 발명진흥법상 직무발명에 대한 해석론 및 각 대학 지식재산권 관련 규정의 분석을 토대로 각 대학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의 통일적인 정비를 위한 개선안 제시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대학교수 발명의 직무발명 해당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규정이 없이 발명진흥법상의 직무발명을 근거로 동법상의 직무발명에 대한 정의규정을 각 대학 산학협력단의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에 그대로 인용한 정도인 것이 현실이다. 모든 대학교수 발명이 직무발명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만큼 사안별로 분류하여 직무발명 해당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근거로 대학교수 발명의 직무발명 범위를 각 대학 지식재산권 규정에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즉 대학교수가 대학의 연구시설이나 인력을 활용하여 그 직무와 관련하여 창출한 지식재산, 대학이나 국가 또는 정부부처와 그 출연기관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과제를 수행한 결과로서 창출한 지식재산, 외부 기업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고 수행한 연구용역 과제라도 대학시설이나 인력을 활용하여 수행할 결과로서 창출한 지식재산은 직무발명으로 보고,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자유발명으로 정의하자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학교수 발명에 대한 직무발명 해당성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설정되고, 이 기준을 충족하여 직무발명으로 인정하게 되면, 직접 발명한 교수에게는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내 합리적인 보상 기준 등의 정립이 시급하다고 할 것인데, 이를 위해 보상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어 왔던 직무발명에 대한 수익기간의 명시, 퇴직 및 사망시의 보상문제 등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한 바, 이를 포함한 대학교수의 직무발명의 정의, 구체적 기준설정을 통한 적용범위 등에 대한 각 대학 지식재산권 관련규정의 통일적인 정비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lative regulations of Invention promotion act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each university about whether university professors’ inventions are appliable to employee invention or not and its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scheme. In case of whether university professors’ inventions are applicable to employee invention, it is the situation that Research & Development Business Foundation of each university states regulat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quoting relative regulations of employee invention on Invention promotion act. It is essential to specify the boundary of employee invention on the regula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each university by classifying all of the case of university professors’ inventions, and deciding whether it is appliable to employee invention or not. For instance, it could be employee invention that university professors create intellectual properties by using research facilities of ‘their university’ regardless of having supported research funds by government or company. If the invention is recognized to be employee invention, it is necessary for professor who makes the invention in person to take proper compensation. To do this, because setting the standard of resonable compensation is essential, this paper suggests improvement schemes about specification of period of earnings, compensation in retirement or death, and so on.

      • KCI등재

        硏究論文(연구논문) : 외국에서 실행된 선박경매의 승인에 관한 연구 -베이징 초안을 중심으로-

        김인유 ( In Yu Kim ) 한국해법학회 2013 韓國海法學會誌 Vol.35 No.2

        이 논문은 외국에서 실행된 선박경매의 승인에 대한 국제협약초안의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이에 대한 최근의 국제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함으로써 장차 우리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외국선박에 대한 경매와 그 문제점을 논한 후에 외국에서 실행된 선박경매의 승인에 대한 국제협약초안의 내용을 검토하는 한편,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외국선박에 대한 경매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의 근본적인 이유는 국내사안과는 달리 외국적 요소가 있는 외국선박에 대한 경매의 경우, 실체법상의 권리는 선적국법에 의하고, 절차적인 문제는 법정지법에 의하게 되는데, 각국의 실체법이나 절차법은 상이하다는 데에 있고, 또한 이에 대한 국제협약을 체결하는 등의 조치가 없는 이상 이해관계인에 대한 통지나송달의 문제, 등기촉탁의 문제 등은 주권침해의 소지가 있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외국에서 실행된 선박경매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국제기구의 노력의 일환으로 외국에서 실행된 선박경매의 승인에 관한 국제협약초안이 2012.10.19. 중국 베이징에서 제안되었는데, 이는 조선 강국이자 선박거래가 많은 우리나라로서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며 이 협약초안에 대처하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협약초안에 따르면 외국에서 실행된 선박경매의 경우 이해관계인에게 통지하는 등 적법한 절차를 거치면 이 선박에 붙어 있던 모든 권리는 소멸하고 선박의 소유권은 아무런 부담 없이 매수인에게 이전하게 된다. 그리고 경매법원은 매수인의 요청에 따라 경매가 행해진 국가의 법률 및이 협약에 따라 경매가 이루어졌다는 증명서를 발급해 주어야 하며, 이증명서가 발급되면 선적국 법원은 외국법원이 실행한 경매를 승인하여야 하고, 기존 등기를 말소하고 매수인 명의로 등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인데, 이 협약초안에 따르면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안들은 많이 해소될 것이며, 원활한 선박거래도 많이 행해지리라 기대된다. 다만 이 협약초안을 근거로 장차 본 협약이 성안되어 효력을 발휘하더라도 이 협약에 우리나라가 가입하지 않을 경우를 상정하여, 이 협약초안이 시사하는 바에 착안하여, 예컨대 이해관계인에 대한 통지의 문제, 외국에서 실행된 경매의 승인을 위한 요건이나, 승인거부사유, 승인시 매수인명의로의 등기절차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 법제에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is written for understanding this latest international trends and vitalizing about their discussions by introducing the contents of the Draft International Convention on Recognition of Foreign Judicial Sales of Ships. This study first discusses Judicial Sales on Foreign Ships and its problems, and then reviews the contents of Draft International Convention on Recognition of Foreign Judicial Sales of Ships, and finally presents the implications upon Korean Law.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problems that are occurred from Judicial Sales on Foreign Ships is that substantive rights are followed by law of flag and procedural issues are followed by lex fori in case of Judicial Sales on Foreign Ships, but substantive or procedural law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For solving these problems, ‘A Draft International Convention on Recognition of Foreign Judicial Sales of Ships’ is proposed in Beijing, China, on 19 October, 2012.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raft international convention. According to this draft convention, in case foreign judicial sales of ships, Notices of Judicial Sale have been provided prior to such Judicial Sale by the competent Authority to (a) The authority in charge of the Ship`s register in the State of Registration, (b) All holders of registered Mortgages or Registered Charges, (c) All holders of Maritime Liens, provided that the Competent Authority conducting the Judicial, Sale has received notice of their respective claims, (d) The Owner of the ship. and the Court of each State Party on the application of a Purchaser shall recognize a Judicial Sale conducted in any other State Party with a Certificate issued, as having the effect:(i) that the ownership of the Ship has been transferred to the Purchaser and all rights, title and interests in the Ship existing prior to its Judicial Sale have been extinguished; and (ii) that the Ship has been sold free of all registered Mortgages and Registered Charges, except those assumed by the Purchaser, all other Charges, all Maritime Liens and other liens, and all encumbrances and claims of whatsoever nature and howsoever arising. According to this draft convention, I hoped that many issues pointed out to be the problem will be solved, and dealing on ships will be conducted smoothly. Nevertheless, if this draft convention becomes effective from now on, possibility of Korea joining it will be very low. Thus, I hoped that this draft convention makes chance to be accommodated in the legislation of Korea by paying attention to what this draft convention implicates:Notices of Judicial Sale on Interested Person,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of Foreign Judicial Sales of Ships, Circumstances in which Recognition may be Refused, the register proceeding the Ship in the name of the Purchaser, and so fo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