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대한 적법성 평가

        김용섭(Kim Yong 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4

        우리사회에 본격적인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20여년이 경과하였다. 지난 20여년간 괄목할 만한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방만한 지방자치 운영의 폐해를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 단계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주민 밀착의 근거리 행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에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으며, 조례제정과 관련하여 사법적 분쟁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조례가 주민의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조례 제정 후 법원의 재판을 통하여 적법성 여부를 논의하기보다는 조례제정의 전단계나 시행단계에서 그 적법성을 검토하여 조례의 법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면 지방자치단체가 사전에 조례의 합리적인 개정을 유도할 수 있어 사전에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적법성 평가를 조례와 헌법적 논의, 조례와 법률유보, 조례와 법률우위, 조례의 사항적 한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조례평가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광역자치단체는 물론 기초자치단체에서 광범위한 조례가 제정되고 있는 바, 여기서는 특히 「서울특별시 문화재보호조례」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2015년에 「무형문화재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문화재보호법」에서 독립하여 법률로 새로이 제정된 점이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조례」에 반영되지 않았고, 아울러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조례」의 규정 내용 중 상위 법률인 「문화재보호법」,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문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의 수권근거가 없거나 상위법령에 위반되어 문제점이 있으므로 조속히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조례」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About 20 years have passed since local autonomy was full-fledgedly launched in Korea. This system has remarkably advanced for this period, but harmful effects caused by reckless operation are also found here and there. At this moment, to realize resident near-contact local administration, the responsibility of municipalities is most urgently required above all. It is noticeable that, recently,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re actively discussed and judicial dispute cases are increasing surrounding legislation of regulations. As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re increasingly influencing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it is more desirable to review legality of regulation before legislation or during enforcement than studying legality only after decision of court. Such legality review system for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s advantageous as any one whose legality is judged problematic may be induced to be reasonably amended by the concerned local government for preventing disputes in advance. This paper analyzed assessment of legality of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n separate fields of discussion of regulation in relation to the constitution, reservation of regulation and law, superiority of regulation and law and limitations of regulation and law for seeking the directional nature of regulation assessment by local governments. Not only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but also primary local governments legislate a wide range of regulations, but this paper reviews problems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Regulations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Even thoug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motion Act“ was newly legislated in separation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2015, it was not reflected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Regulations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In addition,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Regulations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does not prescribe authorization from the higher law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motion Act,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Inspection Act, the Act on Cultural Heritage Repair, Etc. or is in violation of the higher laws, it is urgently required to be properly amended.

      • KCI등재

        검사의 불기소사건기록에 대한 정보공개를 둘러싼 법적 쟁점

        김용섭(Kim Yong 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3 행정법연구 Vol.- No.35

        이 논문은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1두2361 전원합의체 판결을 비판적 관점에서 평석한 것이다. 정보사회에 있어 공공기관이 보유하는 정보는 공공재적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그 중요성은 말할 나위 없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공개와 유통으로 인하여 제3자의 명예와 인격권이 침해되기도 하므로 정보는 ‘양날의 검(劍)’이다. 이 사건 대상판결의 핵심 쟁점은 불기소처분의 수사기록인 피의자신문조서와 참고인진술조서 중 개인의 인적사항을 제외한 부분의 정보공개가 허용될 것인지, 허용된다면 어느 범위에서 허용될 것인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사건 대상판결은 수사기관의 불기소처분기록에 대한 정보비공개의 허용범위와 관련하여, 비공개대상이 되는 개인정보의 보호범위를 개인식별정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외의 정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하는 정보도 포함시킴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보다 프라이버시권을 보다 두텁게 보호하였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상판결은 수사기관의 불기소처분기록에 대한 정보공개청구가 있을 경우 사건 관계인인 피의자의 인격권 내지 프라이버시권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다만, 제3자의 개인정보보호를 빌미로 검찰의 수사기록의 비공개 범위를 확장할 여지를 남겼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3자가 자신의 정보의 공개를 동의한 경우이거나 개인적 사항이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서도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의 침해 여지가 없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불기소처분의 수사기록이라고 할지라도 개인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정보공개를 허용하는 쪽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검사의 불기소사건의 수사기록중 정보를 비공개할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피고 행정청에 입증책임을 지울 필요가 있고, 수사기관에서 개인정보의 보호를 이유로 비공개결정을 하기에 앞서 제3자의 의견이나 동의절차를 거치도록 제도적 보완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cludes critical comments on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Justices" Council made on June 18, 2012 for the case No. 2011-DU-2361. As the information held by a public agency is characteristic of public goods in the information society, its importance goes without saying. On the other hand, indiscreet disclosure and circu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may result in injury to a third party"s honor or rights. Accordingly, information may be called a ‘double-edged sword’. Critical issues to be commented on the decision of this case may be focused on whether to allow disclosure of other information than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nvestigation records of the non-prosecution case including protocol of examination of a suspect and protocol of statement of a witness, and if allowed, to what degree. In connection with the scope of allowing the investigation agency not to disclose information for the non-prosecution cas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cision of this case to be commented did not limit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nly to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deliberately consider contents of other information and include even the information infringing on individual privacy and freedom in the scope in order to more strongly protect individual privacy than the public rights to know. In this aspect, the decision to be commented may be evaluated forward-looking in the viewpoint of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and privacy of the suspect of non-prosecution case against any indiscreet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other hand, it may be pointed out as another issue that public prosecutor may voluntarily expand the scope of non-disclosure of its investigation record on the pretext of protection of a third party"s personal information. To avoid this issue, it is desirable to allow information disclosure for the purpose of remedy of personal rights even for the investigation record of non-prosecution case, in the event that a third party agrees to disclose its information or any private information cannot be identified in combination with other information, in which infringement on privacy or personal freedom may not be caused. Furthermore, in future, if public prosecutor does not disclose information of investigation record for non-prosecution case, the defending administrative agency is required to be given the burden of proof and also the system is required to be complimented for obtaining opinion or consent from the concerned third party before the investigation agency decides non-disclosure on the pretext of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 KCI등재

        행정법상 일부취소

        김용섭(Kim Yong-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9 행정법연구 Vol.- No.23

        This article present a study on the partial cancellation in administrative law. Partial cancellation is a theme which has been fragmentari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the Administrative Law and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Administrative Law till now. And its concept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Administrative Law yet. In connection with discretionary disposition such as imposition of surcharge, the Supreme Court make a decision that, in case discretionary authority exceeds the limit, it is impossible to partially cancel just the limit-exceeding portion and instead it is reasonable to decide cancellation of the whole discretionary disposition such as the whole surcharge imposed. Nevertheless, in case the amount to be paid is abstractly decided under the concerned law such as disposition of tax imposition, development cost imposition, etc. and the imposition amount can be fairly calculated based on the concerned documents without a room for exercise of discretionary authority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concerned, only the portion exceeding the discretionary limit shall be partially cancelled and the disposition itself shall not be wholly cancelled. In case of discretionary disposition, it is ruled that partial cancellation is impossible and only whole cancellation is possible. In this case, however, the concerned administrative agency may make a new disposition after decision of whole cancellation, and then, if this new disposition is unsatisfactory, there is a problem that another lawsuit comes to be filed for relief resulting in repeating useless procedures.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discretionary disposition in which the court may properly decide the imposition amount, it is not always considered reasonable for the court to decide whole cancellation. This study intends to comprehend partial cancella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in a broader meaning comprising partial cancellation of administrative act and partial cancella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is paper studies cancellation or suspension of plural driver's license, partial cancellation(withdrawal) of subsidy, attachment regulation for administrative actions, partial disclosure in a suit under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etc. By making comprehensive studies on partial cancella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which has been fragmentarily discussed in every field concerning the Administrative till now, this paper intends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ubject of partial cancella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 KCI등재후보

        行政法上 紛爭解決手段으로서의 調停

        金容燮(Kim Yong-Sup) 한국법학원 2004 저스티스 Vol.- No.81

        오늘날 각종 이해집단간의 대립과 갈등이 확산ㆍ증폭되고 있다. 갈등과 분쟁해결을 협상이나 재판을 통하여 해결하지만, 양자의 중간영역에 속하는 조정을 통하여 해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조정은 당사자간의 분쟁에 개입하되, 결정권능이 없는 중립적 조정인이 조정안을 작성하는 등 협상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분쟁해결수단이다. 이와같이 법원의 판결이외의 분쟁해결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ADR(재판외 분쟁해결)은 법관 이외에 변호사 등 민간전문가가 참여한다는 의미에서 국민참여적 분쟁해결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법상 조정은 행정쟁송안에서 또는 행정쟁송밖에서 중립적 제3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분쟁해결 수단으로 파악하고, 행정절차에 있어서의 조정, 행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조정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행정절차에 있어서의 조정은 행정청이 내리는 결정의 전단계로서 조정인이 등장하여 갈등을 완화하고 행정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분쟁예방적 메카니즘이고, 각종 행정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은 주로 민사상의 문제에 대한 재판외 분쟁 해결장치로서 법원이 아닌 행정부에 의하여 조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조정은 현재 조정에 관한 입법화가 되어 있지 않아 사실상 조정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다. 향후 행정절차법에 집단분쟁이라든가 신속한 분쟁해결을 위한 조정시스템을 강구할 필요가 있고, 아울러 개별법률마다 분쟁조정위원회가 통일성을 결여한 채 제각각인데다가 체계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폐합하거나 ADR 기본법 내지 행정분쟁조정위원회에 관한 통일적인 입법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의 효력도 가능하면 사법상의 효력만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조건을 충족한 예외적인 경우에 한하여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에서 법적근거가 없이 사실상 조정의 형식으로 사건해결이 상당수 이루어지고 있다. 사실상 조정제도가 탄력성있는 해결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며, 조정제도의 본래적 모습에 충실하게 전문적 조정인 등에 의한 분쟁해결 방향으로 나아되, 지금까지의 실험적 운영을 토대로 행정심판법과 행정소송법을 각각 개정하여 조정에 관한 사항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향후 법과대학이나 사법연수원 앞으로 설립예정인 로스쿨 등에서 ADR에 대한 심도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조정능력을 갖춘 법률가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헌법상 재산권보장조항의 공법적 쟁점 및 개헌방향

        김용섭(Kim, Yong-Sup) 한양법학회 2018 漢陽法學 Vol.29 No.1

        This paper tries to seek legal issues and revision directions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The economic freedom of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secured through constitutional freedom of contract, private autonomy,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etc. is an indispensable condition of democracy, and in particular, property rights form the basis of socio-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does not understand the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as relative fundamental rights but considers them as supernational natural rights. The Korean constitutional academy tends to commonly accept that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of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declaring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finally recognizes property rights as personal rights at the highest normative level of the Constitution, and it does not mean recognition of supernational or natural rights but embodiment of personal rights in the actual law named the Constitution. However, property is as important as freedom because it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other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is paper does not understand property rights as the actual rights that can be restricted by the state, but consider property rights from the viewpoint of the natural rights given to human beings even before foundation of the state.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cludes the protection of value and the guarantee of sustainability, but it cannot adhere to the guarantee of sustainability in need of the public interest, but needs to be expanded even to the protection of value for compensation of loss. The recognition of the Constitution as a union of loss compensation is due to the failure in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rman and the Korean Constitutional norms. In addition, in connection with discussions on amendment of the provisions for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this paper also reexamines the property rights as the natural rights in order to prevent the harms caused by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power in the economic areas under the imperial presidential system. Korea has undergone rapi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s since 1987. Faced with today`s multifaceted social environments, Korea is also requested to revise its Constitution, the highest standard of community. Such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needs to advance towards the unification of social realities and norms overcoming the partisan interests in order to develop a new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by realizing the integration of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forces and establishing new rules in the fields of fundamental right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개별법상 이의신청제도의 현황분석과 입법적 개선과제

        김용섭(Kim Yong-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5 행정법연구 Vol.- No.42

        개별 법률에서 이의신청, 심사청구, 재심사청구, 심판청구 등 넓은 의미의 이의신청제도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의신청제도는 법적 규율면에서 체계성이 없고 일반 행정심판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아니하여 국민은 권익이 침해되고도 어느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인지 일반 국민은 용이하게 알 수 없다. 가령 대법원 2012. 11. 15. 선고 2010두8676판결에서 판시한 바와 같이,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민원 이의신청의 대상인 거부처분에 대하여 이의신청을 거친 경우라고 할지라도 제소기간은 이의신청 결과통지를 받은 날부터 기산하지 아니하므로 당사자가 이의신청제도를 활용하려다가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의 제기기간이 도과되어 보다 정식의 권리구제를 못 받는 불이익이 초래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개별법상의 이의신청제도에 대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바람직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의신청제도는 기본적으로 2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제1유형은 특별행정심판 내지 행정심판의 절차의 특례인 경우이고 제2유형은 간이한 불복절차가 바로 그것이다. 양자의 구분에 있어서 개별법의 규정이 매우 중요하며 입법에 의하여 특별행정심판이나 간이한 불복절차로 쉽게 판명이 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다. 법률의 규정을 통하여 명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구별의 판단척도를 기존의 이론과 판례의 고찰을 통하여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3의 새로운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행정절차의 특례 유형에 대하여도 고찰하였다. 아울러 개별법상 이의신청제도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과제를 검토하면서 이의신청 등의 기간과 권리구제, 특별행정심판제도에 대한 개선과제 및 이의신청 등과 행정심판의 관계정립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이의신청에 대한 총칙적 규율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행정심판법에 이의신청과 행정심판의 관계에 관한 기본적 규율을 마련하여 입법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Individual law provides for appeal system in a broad sense such as complaint, examination request, re-examination request, adjudication request, etc. However, as such appeal system is not systematic in terms of legal rules and its relation to general administrative trial is not clear, ordinary people can not easily know what procedures they have to take against infringement on their rights. Let’s take the Supreme Court’s decision dated November 15, 2012 for the case No. 2010-DU-8676 for example. The Civil Petitions Treatment Act provides for that, even though there was an appeal for refusal disposition, the deadline for filing a petition for refusal disposition shall not be counted from the date when the decision for the appeal was given but from the date when the refusal disposition was notified. Use of the legal appeal system may often result in passage of the deadline for filing of administrative trial or litigation and complainant’s failure in remedy for infringement on right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eal system under individual laws and derived problems to seek methods of desirable legislative improvement. The appeal system can be basical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a special case to the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or administrative trial procedure, and the second type is just a simple appeal procedure. The provisions of individual laws are very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m, and there is no big problem if a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and a simple appeal procedure are easily distinguished by legislation. If legal rules are not clear and specific, however,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type through studies of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In this connection, this paper also studied a special case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which can be called the third new type. Besides, this paper also reviewed problems of the appeal system under individual law and legislative tasks for improvement, and also studied appeal period, rights remedies, tasks for improvement of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establishment of relation between appeal and administrative trial,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concluded that, as general provisions governing the appeal system are insufficient, it is required to take legislative actions such providing for the basic rul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tition and the administrative appeal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 KCI등재후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학교육과 법조양성시스템 중간점검

        김용섭(Kim Yong Sup)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20

        새로운 법조양성시스템인 법학전문대학원 (이하 “로스쿨” 이라 한다) 을 운영해 나가면서 지금까지 나타난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과 미비점을 얼마나 잘 보완하여 나가느냐 여하에 따라 로스쿨의 성패가 달려있다. 일견 로스쿨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으나, 법학교육과 법조양성을 결합한 형태의 새로운 한국형 로스쿨이 순조롭게 정착할 것인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로스쿨의 입학단계에 있어 정원의 증원은 졸업생들의 진출상황을 고려하는 등 제반 여건을 감안하여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자칫 입학정원을 늘렸다가는 합격률의 저하 등 로스쿨의 정상화에 역행할 수 있다. 아울러 입학단계의 법학지식을 묻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로스쿨법 제23조 단서의 규정은 독소조항으로 이를 삭제하여, 개별 로스쿨이 자율적으로 기본적인 법학지식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화형 수업 등 로스쿨의 교육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아울러 로스쿨 교육의 목표가 구체화될 필요가 있으며, 로스쿨 교육과 사법시험과의 연계성이 제대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법조윤리의 시험은 일회적인 객관식 시험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구술시험형태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변호사시험에 있어서 향후 변호사의 능력은 서면작성 능력 못지 않게 구두변론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구술시험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변호사시험의 성적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요청할 경우에는 이를 공개하는 것이 로스쿨 교육의 수월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변호사시험 합격후 변호사 수습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로스쿨의 교육만으로 완성적 법조인을 만들어 낼 것인가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대로 된 법률가의 양성을 위하여 리걸클리닉이 활성화되거나 대학부설 로펌의 설치를 허용함과 아울러 실무가 출신교수에게 제한적 범위에서 변호사활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으며, 21세기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양질의 법률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3년간의 로스쿨의 교육과 변호사시험만으로는 부족하고 변호사시험을 합격한 후에 6개월에서 1년 미만의 변호사 실무수습제도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Success or failure of school of law depends on how well make up for the problems and loop holes in system and operation found in managing the new lawyers training system. School of law is normally operated at the first glance, but it faces a great challenge in the aspect whether the new Korean style law school combining the two functions of law education and lawyers training succeeds to be firmly established. Entrance quota increase of law school is required to be carefully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ircumstances including graduates' advance to legal circles. Entrance quota increase is apt to go against the efforts to normalize law school resulting in fall of eligibility ratio. In addition, the provisory clause of Article 23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aw School providing for that law school shall not conduct a test gauging legal knowledge to use the scores therefrom as admissions materials is a poison clause and shall be deleted so that individual law schools can voluntarily gauge basic legal knowledge to promote active education and training including conversational lessons. Furthermore, the goals of law school education are required to be embodied, and also law school education and the bar examination are required to be properly connected. Legal morals shall not be gauged through an one-time objective test but shall be tested through an oral examination. In addition, the matter of including an oral test in the examination for the bar is required to be positively reviewed, as the ability of oral pleading is no less important than the ability of document preparation for any lawyer. And, it will also be helpful for securing easiness of education in law school to ope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for the bar at request from the concerned individual. Meanwhile, the matter whether it is desirable to put a probation system for the new lawyers passing the examination for the bar is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whether a lawyer can be completed only with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 law school. To train a proper lawyer, it is needed to activate the legal clinic system, allow establishment of law firms attached to school of law, and allow practitioner professors to act as a lawyer to a restricted ext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train excellent lawyers capable of shooting various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the 3 years law school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for the bar are not sufficient, and a separate probation system of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1 year for the new lawyers passing the examination for the bar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