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은심(Eun Shim Kim),김원우(Wonwoo Kim) 한국생활환경학회 2011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8 No.6
In an attempt to offer a safe place for those children who live in an apartment complex, playgrounds have been installed almost from the beginning when the first apartment was built. The sites of the playgrounds have been chosen based on availability without making a detailed review of their daylight environment.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a proposal for a practical method for predicting daylight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brightness in a playground for children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With this end in mind, research has been made into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and literature in an attempt to choose the right methodology of evaluating the daylight environment of the playgrounds. Also it tried to verify, through case studies, whether the methodology chosen could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actual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along with the daylight durations, the sky ratio should be measured in order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light environment at a playgroun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daylight duration be calculated by using the sun path diagram while the sky ratio be calculated by using the sky ratio diagram.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s a way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aylight environment of a playground.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used when setting the standards for the daylight environment of a playground at an apartment complex or when picking a site for a playground to be installed within an apartment complex.
김은심(Kim, Eun-Shim),유지안(Yoo, Ji-A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창작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을 분석하여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중목욕탕이 등장하는 그림책 5권을 선정하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에 나타난 목욕탕 공간은 유아의 놀이욕구를 해소하는 공간, 이웃과 이웃의 경계를 넘어서는 만남의 공간, 현실과 환상을 연결해주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 공간 중 하나인 대중목욕탕이 그림책에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었으며 유아들이 목욕탕 공간과 어떠한 관계맺음을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가 대중목욕탕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유아의 경험과 관련지을 수 있는지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blic bath space shown in domestic children"s picture books and examine its significance. For this purpose, five picture books with public bath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bath space shown in the picture books became a space for children to relax their desire to play, a meeting place across the boundaries of neighbors and neighborhoods, and a space connecting reality and fantasy.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 the public bath, which is one of the spaces experienced by children, is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was explained. These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can be used to help children perceive public bath space to understand how it is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
유치원교사의 음악에 대한 전문적 자질 및 자질향상노력과 음악교수능력과의 관계
김은심(Kim Eun-Sh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음악에 대한 전문적 자질 및 자질향상노력과 음악교수능력 간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치원교사의 교수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교사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일원변량 분석으로 결과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음악에 대한 전문적 자질과 자질향상노력, 음악에 대한 전문적 자질과 음악교수능력, 자질향상노력과 음악교수능력이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음악교수능력이 음악에 대한 자질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음악교수능력이 음악에 대한 자질향상노력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traits, teaching ability, and efforts to improve teaching skill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usic. If intend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 teaching and basic data for kindergarten education. For this purpose, 144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do were selected to answer a questionnaire regarding music education. The questions were organized into three major areas, such as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bilities, their professional traits and their efforts to improve teaching skills. Demographic variables were also included to find out individual differences. The major results of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test using the SPSS WIN 14.0 are as follows: 1)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bilities, their professional traits, and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2) Teachers' teaching ability i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their professional traits is raised. 3) Teachers' teaching capacity i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s teachers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공군 병사의 자아탄력성, 정적 정서, 부적 정서가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은심(Kim, Eun-Shim),공정현(Kong, Jeong-Hy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는 공군병사의 자아탄력성,정적 정서,부적 정서가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조사 연구로 공군 병사 3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평균점수는 3.11점,정적 정서 평균 점수는 3.46점,부적 정서 평균 점수는 2.26점,군 생활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1.94점이었다.자아탄력성과 정적 정서는 유의하 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부적 정서 및 군 생활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자아탄력성은 군 생활 스트레 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는 군 생활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고,정적 정서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적 정서 및 군 생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he descriptive research tried in order to identify how the air force soldier’s ego-resilienc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of air force soldiers on their military life stres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21 air force sold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subjects average scores in terms of ego-resilienc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military life stress were 3.11, 3.16, 2.26 and 1.94 points, respectively. The factors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affec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factors of negative affect and military life stress showed some negative correlation. The ego-resilience indirectly influence on the subjects’ military life stress through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ffect, not directly influenced on them. And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ffects directly influenced on the subjects’ military life stress. Therefore it needs to reduce soldiers’ military life stress by developing a program to enhance soldiers’ ego-resilience and to do mor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이 허혈성 심질환자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김은심(Kim, Eun-Shim),최혜옥(Choi, Hy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 금연프로그램이 중재 횟수를 달리한 실험군1, 실험군2와 대조군의 금연 자기효능감, 니코틴의존도, 호기일산화탄소 농도, 금연성공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허혈성 심질환 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효과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성공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군1은 실험군2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성공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기 일산화탄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니코틴의존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허혈성 심질환자에게 제공한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중재 금연프로그램은 금연성공률의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중재 횟수에 따라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argeting 60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to determine how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that uses telephone counseling and text messaging (short message) affects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nicotine dependence, co levels, and smoking cessation rate of the first, second experimental group at varying times of arbitration and control group.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is program revealed the control group to have a significant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smoking cessation rate than the first and second group but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icotine dependence, co levels. In addition, although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self efficacy, smoking cessation rate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 levels than other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nicotine dependence. Therefore, a smoking cessation program that uses telephone counseling and text messaging (short message) for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worked for the smoking cessation rate and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depending on the times of arbitration.
김정희 ( Kim Jung-hee ),이혜정 ( Lee Hye-jeong ),유지안 ( Yoo Ji-an ),김은심 ( Kim Eun-sh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인 담당사서, 전문강사와 자원봉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각 기관에 따라 예산이 다르고, 소속기관과 담당사서에 따라 운영형태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진행의 계획과 운영은 전문강사와 자원봉사자의 재량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스타트 프로그램담당사서는 업무파악과 북스타트 프로그램 관련 행정적 업무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전문강사와 자원봉사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유아들의 도서관이용 횟수 증가,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활동 제공,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증진에 도움을 주는 것에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스타트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본질 찾기, 북스타트 프로그램 홍보, 교재교구 지원, 운영자 대상의 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스타트 프로그램 운영자의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ways to activate a bookstart program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the administrators who have experience with a bookstart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librarians who were in charge of the the program,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in that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okstart program appeare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 administration, particularly depending on the character, budget and librarian for each affiliated organiz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seem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Second, the librarians in charge of the bookstart program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administrative work related to the bookstart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volunteers had difficult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ors seemed to think that the children`s program was rewarding because of the increased number of visitations to the library, the activation part of the program that helped infant`s development, and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ird, activation of the bookstart program was needed to find the essence of the bookstart program, to promote the program for support of materials and textbooks, and to reeducate the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y recognizing what administrators think, we can consider meaningful ways to promote bookstart programs.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이은숙(Eun Suk Lee),김은심(Eun Shim Kim),유지안(Ji An Yoo)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에 나타난 미적요소, 미술표현, 심미적 태도가 연령별, 생활주제별로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미술교육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유아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첫째, 미적요소는 모든 연령에서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3세와 4세는 형태, 색, 질감, 선, 공간의 순으로 나타났고, 5세는 형태, 색, 공간, 질감, 선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표현은 모든 연령에서 입체표현보다 평면표현의 빈도가 더 높았으며 심미적 태도는 모든 연령에서 미학이 가장 높은 빈도로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미술활동의 미적요소, 미술표현, 심미적 태도는 생활주제에 따라 빈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에서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이 추구하는 목표인 심미감을 각 생활주제별로 고르게 반영하고 있으나 연령별로는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누리과정 개정 시, 예술경험 영역에서 추구하는 심미감을 반영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개정할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art activities for children. According to age groups and themes based on daily life, this study analyzes the aesthetic elements, artistic expression, and aesthetic attitude as described in the art experience criteria of 「The teachers’ guide book of Nuri-curriculum for ages 3-5 at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then attempts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of the art activitie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regarding aesthetic elements, shape was the most prominent element shown by children of all ages. In the age group of 3 to 4 years, the leading aesthetic elements shown were shape, color, space, texture and line in consecutive order. Also, regarding the artistic expression, two dimensional expressions were more frequently viewed than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in all age groups. In relation to the aesthetic attitude, there was concentration of high frequency in the area of ‘aesthetics’, which was observed in all ages. Secondly, aesthetic elements, artistic expression, aesthetic attitude described in the art experience criteria of 「The teachers’ guide book of Nuri-curriculum for ages 3-5 at child care cent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depending on the themes based on daily life, but appeared evenly distributed.
만 3세반 교사의 동작교육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김이슬(Kim, Yee-Seul),이혜정(Lee, Hye-Jeong),김은심(Kim, Eun-Shim)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6
본 연구는 만 3세반 교사의 동작교육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세반 담임교사, 연구자, 유아 2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약 12개월간 협력적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수업관찰 자료, 교사 및 연구자의 저널, 심층면담, 동작수업 관련 자료 등을 기초로 분석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협력적 실행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개별 유아에 대해 이해가 높아졌으며, 유아 주도의 동작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방법과 형태의 동작활동을 지원하는 교사로 변화되었다. 둘째,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는 자신이 주도하는 동작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었으며, 기본운동능력이 발달하며, 흥미도와 참여도가 높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작교육 교수능력 향상을 위해 효과적이고 실질적 방법으로 교사와 연구자 간의 연구 공동체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teachers and infant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actical research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motion education of 3-year-old early childhood class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homeroom teachers, researchers, and 24 infants of 3-year-old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collaborative action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12 months. Data collection was analyzed based on class observation data, journals of teachers and researchers, in-depth interviews, and movement class-related data. Firs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practical research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infants and evolved into teachers who supported infant-led, and various methods and types of movement activities. Second, through collaborative practical research, infants were able to freely participate in their leading motion activities, develop basic exercise skills, and increase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a research community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in an effective and practically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motion education.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역활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선의(Kim, Seun-Ui),김은심(Kim, Eun-Shim)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S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과 B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40명이다. 이들 중 M어린이집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에, B어린이집 유아 20명을 비교 집단에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개발한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을, 비교집단에는 개별적 동작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검사와 역할수용 능력검사를 실험 처지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동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역할수용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동작활동을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협동적으로 의논하고 함께 구성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역할수용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Movement Education Activity(CMEA) by applying it to five-year-old childre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MEA, forty children(twenty in the experimental group, twenty in the comparative group) from “M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participated in sixteen programs from June 5, 2013 to September 25, 2013. The CMEA for young children's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and role acceptance ability based on kindergarten daily life topics of the Nuri Curriculum for five-year-old children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dividual movement activities on the comparative group. The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was assessed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ating Scale of Kim, Yeong-Ok(2003). The modified testing tool of Lee, Yeong-Ha(1997) was used to assess role acceptance ability. A pretest was conducted for assessing the experiment groups' homogeneity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COVA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groups. In conclusion, the CMEA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improv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role acceptance ability.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implementing the CMEA in kindergarten classrooms is effective as it helps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pro-social behavior and role acceptance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