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김영한(Yung han Kim) 혜암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교회 Vol.2 No.-

        1920년대 당시 프린스턴신학교에서의 보수파와 진보파 사이의 신학논쟁이 10년 후인 1930년대 한국교회에서 부분적이긴 하나 재현되었다. 1930년대 한국장로교 안에 일어난 신학 논쟁이란 정통주의 신학자 박형룡이 김재준의 신정통주의 신학을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비판한 데서 야기되었다. 초창기 한국신학형성기의 신학논쟁을 오늘의 관점에서 보면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사이의 구분이 명확히 되지 못하고 혼동되었다. 죽산은 북장로교 선교사들을 통하여 한국장로교와 평양신학에 뿌리 내린 정통주의를 지키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했다. 장공은 “신앙 양심의 자유로운 신학”의 입장에서 학문의 자유로운 연구와 성경적 복음적 신앙을 조화시켜나가는 온건한 신정통주의 신학의 입장을 추구하였다. 장공이 죽산의 비판을 받게 된 데는 단지 죽산의 근본주의적 성경관과 전투적 복음주의 사고에만 기인하는 것으로만 볼 수 없고 장공의 정통신학과 선교사들에 대한 혐오증과 강한 비판에도 기인한다. 김재준이 정통주의를 거부한 것은 기독교 근본진리의 부정이 아니라 통조림 같이 폐쇄된 보수주의적 사고방식에 대한 거부였다. 장공은 자유주의 신학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정통주의적 폐쇄주의에서 벗어나 개방적인 입장과 양심의 자유를 존중하는 태도에서 기독교 진리를 추구하고자 했다. 죽산은 후기에 들어 분리적이고 폐쇄적인 신근본주의로 나아갔다. 죽산과 장공의 공통점은 복음적 신앙이다. 차이는 죽산의 정통신앙 존중과 장공의 학문의 자유 존중에 있다. 양자의 차이는 오늘날에는 보다 넓은 복음적 신앙 안에서 극복될 수 있다. The theological controversy between conservatⅣes and liberals in the Princeton Seminary in the 1920s repeated in the Korean church, though partly, in the 1930s. This controversy occurred due to the incidents that Park Hyungryong accused Kim Jaejoon’s neoorthodoxism of liberal theology. According to the recent Ⅵew of this incident, the distinction between liberals and neo-orthodoxy was not clear and confused. However, Park thought it was his mission to keep the orthodoxy, which had been planted by missionaries in the Korean church. On the other hand, Kim sought the neo-orthodoxy harmonizing the freedom of research with Biblical faith in terms of open theology based on the conscience of faith. Park’s criticism on Kim was not only due to Park’s fundamentalist Ⅵew of Bible and combat evangelicalism, but also due to Kim’s hostile attitude and criticism on missionaries and orthodox practices. Kim’s refusal of the orthodoxy was not the rejection of Christian basic truth, but of the “canned, closed” mentality of conservatism. He intended to seek the Christian truth with the attitude of respecting the freedom of conscience and that of surpassing the orthodox closedness. Park fell into the separated and closed neo-fundamentalism in the later period. What Park and Kim have in common is the evangelical fa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Park respects the orthodox faith while Kim the academic freedom. Such a difference is believed to be overcome today in the spectrum of the broad evangelical faith.

      • KCI등재

        장공 김재준 신학의 특징; 복음적 사회참여 신학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장공은 자유주의 신학자가 아니라 신정통주의자였다. 그는 회심이 분명한 자로서 그리스도의 대속에 대한 믿음이 있었고, 자신이 구도자에서 전도자가 되었음을 고백한다. 그는 칼빈과 바르트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그는 성경에 대한 목적영감설을 믿었다. 그는 신학의 자유에 대한 열정을 가졌고 교권주의에 대한 지성적 양심을 보여준 학자였다. 그는 기독교의 사회적 책임과 공헌을 위하여 헌신한 학자였다. 그의 신학은 사회참여적 복음주의라고 특징지울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성경의 유기적 영감설을 기계적으로 오해함으로써 성경이 문자적으로 우리에게 하나님 말씀으로 다가오는 전체적 영감을 놓쳤다. 그리고 그는 역사적 예수를 사회예언자로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한국의 군사정권의 시대를 거치면서 지나친 현실 대결 속에서 학문적 깊은 신학적 작업을 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그가 정통주의를 품고서 신학의 개방과 현실참여를 하였더라면 오늘날 한국 교계의 지형은 보다 화합적이지 않았나는 아쉬움이 있다. Jang Gong was not a liberal theologian, but Neo-Orthodoxtheologian. He confessed that he has become an evangelist, since receiving Christ as a personal savior after experiencing the conversion. He intended to succeed the tradition of Calvin and Barth. He insisted on the purpose-oriented inspiration of the Scripture. He was a scholar who showed the intellectual conscience against the church establishment. He was a scholarly leader who showed a social responsiblity and contribution of the church. His theology can be characterized as a evangelicalism of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he missed the plenaryinspiration that the Scripture comes to us as a whole in the words, misunderstanding the organic inspiration as michanical one. He tended to reduce the historical Jesus into a social prophet. He had regrettably not carried out the theological works finished in the harsh confrontation with the military regime at that time. Korean church today would become more harmonious, if he could participate in to the social change, embracing the orthodox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드로이젠의 역사이해 해석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영한(Kim Yung-Han)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1 No.3

        드로이젠의 해석과 이해론은 보편사(Universalhistorie)의 이해론으로서 도덕세계의 탐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그의 해석과 이해론은 도덕세계의 이해론으로서 그 후 딜타이에 의하여 체계화된 정신세계의 이해론으로서 해석학의 기초를 마련해주었다. 드로이젠은 랑케(Leopold von Ranke)의 역사학파가 말하는 것처럼 역사가(歷史家)가 "객관적인 역사"(objective history)를 쓰고 실재로 일어난대로의 과거를 재창조할 수 있다고 보지 않았다. 드로이젠은 세계사를 정신의 자기실현(die Selbst-Verwirklichung des Geistes)으로 보는 헤겔의 목적론적 도식을 거부하였다. 드로이젠은 역사 이해에 있어서 헤겔의 역사사변에 반대할 뿐 아니라 자연과학적 설명과도 다른 방식을 취하고자 하였다. 그는 실증주의적 접근을 거부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역사학 방법이란 이해(Verstehen)라는 정신과학과 사회과학의 방법이다. 드로이젠은 역사학을 경험과학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헤겔적인 사변이 아니라 구체적인 역사적으로 전승된 원전과 재료를 통해서 그것을 반성함으로써 정립하고자 한다. 그는 역사적 방법을 탐구하는 이해라고 보았다. 드로이젠이 강조하는 것은 우리가 역사탐구에서 얻는 것은 일어난 것 자체의 상(像)이 아니라 일어난 것에 대한 우리의 파악과 작업의 상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드로이젠은 역사적 객관주의 내지 역사적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그의 스승 뵈크의 견해, 역사인식이란 인식된 것의 재인식(Wiedererkennen des Erkannten)이라는 관념론적 입장을 받아들인다. 드로이젠 해석학의 공헌과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로이젠은 역사가로서 프로시아 역사를 조명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둘째, 드로이젠은 역사학의 방법을 이해의 해석학으로 정립하는데 공헌하였다. 실증주의적 시대에서 드로이젠은 역사학을 자연과학적 물리적인 법칙에 종속시키지 않는 역사 고유한 이해를 발전시키고자 했다. 이것이 역사해석에 있어서의 드로이젠의 공헌이다. 셋째, 드로이젠은 역사이해의 완결성 아닌 근사치적 접근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드로이젠의 역사 이해는 낙관주의에 머물렀다. 다섯째, 드로이젠은 헤겔의 역사 사변에 반대하면서 역사적 사건에 대한 관찰자의 해석과 이해를 강조하였으나 여전히 역사적 관념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섯째, 드로이젠은 헤겔의 진보사관에 영향 받으면서 역사의 이면에 있는 인간의 탐욕과 권력욕에 따른 역사의 퇴각과 집단적인 불의의 차원을 보지 못했다. Droysen's theory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undertakes a research for the moral world as one of universalhistory. His theory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has provided as theory of moral world a ground for the hermeneutics as theory of understanding systematized by Dilthey after him. Droysen did not view the historian wrote objective history, recreate the past which had occurred in reality as it was as Leopold van Ranke's historical school insisted. Droysen denounced Hegel's teleological scheme viewing world history as a self-realization of the spirit. Droysen was opposed to Hegel's history speculation, took an other way than natural-scientific explan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He rejected the positivistic approach. The method of historical science he suggested is a method of liberal arts science and social science which is an understanding. Droysen intended to set up historical science by reflecting the historically transmitted original texts and materials, not by Hegel's speculation, for he considered historical science as empirical science. He viewed historical method as an understanding. Droysen emphasized what we acquired from historical research is not an image of what occurred in itself but an image of our perception and opinion on what occurred. Droysen rejects the historical objectivism or historical realism, affirms an idealistic position of his teacher August Boeckh, the cognition of history is the cognition of being cognized.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Droysen's hermeneutic are as follows: Firstly, Droysen great contributed to illuminating the Preusian history as an historian. Secondly, Droysen made a contribution to developing the method of historical science as a hermeneutics of understanding. In the positivistic age Droysen undertook to develop the authentic historical understanding not to subjugate historical science under the natural-scientific law. This is a contribution of Droysen in the history interpretation. Thirdly, Droysen suggested not a completion of history understanding, but its proximation. Fourthly, Droysen's history understanding remained in the optimism. Fifthly, Droysen did not get out of the historical idealism, although emphasizing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atcher in terms of the historical events, opposing to Hegel's history speculation. Sixthly, Droysen did not see the dimensions of the historical regress and collective injustice according the human greeds and sinfulness behind history, influenced by Hegel's progressive history view.

      • 동성애 행위에 대한 영성신학적 해석 : 동성애는 창조본연의 가정 질서를 거슬리는 죄악

        김영한(Yung Han Kim)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6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10

        영성신학적 측면에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인간의 창조된 품성과 인격을 모독하는 악이다. 오늘날 유럽과 세계가 동성애 금지 빗장 풀리는 추세로 가고 있다. 미국 자유주의 개신교는 동성애와 동성애 목회자 허용하며, 진보측 가톨릭교회도 2014년 10월 동성애 허용 예비보고서 발표로 논난이 있었다. 미연방 대법원의 동성애 합헌 선언으로 미국은 건국 정신 상실하고 있다. 하나님의 법을 떠난 자유 민주주의는 결국 간통과 동성애를 합법화로 나아간다. 한국사회 최근의 차별금지법 제정 운동과 2015년 서울광장 퀴어 축제도 한국사회 미래를 어둡게 한다. 다원적 가치인정과 동성애 허용은 다르다. 개혁신학에 근거한 성경적 영성신학적 입장에서 동성애를 반대하는 10가지 논거는 다음이다. 1. 동성애는 남자와 여자 사이 이성애(異性愛)로 이루어지는 가정이라는 창조질서에 어긋난다. 2. 성경 창세기의 소돔과 고모라 멸망 이야기는 동성애에 대한 하나님 심판의 본보기다. 3. 동성애 행위란 신성한 가정과 인간 영성의 파괴다 4. 사도 바울은 동성애 행위를 하나님의 창조질서에 어긋난다(역리, 逆理)고 정죄했다. 5. 동성 부부 가정은 입양 자녀들에게 진정한 마음의 안식처가 될 수 없다. 6. 동성애는 새 도덕(new morality) 혹은 상황윤리(situation ethics)와 다를 것 없다. 7. 동성애 문제는 결혼과 같이 근본적인 문제이지 문화적 문제가 아니다. 8. 억압, 해방, 권리, 정의, 평등 개념은 성경의 가르침에 기반하여 바르게 정의되어야 한다. 9. 용납과 복음이라는 논거는 그대로 동성애자에게 적용될 수 없다. 10. 동성애자들에게 진정한 인권 회복이란 탈동성애다. From the view of spiritual theology the homosexuality is regarded as the evil damaging the mind and person of the humans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Today Europe and world are going on toward the trend to liberalize the prohibition of the homosexuality. American liberal protestantism has permitted the homosexuality and the homosexual ministers. Liberal Catholic church also caused the controversy due to publicating the preparatory report on the permission of homosexuality. USA has lost the spirit of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due to the permission of the homosexuality by the federal court. The liberal democracy has been going on finally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adultery and homosexuality. The initiation of the discrimination prohibition law and the Queer festival of 2015 has made the future of Korea dark. The permission of the plural values and homosexuality are different. The ten arguments to oppose the homosexuality from the spiritual theology based on the reformed theology are as follows: 1. The homosexuality does not accord with the family based on the heterosexuality of man and woman. 2. the narrative of the destruction of Sodom and Gomorrah is the example of divine judgement on the homosexuality. 3. The behavior of homosexuality is the destruction of sacred family and human spirituality. 4. The apostle Paul condemned the homosexual behavior that it does not accord with the dive creation order. 5. the homosexual family can not become the rest place of the true spirit for the adapted children. 6. the homosexuality is nothing different from new morality and situation ethics. 7. the issue of homosexuality is fundamental one like the marriage, not the cultural one. 8. the concepts of oppression, liberation, right, justice and equality are rightly to be defined based on the biblical teaching. 9. the argument of acceptance and the one of Gospel can not applicable to the homosexuals. 10. the true restoration of the homosexuals are the de-homosexu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 바울신학에 대한 새 관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 종교개혁신학의 관점에서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샌더스, 던, 라이트 등 새 관점학파는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을 제시하면서 바울의 칭의 이해에 대한 종교개혁적 해석을 무력화 시키고 있다. 샌더스는 1세기의 유대교를 율법을 지켜 구원을 얻으려는 율법적 종교가 아니며 오히려 기독교처럼 하나님의 사랑과 선택을 강조한 종교로 해석한다. 샌더스는 유대인들의 이러한 율법 인식을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 nomism)로 명명한다. 이것이 기존의 ``율법주의``와 다른 점은 율법을 구원의 수단으로 보지 않고 단지 언약 백성의 신분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다는 것이다. 샌더스는 율법 이전에 먼저 선택과 언약이 있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샌더스의 언약적 율법주의에서 은혜는 이스라엘이 맺고 있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이며, 율법의 행위는 그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유대인들은 선한 행위는 언약 안에 머무르는 조건이지, 그것만으로 구원을 얻는다고 믿지 않았다. 이러한 새 관점은 예수 그리스도의 의가 죄인인 인간에게 전가돼, 그 전가된 의로 말미암아 인간이 의롭게 된다는 종교개혁자들의 주장은 전혀 성경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낳는다. 이에 대한 종교개혁적 신학의 비판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 관점은 소수의 바리새파와 에센네파의 경건만을 대변한다. 샌더스가 부분적인 자료들에 근거하여 1세기 유대교를 획일적으로 언약적 율법주의로 보는 것은 유대주의적 편향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둘째, 샌더스의 칭의교리 이해는 죄로 인한 심판으로부터 구원을 문제 삼지 않는다. 셋째, 바울의 칭의 교리는 갈라디아 교회 내 유대주의의 선동에 기인하며, 율법준수 아닌 신앙이 구원의 길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제임스 던의 새 관점도 바울이 유대교의 율법 혹은 율법의 행위를 비판한 것은 사회학적 동기에 입각한 것으로 본다. 율법이 유대인들의 독특한 민족적, 종교적 표지로 작용해 십자가 사건을 통해 마련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의 동등성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바울의 율법 비판은 결코 구원과의 직접적 관련 하에서 ``율법주의``를 지적한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이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던의 관점은 칭의 교리를 복음 핵심에서 배제한다. 둘째, 던의 관점은 기독론적 계시 의미를 간과한다. 셋째, 던의 관점은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대속적 의미를 간과한다. 넷째, 던의 관점은 칭의교리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있다. 바울복음의 핵심은 다메섹 계시에서 끌어낸 근본적인 기독론적 통찰로서 종말론적 속죄론이다. 바울의 칭의 교리는 이차적인 교리가 아니라 그의 복음의 핵심이다. 칭의 교리는 이방인 선교 전략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다메섹의 신앙적 체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기에 바울 복음의 사도성이 기인하고 있다. The school of New Perspective such as Sanders, Dunn and Wright has been making incompetent the Reformational interpretation of Pauline doctrine of justification, suggesting the New Perspective on Paul. Sanders maintains the judaism of the 1st century was not a legal religion which will acquire salvation through keeping the law, but covenantal nomism emphasizing the love of God and election like Christianity. Such a new perspective concludes that entirely not biblical are the Reformational claim that sinners are justified through the imputed righteousness due to Christ`s redemption. Against it, a critical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is as follows: firstly, the new perspective represents only the piety of the few Pharisees and Esseners. Sander`s perspective to view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unitarily as covenantal nomism is due to the Jewish bias. Secondly, Sander`s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doctrine does not deal with salvation from condemnation due to the sins. Thirdly, Pauline justification doctrine is set up due to the Jewish manipulation in the church, emphasizing not observancy of the law but the faith is the only way to the salvation. Dunn`s new perspective interprets Pauline criticism of the Jewish work of law is based on the sociological motivation. Sanders maintains that Pauline critique of law does not refer to the legalism in the direct relation to salvation. A critical view against it is as follows: Firstly, Dunn`s view exclude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out of the core of the Gospel. Secondly, Dunn`s view disregards the signification of the Christological revelation. Thirdly, Dunn`s view neglects the redemptive death of Christ. Fourthly, Dunn`s view disregards the universality of the justification doctrine. The core of Pauline Gospel is the doctrine of eschatological redemption. being the basic Christological insight drawn out of the revelation on the way to the Damascus. Pauline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not a secondary one but the core of his Gospel. The justification doctrine did not come out of the missionary strategy for the heathen but the faith experience of Damascus. Here is the apostleship of Pauline Gospel.

      •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 해석학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해석학회 2006 해석학연구 Vol.18 No.-

        Das dem Denken der Identitat vertraute Denken des Seins in der abendlandischen Philosophietradition, auf der das Husserlsche sowie Heideggersche phanomenologische Denken grundet, wandte Levinas ab zum Denken des anderen. Er vollzieht eine Wende vom Denken des Seins, das seit Heidegger thematiziert ist, zum Denken des anderen. Es ist eine fundamentale Umorientierung der philosophischen Einstellung. Es is eine Wende von der Philosophie der Subjektivitat zu derjenige des anderen. Das andere ist das, was ausserhalb der Rechnung und Bestimmung der Subjektivitat liegt, sowie das, was das Konnen der Subjektivitat kaum beherrschen kann. Das andere prasentiert die Idee des Unbestimmten, namlich, die Idee des Unendlichen. Das andere ist das Unbedingte, das als der Gegenstand der phanomenologischen Intentionalitat kaum zu erschophen ist. Levinas vollzieht die hermeneutische Reflektion fur das andere, das nicht als ego-zentrisch, sondern als die dritte Person gegenubertritt. Levinas will nicht das Denken der ego-zentrischen ersten Person, sondern das Denken der anderes-zentrischen dritten Person. Diese hermeneutische Reflektion charakteriziert das metaphysiche ethische Denken uber die Grenze der phanomenogischen Intentionalitat hinaus. Dieses Denken bringt die unendliche ethische Verantwortung fur die andere, die als die Gestalten der Witwe, Waise, Wanderer, der fremden gegenubertreten. Das andere zeigt bei Levinas zum letzten den Gott auf, Gott ist die Endstation des Levinasschen Denkens. Levinas druckt die Idee des Unendlichen, die in der Spur erscheint, mit der spezifischen Sprache die Illeitat(illeite) aus. Diese Hermeneutik der Illeitat ist der Levinassche Beitrag der gegenwartigen Philosophie gegen die herrschende abendandische Philosophie von Husserl bis Heidegger, die die metaphysik durch die Ontologie begrunde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