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스템 구성 인자를 고려한 외고정장치 시스템의 강성 해석

        김윤혁,이현근,Kim Yoon Hyuk,Lee Hyun Ke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4 의공학회지 Vol.25 No.6

        외고정장치를 이용한 골절 치료에서, 골절 부위에서의 절골편간 운동은 골절의 치유과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고, 이 미세 운동은 외고정장치-절골편 시스템의 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적의 골절 치유 과정을 부여하기 위하여 외고정장치 시스템의 구성 인자와 강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골 골절의 외고정술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에서 외고정장치 시스템의 구성인자가 시스템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 정렬, 재료 비선형성, 조인트 유연성 및 가골형성 등을 해석 인자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유한요소 모델은 실험 결과와 유사한 시스템 강성을 나타내었고, 조인트 유연성 및 재료 비선형성의 고려는 시스템 강성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시스템 비정렬상태, 조인트 유연성 및 재료 비선형성은 시스템 강성의 감소를, 그리고 골절 부위의 가골형성은 시스템 강성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외고정술시 시스템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프레임 구성이나 기구 설계 등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fracture treatment with external fixators, the inter-fragmentary movements at the fracture site affect the fracture healing process, and these movements are highly related to the stiffness of external fixation system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the optimal fracture healing at the fracture sit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iffness and the system configurations in external fixation syst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system configuration parameters on the stiffness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an external fixation system of a long bone. The system alignment, the geometric and the material non-linearity of the pin, the joint stiffness and the callus formation were considered in the finite element model. In the first, the system stiffness of the developed finite element model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data for model valid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joint stiffness and nonlinearity of the model improved the system stiffness results. The joint stiffness, the non-alignment of the system decreased the system stiffness while the callus formation increased the system stiffness. The present results provided the biomechanical basis of rational guidelines for design improvements of external fixators and pre-op. planning to maximize the system stiffness in fracture surgery.

      • KCI등재후보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에서의 방사선 작업 중 피폭선량 최소화를 위한 최적 작업경로 계획

        김윤혁,박원만,김경수,황주호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1

        - 원자력 발전의 안정성이 사회적 문제로 제기된 이후 작업종사자에 대한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의 방법에 의하면 방사선 작업 계획의 수립 시 작업 공간 내 선량률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피폭선량을 예측하므로, 작업 경로에 따른 피폭선량의 변화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와 선원과의 거리가 고려된 수정된 방사선 피폭량 계산식을 이용하여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에서의 작업 중 작업경로 변화에 따른 방사선 피폭량을 계산하였다. 이 계산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작업 공간과 선원 조건하에서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을 최소로 하는 최적 작업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수치해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2차원 작업공간에서 무한개의 작업경로를 유한개의 경로로 근사화하고 근사화된 모든 작업경로 중 피폭선량이 최소가 되는 작업경로를 탐색하였다. 또한, 3차원 그래픽 기술과 Java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가상작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작업 공간의 선량률 가시화 및 가상 작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방사선 작업 계획의 수립을 위한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 계산과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최적 작업경로는 작업자와 선원과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로로 제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방사선 피폭량은 작업시간뿐만 아니라 작업자와 선원간의 거리에 영향을 받음과 최적화된 방사선 방호를 위해 작업경로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One-Pot Synthesis of Highly Monodisperse Poly(lactic-co-glycolic Acid) Particles with Controlled Porosity as Efficient Drug Delivery Vehicles

        김윤혁,변준형,김병재,이기정,이재승,김태훈 대한화학회 2019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0 No.9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articles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materials, and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as drug delivery vehicles. While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additives have been used during and after the synthesis of the PLGA particles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functions, the shape control of the particles and observations of their shape-dependent properties have been rarely reported to dat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PLGA particles, including the slow degradation of PLGA and the resultant slow drug release, we synthesized porous PLGA particles with much higher surface area than in previous works. Unlike in previous studies, the porous PLGA particles in this work exhibit distinctive advantages such as a simpler synthetic scheme, improved size monodispersity, and controllable pore size distribution (approximately 1 ?m in diameter). Polyethylenimine (PEI) was chosen as a pore-generating material, which simplified the synthesis process significantly. The performance of the porous PLGA particles was evaluated using doxorubicin (DOX) and the A549 cell line as a drug and target cells of a model system, respectively.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cell viability, the DOX-loaded porous PLGA particles were determined to be five times more efficient than molecular DOX.

      • 이형성 고관절의 선반형성슬 전 · 후에서의 접촉압력 분포의 변화

        김윤혁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원 2005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Vol.11 No.3

        In this study, the change of contact pressur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ip joint in the shelf operation wa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2D-CT images from femur to pelvis were used to construct the finite element models, and the resultant force in the hip joint was calculated using the 3D expansion of the Ninomiya’s method. The dysplastic hip joint before the shelf operation surgery had lower center-edge angle, which is determined by the femoral head center and the lateral border of acetabulum, and higher contact pressure distribution than the hip joint after the surgery. The surgery recovered the center-edge angle to the normal anatomical range and increased the contact pressure area, thus decreasing the maximum contact pressure by 22 %. The present analysis method provides the biomechanical guideline of the optimal surgical planning to maximize the clinical outcomes in the surgery of hip dysplasia.

      • KCI등재

        A Laboratory-level Surgical Robot System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MIS) Total Knee Arthroplasty

        김윤혁,Huynh Le Minh 한국정밀공학회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2 No.2

        Recently, commercially available computer-aided surgical robot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to enable surgeons to improve the accuracy of cutting and alignment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The minimal invasive surgery (MIS) in the TKA has been increased since MIS can improve the surgical outcomes such as the recovery time and hospital stay by reducing the incision in surgery. However, current surgical robot systems do not provide the MIS TKA cap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aboratory-level surgical robot system to cut the bone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knee joint to provide MIS TKA. TKA experiments with saw bones of femur were compared between the conventional approach and the MIS approach. The incision length for the working space of the cutting tool and bone cutting time were decreased in lateral direction bone cutting. In addition, the cutting surface was smoother and the ranges of motion of all six joints were decreased in lateral direction bone cutting. Moreover, the cutting accuracy in terms of the lengths and angles of five cutting planes in femur were smaller in lateral approach than those in conventional approach. Therefore, consideration of bone cutting from the lateral direction in robotic TKA surgery sh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surgical outcomes in knee arthroplasty. The developed surgical robot system could be a platform of various orthopedic robotic surg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