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동작업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시각 언어

        김경덕(Kyungdeok Kim),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8

        This paper suggests a visual language support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The visual language represents a conceptual model of dynamic interactions among coworkers according to a flow of working activities or time and supports execution of the model. Most of conventional researches on visual languages for collaboration are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s or programming for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design tools can support asynchronous collaboration, but they can not support synchronous collaboration. In this paper, the suggested visual language consists of visual objects and interactive operators. The visual object represents a conceptual entity for a collaborative activity, and the interactive operator represents a relation of asynchronous or synchronous interaction between visual objects. Each visual object is connected to an agent for a coworker on collaborative system and supports flexibly interactive point using dynamic state information of coworker. Produced visual sentences can support efficiently collaborative interaction by providing collaborative activities order and session information for synchronous interactions. 본 논문에서는 공동작업에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동적 시각 언어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각언어는 작업 행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동 작업자들간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개념적 모델로 표현하고 그 수행을 지원하는 시각 언어이다. 공동작업을 위한 기존의 시각 언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공동작업을 위한 작업 환경이나 프로그래밍에 관련한 연구들이다. 그리고, 기존 공동작업 설계 도구는 비동기적 상호작용 관계만을 기술함으로써 작업자들간의 동기적인 공동작업을 지원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각언어는 공동작업 행위의 개념적 엔티티를 표현하는 시각 객체와 객체들간의 비동기적 및 동기적 상호작용 관계를 표현하는 연산자로 구성된다. 시각 객체는 공동작업 시스템에서 공동작업 에이전트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동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상호작용 시점을 융통성 있게 지원한다. 생성되는 시각문장은 공동작업 행위들의 순서와 동기적 상호작용을 위한 세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동작업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 KCI등재

        팔엽심련만다라(八葉心蓮曼陀羅)의 의미분석과 시각화

        김경덕(Kyungdeok Kim),김영덕(Youngd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문화유물 중 고도의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팔엽심련만다라의 특징과 구조적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화를 기술한다. 다양한 국외 만다라에 대한 연구가 소개되고 있으나, 현존하는 한국의 만다라에 대하여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팔엽심련만다라의 종자를 형상 위주의 만다라에서 나타난 존상과 매칭하여 시각화하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우리 고유의 종자(種字)만다라가 기존 금강계만다라와 태장만다라가 융합된 만다라로서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응용 분야로는 만다라의 캐릭터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게임 등이다.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meaning of the Palyupsimryeon mandala, which represent the high spiritual world amo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relics, are analyzed and visualized. Various studies on foreign mandalas are being introduced, bu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alysis of the meaning of existing Korean mandalas. In this paper, we visualize the seeds of the Palyupsimryeon mandala in Korea by matching them with the image of the mandala, which is based on the shape of the mandala. Through this process, it shows that Korea’s unique seed mandala has a form of mandala that combines the existing the Diamond World Mandala and the Matrix Mandala. Applications include Mandaras characterization, digital storytelling, and games.

      •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징 기법

        김경덕 ( Kyungde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푸시 메시지에 메시지 전달이 필요한 범위 정보를 내포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모바일 장치가 사용자 위치에 기반을 두어 수신된 메시지가 적절한 메시지인지 판단한 후 디스플레이를 결정한다.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는 기존 사용자의 위치를 서버에 등록할 필요 없이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자 위치를 판단함으로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안 기법의 응용 예로서는 위치기반 서비스 및 사용자 맞춤형 광고 서비스 등이 있다.

      • XML기반의 대화 메시지 설계

        김경덕(Kyungdeok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대화 행위에서 XML기반 메시지를 이용하여 대화 행위의 체계적 표현을 위한 XML기반 대화 메시지를 설계한다. 설계되는 XML기반 메시지는 대화 문맥의 구분과 문맥 흐름의 표현과 메시지의 다양한 스타일을 지원한다. 또한, 메시지가 XML을 기반으로 작성됨으로써 태그의 확장에 따라 다양한 대화를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제안하는 XML기반 대화 메시지는 실시간 대화 행위를 위한 대화 메시지의 프로토타입이다. 응용 분야로는 협업 작업에서 정보의 전달 및 공유, 온라인 게임에서 메시지의 시각적 효과의 지원, 모바일 메신저에서 미디어의 전송 및 표현 방법의 지원,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행위의 지원 등이다.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위치인지기반의 콘텐츠 상호작용

        김경덕(Kyungdeok Kim),정의균(Egun Jung),김상욱(Sangwook Kim),이정은(Jungeun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8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8 No.1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PDA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 가까이 가거나 멀리가면 콘텐츠와 사용자와의 이동과 거리에 따라 콘텐츠가 반응하여 새로운 장면을 연출하거나 효과를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상호작용에서 모바일 장치의 위치인지를 위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위치인지 기술을 사용한다. 콘텐츠 상호작용을 위한 위치인지는 콘텐츠와 모바일 단말 장치 사이에서 사용자가 콘텐츠 접근 유무에 따라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신호 강도의 세기에 따라 상대적 위치 정보를 추출 및 처리하여 사용자와 콘텐츠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수행한다. 제안한 방법은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인다. 구현 예로서 콘텐츠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 장치 사이에 블루투스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가능한 아트 시스템을 구성하여 관람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주제어에 따른 시왕의 디지털 콘텐츠 구현

        김경덕(Kyungdeok Kim),김영덕(Youngd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논문에서는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10명의 지옥 왕을 주제어에 따라 시각화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10명의 지옥 왕은 시왕으로 불리며, 탱화와 같은 유형문화재로서 일반 사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왕은 저승 세계를 관장하는 대왕으로 무속 및 불교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에 등장하는 시왕을 지옥별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주제어를 선별하고, 일반인이 특정 주제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지옥과 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응용 분야로는 게임 및 문화 캐릭터의 개발, 전통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불교문화와 교리 교육, 게임 등에 그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digital content that visualizes the ten kings of Hell kings appearing in Buddhist myths according to their keyword. The ten kings of Hell are called ShiWang, and can be found in ordinary temples as 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h as paintings of the Buddha. ShiWang is a great king who controls the underworld and has been passed on in various forms in shamanism and Buddhist culture. We analyze the ShiWang, who appears in ancient literature, analyzes its features by hell and categorizes keywords. When the public chooses keywords of interest from implemented digital content, digital content represents the ShiWang and Hell image and description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keywords. Applications of the digital content are as follows; development of games and cultural characters, digital storytelling using traditional culture, teaching Buddhist culture and doctrines, games, etc.

      • KCI등재

        만다라 결연 의식의 시각 콘텐츠 구현

        김경덕(Kyungdeok Kim),김영덕(Youngd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한류 붐 등에 기인하여 문화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으나 문화 콘텐츠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불교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발은 여러모로 미흡한 편이다. 그 이유로 기존 콘텐츠는 불교경전의 원형자체가 디지털화된 것에 불과하여 전문적인 불교학자 외에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콘텐츠 연구가 개발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지만, 원론 차원에 머물 뿐 경전의 의미 분석과 관련된 콘텐츠 시각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불교 경전의 내용 중 만다라 결연 의식의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 구현하고자 한다. 만다라에서는 관정이라는 의식에 포함된 결연 의식에서 투화득불(投花得佛)이라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내포된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 구현하여 이념적 논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때에 어렵게만 느끼는 만다라 결연의식을 시각적 콘텐츠로 제공하여 일반인들에게도 불교문화 체험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전의 서술적 표현을 시각화하는 시도를 통하여 불교 경전에 담겨있는 무한한 자료를 콘텐츠화 하는 선례로 남길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steadily growing owing to the Korean wave etc. and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a part of the cultural contents. Howeve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many ways has left much to be desired. That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who is not Buddhist scholar, to understand and take interest in conventional contents on Buddhist books themselves which are digitalized. Also, most contents researches are discussed on the necessity of contents development and just stay in these subjects, but it is insufficient to study a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ing contents on Buddhist books. So, in this paper, we analyse mandala’s twinning rite in the Buddhist books and implement visual contents on the rite. The mandala is using toohadeokbul in a special way as the abhisinca rite. We analyse concept of the toohadeokbul and implement its visual contents which visualize ideological logic of Buddhism. The implemented contents are able to provide the public with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of the yard. Additional, by trying to visualize descriptive expressions of Buddhist books, this paper could be a precedent for developing visual contents of unlimited data comprised in Buddhist book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