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성 평가제도 동향

        김우년(Woonyon Kim),박응기(Eung-Ki Park),김신규(Sin-Kyu Kim),지윤석(Yoon-Seok J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9 情報保護學會誌 Vol.29 No.2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 취약점 발견의 증가, 사이버보안 사고로 인한 정전과 같은 물리적 피해 발생, 4차 산업혁명으로 확산되는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시트의 산업 제어시스템 네트워크 연계 증가 등으로 인해 산업 제어시스템에 대한 보안위협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 제어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보안 내재화를 유도하고, 산업 제어시스템의 도입, 운영, 유지보수 과정에서 사이버보안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는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성 평가제도의 동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의 국가기관, ISA, IEC, UL 등과 같은 국제 표준화 기구, TÜV SÜD, exida와 같은 글로벌 시험기관, GE와 같은 제조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성 평가제도를 설명하고, 평가제도를 분류하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동적 웹 페이지 변조 점검 시스템

        김우년(Woonyon Kim),김도환(Do hwan Kim),주미리(Miri Joo),박응기(Eungki Park),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 변조 점검 시스템은 해시 코드를 이용한다. 해시 코드 방법은 웹 페이지의 민감한 변화를 즉시 찾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인터넷 포털이나 뉴스 사이트 등의 동적인 웹 페이지의 경우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포털이나 뉴스 사이트 등과 같은 웹 페이지의 내용이 계속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N-Gram 색인 기반의 웹 페이지 변조 점검 시스템인 웹 레이더 시스템을 제시한다. 웹 레이더 시스템은 정상적인 웹 페이지의 N-Gram 색인과 점검시에 생성한 N-Gram 색인을 비교하여 두 인덱스의 동일 N-Gram의 발생 비율 차이를 합한 값을 N-Gram 색인 거리로 정의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 변조를 확인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웹 레이더 시스템은 구조화되지 않은 동적 웹 페이지의 변조를 점검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어망 특성을 반영한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 설계

        김경호(KyoungHo Kim),장엽(Yeop Chang),김희민(Heemin Kim),윤정한(Jeong-Han Yun),김우년(Woony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40 No.2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기술은 망간 자료전송 기술 중 하나로, 외부망에서 내부망으로의 데이터 전송회선 자체를 제거하여 외부망에서의 침입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한다. 이러한 높은 안전성 때문에 제어망 보안을 위해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을 제어망에 적용하기에는 단일 세션만 사용 가능하고 비공개 프로토콜은 지원하지 않는 등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어시스템 현장에 적용 가능한 물리적 일방향 자료전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Physical one-way data transfer is one of inter-network data transfer technologies. Since it removes data transfer lines from external network to internal network, no one can penetrate internal network from external network. Existing physical one-way data transfer systems don"t support multi-session communication. To apply them, we have to open private protocols and reconfigure network information. These features are not suitable for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physical one-way data transfer system design for control system network.

      • KCI등재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플랫폼

        김상욱(Sangwook Kim),진민(Min Jin),손종경(Jongkyung Sonn),김우년(Woonyon Kim),김정미(Jeongmi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6 No.2

        본 논문은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플랫폼인 PCS(Platform for Collaborative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PCS는 특정 응용 분야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모든 분야의 공동 실험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범용의 공동 실험 플랫폼이다. PCS는 공동 실험에 필요한 객체인 통신, 세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메시지 객체와 이들에 대한 관리 메커니즘 함수를 가진 관리 객체로 구성된다. 관리 객체는 공동 실험 객체와 이들을 관리하는 오퍼레이션으로 구성되며, 관리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어정보 및 데이타를 처리한다. 또한, PCS는 공동 실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기술을 통하여 단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다중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 기기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PCS 플랫폼은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며, 여러 공동 실험 시스템의 하부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PCS(Platform for Collaborative System), which is a platform for development of remote collaborative experiment systems. Platform does not aim at the development of special-domain applications. This system implies the common development environments which can develop all-domain applications. PCS consists of collaborative experimental objects such as communication, session, user, application, media, message object and management objects that have management functions. Management objects are made up of collaborative experimental objects and operations which manipulate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It also supports application sharing for making single user interface of experimental applications to multi-user interface. Application sharing also supports instruments control on the remote site. PCS platform supports total environments for remote collaborative experiment and can be used as infrastructure to all kinds of collaboratory systems.

      • 원격 공동 실험 시스템 개발

        김상욱(Sangwook Kim),김정미(Jeongmi Kim),김우년(Woony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본 논문은 원격 공동 실험 시스템인 PCS(Platform for Collaborative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PCS는 특정 응용 분야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모든 분야의 공동 실험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공동 실험 환경이다. PCS는 공동 실험에 필요한 객체인 통신, 세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메시지 객체와 이들에 대한 관리 메커니즘 함수를 가진 관리 객체로 구성된다. 관리 객체는 공동 실험 객체와 이들을 관리하는 오퍼레이션으로 구성되며, 관리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PCS는 공동 실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기술을 통하여 단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다중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 기기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PCS 플랫폼은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며, 여러 공동 실험 시스템의 하부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시각 언어에 기반한 작업흐름 시스템

        김상욱(Sangwook Kim),김경덕(Kyungdeok Kim),김우년(Woony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4 No.5

        This paper describes the workflow system based on a visual language that supports the design and the management of a workflow. The system provides a visual language to describe a workflow and supports 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The system consists of a visual design tool and a workflow manager. The visual design tool can design a workflow using the visual language that establishes relations between icons that mean atomic working activities. The relations are represented by visual sentences. Users can easily capture the meaning of them. Also, the maintenance of the designed workflow is performed effective1y by adjusting space arrangement of visual sentences. The workflow manager has the HITE system as its infrastructure. It triggers an execution of each activity according to the designed workflow and maintains automatically processing of activities. The system supports flexible modification of a workflow according to variation of a business model, modulation of a workflow, design of a workflow with hierarchical structure, reuse of workflow modules, and etc. This paper describes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and compares and analyses features of the system with those of traditional workflow systems. As an application of the system, a workflow for an approval in a business process is illustrated. 본 논문은 시각 언어에 기반한 작업흐름의 설계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Workflow/VL을 제시한다. Workflow/VL은 작업흐름 기술을 위한 시각 언어를 제공하며, 효과적인 작업 환경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의 구성은 작업흐름의 설계를 위한 시각 설계 도구와 작업흐름의 실행 및 관리를 위한 작업흐름 관리자로 이루어진다. 시각 설계 도구는 단위 작업 행위를 의미하는 아이콘들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시각 언어를 사용하여 작업흐름을 기술한다. 기술된 작업흐름은 시각 문장으로 표현됨으로써 작업의 흐름 관계 파악이 용이하며, 또한 작업흐름의 유지 및 보수는 아이콘들간의 공간적 배열을 조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작업흐름 관리자는 기존의 HITE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기술된 작업흐름에 따라 각 작업들의 수행을 지시하고, 각 작업이 기술된 흐름을 따라 자동적으로 처리 되도록 관리한다. 본 시스템은 작업흐름 설계, 설계된 작업흐름 모듈의 재사용 등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기술하고, 기존 작업흐름 시스템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 처리에서 문서 결재를 위한 작업흐름을 예로서 보였다.

      • 문서결재를 위한 작업흐름 관리기

        김상욱(Sangwook Kim),박호준(Hojun Park),김우년(Woony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A

        대화형 멀티미디어 결재 시스템은 조직내의 결재 작업을 빠르게 수행함으로써 조직의 이익을 향상시키고, 작업효율을 증가시키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결재 시스템의 이러한 이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에서의 빈번한 변화 요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결재 시스템에서 문서의 작업흐름을 동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해주는 작업흐름 관리 시스템 중 작업흐름 관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흐름 관리기는 그래픽 디자인 도구에 의해 기술된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들여 작업의 순서를 정하고, 각각의 작업 진행 상황을 관리한다. 작업흐름 관리기를 통해 결재 과정에 대한 작업흐름의 빈번한 변화를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 하이퍼무비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김상욱(Sangwook Kim),김우년(Woonyon Kim),박호준(Hojun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정적인 텍스트에서뿐만이 아니라 동영상에서의 정보검색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장감을 제공하고 인지적 부담을 감소한 정보 검색시스템을 제시한다. 하이퍼무비 내부에 링크를 구성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한다. 사용자는 현장감을 얻을 수 있는 네비게이션으로 영화 정보, 관광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