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파를 이용한 출토 인골 DNA 추출법 연구

        김윤지,지상현,홍종욱,Kim, Yun-Ji,Jee, Sang-Hyun,Hong, Jong-Ouk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保存科學硏究 Vol.29 No.-

        Analyses of ancient DNA (aDNA) from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keletal material are characterized by low quality. Many soil contaminants such as humic acid, fulvic acid, and bone collagen are often co-extracted with aDNA and inhibit amplificati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is study, we compared with two methods of DNA extraction by phenolchloroform extraction and silica-bead extraction. In addition, we applied new protocol, ultra sonication based silica-bead extraction method to extract aDNA from some ancient human skeletal remains. This method was more effective by both mitochondrial DNA (mtDNA) and amelogenin gene amplification. 고고 유적지에서 출토된 뼈에서 추출한 DNA는 부식산과 풀빅산 등의 토양성분과 콜라겐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DNA의 추출 및 분석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phenol 추출법, silica 추출법 등 두 가지 대표적인 고대 DNA 추출법의 효율을 DNA 증폭 결과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울트라급의 초음파를 시료 용해에 적용한 후 silica 추출법으로 DNA를 분리한 방법이 기존의 phenol 및 silica 추출법에 비하여 미토콘드리아 DNA와 아밀로제닌 유전자 증폭 결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아산시 명암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김윤지,김수훈,조은민,이정원,Kim, Yun-Ji,Kim, Sue-Hoon,Cho, Eun-Min,Lee, Jeong-won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保存科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유적 9지점에서 발굴조사 된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 초기 분묘 출토 인골 27개체를 대상으로 고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실리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출토 인골로 부터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과변이지역을 9지역으로 나누어 PCR법에 의해 부분 증폭을 실시하였다.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과변이지역의 변이형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18개체의 mtDNA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아멜로제닌 유전자 분석에 의한 성결정은 M-26, M-29, M-37(L), M-49(R)의 4개체만이 분석되었고 모두 여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ancient DNA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human skeletal remains from a historical cemetery site in Myeongam-ri, Asan, Korea. Human remains of 27 individuals out of tombs from the Goryeo to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alogy of the population and traditional burial pattern of the cemetery,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hyper variable regions (HVRs) in mitochondrial DNA (mtDNA) of each sample. We sequenced 9 segmental amplicons of HVRs and assigned relevant haplogroups according to the sequence polymorphism on the basis of the known mtDNA database. As a result, we were analyses 18 human remains of 27 individuals and result of amelogenin analysis were only 4 samples.

      • KCI등재

        송이 자실체 기저부 토양으로부터 항균활성을 가지는 KM1-15 균주의 분리 및 분류학적 특성

        김윤지,황경숙,Kim, Yun-Ji,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1

        송이 자실체 기저부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268균주를 대상으로 식물병원성 곰팡이 7균주(Alternaria panax,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rioides, Fusarium oxysporum, Phytopthora capsici, Pythium ultimum, Rizoctonia solani)에 대해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인삼점무늬병원균(Alternaria panax)과 인삼탄저병원균(Colletotrichum gloeosprioides)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KM1-15 균주가 선발되었다. KM1-1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1,311 bp)을 결정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Bacillus $koguryoae^T$ (AY904033)와 99.6%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API 50CHE Kit를 사용하여 당 분해능에 대해 Bacillus $koguryoae^T$ (AY904033)와 비교 검토한 결과 KM1-15 균주는 L-arabinose, cellobiose, inulin, D-turanose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생리학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15:0 anteiso (35.78%), 17:0 anteiso (17.97%)를 함유하였으며, 13:0 iso 3-OH, 14:0 iso3-OH, 15:0 iso 3-OH, 그리고 17:0 iso 3-OH와 같은 다양한 분지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퀴논종으로는 MK-7 (100%)을 가지고, G+C함량은 43.7%를 나타내었다. 또한 protein과 starch에 대한 가수분해능이 탁월하여 KM1-15 균주는 병해충 방제제 및 토양개량제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wo hundred and sixty-eight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basal soil.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even plant pathogenic fungi (Alternaria panax,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rioides, Fusarium oxysporum, Phytopthora capsici, Pythium ultimum, Rizoctonia solani) of isolates, strain KM1-15 showed strong antibiotic activity against Alternaria panax and Colletotrichum gloeosprioides. In determining its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16S rDNA sequence, KM1-15 strain was most closely related to Bacillus $koguryoae^T$ (AY904033) (99.62%). When assayed with the API 50CHE Kit, unlike Bacillus koguryoae, it is positive for utilization of L-arabinose, cellobiose, inulin, and D-turanose. Results of cellular fatty acid analysis showed that major cellular fatty acids were 15:0 anteiso (35.78%) and 17:0 anteiso (17.97%). In particular, hydroxyl fatty acids such as 13:0 iso 3-OH, 14:0 iso 3-OH, 15:0 iso 3-OH, and 17:0 iso 3-OH were only restricted to strain KM1-15. DNA G+C content was 43.7 mol% and quinone system was MK-7 (100%) in strain KM1-15.

      •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김윤지,유병민,이지영,Kim, Yun Ji,Yoo, Byoung Min,Lee, Ji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As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interest in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own. Object-Oriented 3D indoor space modeling inclu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performed in level of detail 4, and modeling data is able to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raw data which are as-built drawing, laser scanning, BIM data, and camera. 3D indoor space modeling has been worked based on established indoor space modeling process, and the resul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indoor space pedestrian navigation, facility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and so on.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has limitations to perform indoor space modeling efficiently, because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wastes time at modeling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purpose on supporting efficient indoor space modeling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ed process. Therefore, we define the requirements to evaluate the practical use of raw data and propose the verification method. In addition, as-built drawing which has been used in Seoul 3D indoor space modeling project will be applied to proposed method as a raw data. 최근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LoD 4 (Level of Detail 4) 수준의 객체지향 형태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시자료에 따라 준공도면, 레이저스캐닝, BIM데이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정립된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인 모델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실내공간 모델링 수행 지원을 목적으로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를 제안한다. 기존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활용도 평가를 위한 필요요건을 정의하고,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서울시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준공도면을 적용하여 수행한다.

      • KCI등재

        MBR에서 F/M비가 EPS 생성 및 fouling에 미치는 영향

        김윤지,최윤정,황선진,Kim, Yun-Ji,Choi, Yun-Jeong,Hwang, Sun-Jin 대한상하수도학회 2021 상하수도학회지 Vol.35 No.3

        In MBR,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 is known as an important factor of fouling; soluble EPS (sEPS) affects internal contamination of membrane, and bound EPS (bEPS)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cake layer. The production of EPS chang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influent, which affects foul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F/M ratio on the sEPS concentration, bEPS content, and fouling were evaluated. The effects of F/M ratio on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EPS were confirmed by setting conditions that were very low or higher than the general F/M ratio of MBR, and the fouling occurrenc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filtration resistance distribu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EP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he F/M ratio. When the substrate was depleted, bEPS content decreased because bEPS was hydrolyzed into BAP and seemed to be used as a substrate. In contrast, when the substrate is sufficient, UAP (utilization-associated products) was rapidly generated in proportion with the consumption of the substrate. UAP has a relatively higher Protein/Carbohydrate ratio (P/C ratio) than BAP, and this means, it has a higher adhesive force to the membrane surface. As a result, UAP seems like causing fouling rather than BAP (biomass-associated products). Therefore, R<sub>f</sub> (Resistance of internal contamination) increased rapidly with the increase of UAP, and R<sub>c</sub> (Resistance of cake layer) increased with the accumulation of bEPS in proportion, and as a result, the fouling interval was shortened. According to this study, a high F/M ratio leads to an increment in UAP generation and accumulation of bEPS, and by these UAP and bEPS, membrane fouling is prom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