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관리주체측면을 중심으로 -

        김영하,안양욱,박승범,Kim, Yeong-Ha,An, Yang-Wook,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조성 완료된 근린공원 69개소를 대상으로 관리하는 운영주체에 대한 파악과 그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원녹지 관련 업무자료 및 담당자와 면담, 그리고 도시공원의 예산편성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주체를 조사하였으며, 위탁관리 및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되는 경우는 홈페이지 및 직접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공원의 관리방식은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에서 직영관리가 48개소(69.6%), 공단 및 민간단체에 위탁관리가 18개소(26.1%), 직영관리와 위탁관리를 병행하는 혼합관리가 3개소(4.3%)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 실태를 종합분석한 결과, 위탁관리하고 있는 공원은 공원의 총괄 관리가 미약하며, 공원관리가 조경 및 청소 등의 유지관리 위주로 관리되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총 46개소의 공원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근린공원이며, 공원의 유지관리를 위해 무기계약직 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및 조직체계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원 내 교양시설은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어, 공원 내 공원시설이 아닌 독립된 교양시설로서 공원관리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해결 방안으로는 공원의 적정인원 고용에 대한 법제화 및 제도적 개선, 시민단체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시대변화에 따른 이용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 위주의 프로그램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n the 69 recently constructed neighborhood park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e work resources on park and landscape management, interview to related staff, and the budget on urban parks were found as the main agents of management. In case the parks were managed by consignment or by other separate organiz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or personal visits. As a result for the management method on parks, about 48 parks(69.6%) were under direct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s' main office and its business offices. Eighteen parks(26.1%) were commissioned to corpor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ee parks(4.3%) were operated by both direct and commissioned management. Because of the overall management result on urban parks, the company under outsourced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uch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like landscape or cleaning, but have fewer programs for the users. Forty-six parks cared by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small sized neighborhood parks. For the management, contract workers or short-term workers are hired. It demonstrate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park management. In addition, any educational or cultural facility in the park is managed by separate institutions. Thus, it is not controlled as a park facility but an independent facility with separate controls. Moreover, to solve such problems, it needs legalization on the proper employment for parks, institutional improvement, cooperative network with NG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customer oriented program management.

      • SCOPUSKCI등재
      • 지구단위계획의 운용과 과제

        김영하,Kim, Yeong-Ha 대한건축사협회 2001 建築士 Vol.2001 No.7

        지구차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제도의 취지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해관계로 인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운용과 과제, 우리나라의 지구단위계획과 일본의 지구계획, 공동주택에서의 지구단위계획을 심층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 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김영하,윤국빈,강영조,Kim, Yeong-Ha,Yoon, Guk-Bin,Kang, Young-Jo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부산 도시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른 공원의 변화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을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편찬된 도시계획사 관련 서적, 부산시보 고시공고, 도시공원 유원지 녹지현황 내부 자료, 결재문서 등을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일본 거류지역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대정공원, 고관공원, 용두산공원은 시가지 공원계획 이전부터 공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공원을 포함한 1944년 법적으로 명시한 32개소의 공원은 방재기능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해 공원부지는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그에 반해 도심지에 위치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린부산 정책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당시 도심 외곽에 계획된 미집행 공원은 도시 성장으로 도심지에 위치한 주요 공원으로 자리 잡아, 쾌적한 도시형성을 위한 공원사업으로 연지공원, 양정공원, 당곡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32개소의 공원은 부산 도시형성 과정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폐지 또는 조성되었다. 폐지된 공원은 개발압력에 토지매입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된 공원이며, 조성되고 있는 공원은 개발이 용이하지 못했던 위치에 입지한 공원이다. 따라서, 공원이 사회공통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토지매입 여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 of 32 urban parks designa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ity in Busan. Particularly, researching included analyizing books, notification, data, and documents relevant to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published by Busan city. As a result, Daejeong Park, Gokwan Park, and Yongdusan Park had been utilized by Japanese resident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planning of urban parks, and 32 parks legally specified in 1944 were planned by considering the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After emancipation, there were an unauthorized building, housing construction, business district, public office, and school facility in the sites of the park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and reorganization of urban planning. The majority of parkways and small parks downtown were eliminated. However, unexecuted parks that the government had designed on the edge of tow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come major parks downtown through the city's growth. Yeonji Park, Yangjeong Park, and Danggok Park have been being building as a business of parks for a comfortable city, forming downtown along with the Green-Busan Policy. Thus, 32 parks design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ve made or got out of use reflecting on the phases of the times of modern Korean society. It turns out that these parks need an investigation about condition for land possession and purchase of the site of the parks in order for social common capital.

      • KCI등재

        국내 야외 운동기구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TUV 기준을 적용하여 -

        김영하,황선주,박승범,Kim, Yeong-Ha,Hwang, Sun-Ju,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는 야외 운동기구에 대한 안전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품 안전검사를 평가하는 TUV 기준을 적용하여 국내 거주지 주변에 보급된 야외 운동기구 제품의 안전성 실태를 규명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조달 판매량이 많은 12업체를 선정하고, 판매 선호도가 높은 10개의 야외 운동기구 제품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안전성 평가 요구조건에 대한 야외 운동기구 평균 합격률이 55.1%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야외 운동기구의 고정상태에 대한 요구조건은 안전성이 높게 평가되었지만, 이용되는 유동 상태에 대한 요구조건은 안전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판매 선호도가 높은 운동기구 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교하여 안전성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제작 업체에 따른 안전성 평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보급되는 운동기구의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이용 중의 사고예방을 위해 법제정을 통한 안전기준 마련의 시급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안전기준 마련은 사고예방뿐만 아니라, 야외 운동기구의 제작 업체의 경쟁력 강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prepared safety standard for out-door fitness and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evaluate and investigate safety condition for out-door fitness which was distributed in domestic residence by applying TUV standard which evaluate product's safety inspection. We choose twelve companies which have many sales' amount and investigated for ten out-door fitness which have high consumer preferences. As a result of that,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safety evaluation was 55.1%. The terms desired was evaluated highly in safety for out-door fitness's fixing condition. However, the terms desired was evaluated lowly in safety for movable condition. Fitness equipment which has high consumer preferences was compared lowly than other equipment in safety par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fety evaluation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mpany.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ty standard by establishing law in order to prevent accident while they are using because we cannot think that fitness equipments which was distributed in domestic area have high safety. We think that preparing safety standard can influence on preventing accident and reinforcing out-door fitness manufacturing companies' compet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