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기생충〉의 기택 가족을 통해 본 인물의 성격 유형과 캐릭터 아크 라이(LIE)의 상호 연관성 연구

        김의준(Kim Eui Ju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0 영상기술연구 Vol.- No.34

        For creators, the composition of characters has always been an object of concern as an inevitable task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a plot. Accordingly, various theories necessary for character composition have been steadily studied. The character arc theory along with the enneagram can be used as a very useful tool for the creator in that it can explain the internal change of a character. However, since Enneagram theory and character arc theory are separate theoretical systems, in order to organically integrate and use the two theories, a systematic summary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ories is required.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type and the lie of character arc, we set the distorted pursuit of desire by character type, and how each character"s lie is constructed within this framework. It was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four members of Ki-Taek’s family formed Lie, which corresponds to the distorted desire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to which they belo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lind pursuit of a desire specialized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its justification could be the definition of the Enneagram aspect of Lie.

      • KCI등재
      • KCI등재

        광물자원탐사를 위한 거도광산지역의 산화형 스카른 금광상모델 예비연구

        김의준,박맹언,성규열,Kim, Eui-Jun,Park, Maeng-Eon,Sung, Kyul-You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4

        태백산 광화대 중부에 위치한 거도광산은 최근 수 십년간 휴광상태이지만, 1963년부터 철과 동을 개발하였던 지역이다. 거도광산 지역은 장산규암, 묘봉층, 풍촌층, 화절층, 동점층 및 두무골층과 후기에 이를 관입한 백악기 어평화강 암체로 구성되어 있다. 거도 스카른을 형성시킨 어평화강암체의 조성은 상대적으로 산화된($Fe_2O_3/FeO=0.3{\sim}1.1$) 자철석계열의 석영몬조섬록암과 화강섬록암으로, 이들의 관입은 묘봉층, 풍촌층 및 화절층 내에 스카른 광화작용을 발달시켰다. 근지 외성 스카른은 어평화강암체 인근의 철이 부화된 안드라다이트(andradite) 석류석($Ad_{44-95}Gr_{1-53}$)이 우세한 지역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철이 결핍된 투휘석($Hd_{10-100}Di_{0-89}$)이 우세한 지역의 순으로 대상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석류석과 휘석의 다른 분포 특성은 모암의 조성 및 물/암석비 등의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전체 스카른 시스템의 산화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거도광산의 금은 주로 근지의 적갈색 내지 갈색의 석류석이 우세한 스카른에서 산출되며, 성인적으로 함 비스무스-텔루륨 광물들과 밀접한 공생관계를 가진다. 거도광산의 금광작용과 관련된 관입암의 화학조성, 스카른대의 분포와 금의 산출특성 등은 산화형 스카른 금광상의 환경을 지시하며, 높은 석류석/휘석비를 갖는 스카른대가 탐사대상이 된다. 그러나 연구지역의 수평적 대상분포 외에 수직적 대상분포 특성에 대한 정밀탐사가 요구된다. 이는 거도광산 스카른대의 3차원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보다 체계적 탐사 및 구체적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The Geodo mine area, had been developed for Fe and Cu ores since 1963 and abandoned in recent decades,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Taebaeksan mineralized district. This area comprises of the Jangsan, Myobong, Pungchon, Hwajeol, Dongjeom, and Dumugol Formations in ascending stratigraphic order. These Formations were intruded by the Cretaceous Eopyeong granitoids that appears to produce the Geodo skarn. Their compositions are relatively oxidized quartz monzodiorite to granodiorite (magnetite series, $Fe_2O_3/FeO=0.3{\sim}1.1$). Mineralizations related skarn deposit occur in the Myobong, Pungchon, and Hwajeol Formations. The proximal skarn is zoned from andraditic garnet ($Ad_{44-95}Gr_{1-53}$) predominant adjacent to the Eopyeong granitoids to diopsidic pyroxene ($Hd_{10-100}Di_{0-89}$) predominant away from the one. The differential proportion of garnet and pyroxene is generated by water/rock ratio and their source, such as magmatic and meteoric water. This is useful tool for assessment the overall oxidation state of the entire skarn system. Gold occurs in proximal red to brownish garnet skarn, and genetically associated with Bi- and Te-bearing minerals. Skarn deposit developed in the Geodo mine area is considered as oxidized Au skarn category,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opyeong granitoids, zonation of skarn, and gold occurrences. Garnet-rich skarn zone will be the main target for exploration of gold in the study area. However, it is needed to the detailed survey on vertical zonation of this area as well as lateral zonation. The result of this survey would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the exploration of the skarn Au deposit in the Geodo mine area.

      • KCI등재

        페루 수빠라우라 산화동 산출지의 특성: 예비연구

        김의준,허철호,고상모,Kim, Eui-Jun,Heo, Chul-Ho,Koh, Sang-M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1

        페루 남중부 아방까이 일대 수빠라우라 지역 산화동 산출지의 주변지질, 광상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지역은 중생대 백악기의 석회암과 사암층을 기반암으로 하여 신생대 제 3기 화강섬록암, 토날라이트, 안산암질 반암 등이 기반암을 관입하고 있다. $N70^{\circ}W$ 주향과 $60^{\circ}NE$ 경사의 적색 사암 층리변을 따라 최대 30 cm 폭의 동광화작용이 관찰된다. 이는 반암형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동광화작용과는 완전히 다른 변질작용, 광물조합, 산출특성 등을 가지며, 미시시피 밸리 유형에 해당하는 층준큐제형 퇴적암-모암 동광상 (Stratiform Sediment-hosted Copper deposits: SSC)에 대비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eological survey on the occurrence of copper oxide in Suparaura area around Abancay in the south-central part of Peru had been carried out. Geology of the area is composed of granitoids such as granodiorite, tonalite and andesitic porphyry related to Tertiary igneous activity, Ferrobamba formation with Cretaceous limestone and sandstone in descending order. Red sandstone is widely distributed and emplaced with their attitude of $N70^{\circ}W$ strike and $60^{\circ}NE$ dip. Copper oxides were mineralized along the bedding plane of red sandstone with maximum width of 30 cm. Ore-body structure bounding red sandstone strata have different occurrence characteristics with generally known porphyry system in terms of alteration, mineral assemblage and occurrence mode.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stratiform sediment-hosted copper (SSC) deposits genetically corresponding to Mississippi-valley type from preliminary study.

      • KCI등재

        스토리 창작에 있어 주도적 아이디어가 캐릭터 아크와 플롯 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의준(Eui-Ju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스토리 창작에 있어 주제(주도적 아이디어)가 캐릭터 아크 선정와 플롯 선택에 있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스토리창작자는 창작과정에서 캐릭터와 플롯 사이에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며, 시나리오 작법서의 경우 대부분 이 두 가지 개념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작법 이론을 구축해왔다. 그러나 보다 완성도 높은 창작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캐릭터 아크와 플롯의 구성을 규범적으로 주도할 다른 차원의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캐릭터 아크와 플롯은 그 자체로 이야기 창작의 수단이지 목표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궁극적으로 창작자가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 믿음, 그리고 통찰력을 관객에게 제시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본 연구는 주제(주도적 아이디어)를 작품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고, 주도적 아이디어가 캐릭터 아크와 플롯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스토리 창작의 주요 개념인 주제(주도적 아이디어)와 캐릭터 아크, 플롯의 유형과 상호 연관성을 이론적으로 먼저 고찰하고, 이것을 영화〈끝까지 간다〉에 적용하여 창작 핵심 개념 간 상호 연관성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주도적 아이디어가 캐릭터 아크와 플롯 선정에 규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the theme (controlling idea) in selection of character arc and plot in story creation. Typically, the story creator tries to establish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plot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in the case of the scenario writing book, most of them have constructed the writing theory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However, in order to produce more sophisticated crea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ideas of another dimension to lead normatively the composition of character arcs and plots. The reason is that character arcs and plots in themselves are a means of story creation, not a goal. The story is ultimately aimed at presenting to the audience the vision, faith, and insight that the creator sees in hum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theme (controlling idea) as a core concept that gives unity to the whole work and theoretically examine how the controlling idea influences character arc and plot composi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 the types and interrelation of the theme (controlling idea), character arc, and plot,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story creation, and apply it to the film "A Hard Day" to verify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we confirmed that the theme (controlling idea) plays a normative role in character arc and plot selection.

      • KCI등재

        에티오피아 남부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의 분화양상과 희유원소 광화작용

        김의준,수영,문동혁,고상모,Kim, Eui-Jun,Kim, Soo-Young,Moon, Dong-Hyeok,Koh, Sang-M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5

        켄티차(Kenticha) 희유원소(Ta-Li-Nb-Be) 광화대는 에티오피아 남부의 오피올라이트 습곡-쓰러스트 복합체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0년대 에티오피아-구소련간 수행된 공동탐사 프로그램을 통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켄티차 희유원소 광화대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덜미다마(Dermidama), 킬킬리(Kilkele), 슈니힐(Shuni Hill), 켄티차, 부포(Bupo) 페그마타이트를 포함한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는 남북방향의 사문암과 활석-녹니석 편암층을 평행하게 관입하고 있으며, 대략 연장 2 km, 폭 400-700 m로 노출되어 있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는 내부적으로 대상(zoning)을 이루고 있으며, 광물조합에 따라 하부 석영-백운모-조장석 화강암, 중부 백운모-석영-조장석-미사장석 페그마타이트, 상부 스포듀민-석영-조장석 페그마타이트로 세분된다. 주성분, 미량성분(Rb, Li, Nb, Ta, Ga), 원소비(K/Rb, Nb/Ta, Mg/Li, Al/Ga)는 페그마타이트의 분별작용과 고화작용이 하부에서 상부 페그마타이트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일반적인 페그마타이트 멜트의 분화양상과 달리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의 Mg/Li 비는 상부 페그마타이트로 가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후기 마그마성 열수변질 또는 상부 초염기성암과의 반응 결과로 해석된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의 희유원소 광화작용은 상부 페그마타이트에 집중되며, 최대 $Li_2O$ 3.0%, Rb 3,780 pm, Cs 111 ppm, Ta 1,320 ppm, and Nb 332 ppm을 함유하고 있다.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에서 광석광물은 주로 탄탈라이트, 스포듀민, 레피돌라이트가 산출되며, 탄탈라이트는 거정의 석영-스포듀민과 상대적으로 세립의 당상 조장석과 함께 산출된다. 탄탈라이트는 $Mn^*$과 $Ta^*$ 값에 근거할 때 Mn-탄탈라이트로 분류된다. 거정질과 세립의 탄탈라이트는 조성($Mn^*$, $Ta^*$, Nb/Ta) 차이가 명확히 나타나며, 거정질 탄탈라이트는 세립의 탄탈라이트에 비해 Ta이 강하게 부화되며 Nb은 결핍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켄티차 페그마타이트에서 희유원소 광화작용은 마그마 멜트의 분별작용 최후기에 형성되었다. The Kenticha rare-element (Ta-Li-Nb-Be) mineralized zone is located in ophiolitic fold and thrust complex of southern Ethiopia and was firstly discovered by joint exploration program of Ethiopia-Soviet in 1980s. It includes Dermidama, Kilkele, Shuni Hill, Kenticha, and Bupo pegmatites from south to north. The Kenticha pegmatite intruded parallel to NS-striking serpentinite and talc-chlorite schist, and is exposed approximately 2 km length and 400-700 m width. The Kenticha pegmatite is internally zoned and subdivided into lower quartz-muscovite-albite granite, intermediate muscovite-quartz-albite-microcline pegmatite, and upper spodumene-quartz-albite pegmatite, based on their mineral assemblage. The major, trace elements (e.g., Rb, Li, Nb, Ta, and Ga), and element ratios (e.g., K/Rb, Nb/Ta, Mg/Li, and Al/Ga) suggest that the fractionation and solidification of pegmatite have progressed from the lower towards upper pegmatite. In contrast, unlike general magmatic fractionation, Mg/Li ratios of the Kenticha pegmatite tend to be increased towards the upper pegmatite. It may result from post-magmatic hydrothermal alteration and/or interaction with upper ultramafic rock. Rare-element mineralization in Kenticha pegmatite concentrates on the upper pegmatite, which contains up to 3.0 wt % $Li_2O$, 3,780 ppm Rb, 111 ppm Cs, 1,320 ppm Ta, and 332 ppm Nb. Ore minerals in Kenticha pegmatite mostly include tantalite, spodumene, and lepidolite, and tantalite has an association with coarser quartz-spodumene and relatively fine sacchroidal albite. The tantalite is classified into Mn-tantalite as a function of $Mn^*[Mn/(Mn+Fe)]$ and $Ta^*[Ta/(Ta+Nb)]$ values. Its compositions ($Mn^*$, $Ta^*$, and Nb/Ta) between coarse and fine tantalites are different and the former is strongly enriched in Ta and depleted in Nb compared to latter one. In conclusion, rare-element mineralization in the Kenticha pegmatite may has occurred in the latest stage of magmatic fractio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