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

        김영순(Kim Young-Soo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보다 구체화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해 봄에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바로 공간에서 ‘장소’를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이다. 이에 대한 해답이 ‘공간의 사회적 재구성’ 그리고 ‘공간 스토리텔링’과 관련이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이 공간을 체험하고 기억하며, 인간에 의해 이루어진 사회에서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함으로써 인간은 공간을 소재로, 또는 매개로 하여 다른 인간과 소통할 수 있다. 이처럼 공간과 인간 사이에 이야기가 자리함으로써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의 소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공간 스토리텔링’은 공간과 인간 사이에 이야기를 연결하는 교량이자, 그 이야기의 생성을 촉진하는 촉매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글은 텍스트 소통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공간 스토리텔링의 전개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김영순ㆍ정미강(2008)에 제안된 공간스토리텔링 모형을 통해 스토리텔링이 특정 공간에 대해 어떻게 해서 의미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의미창출방안을 보여주기 위해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지역과 강원도 춘천시 지역을 대상으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과정을 연구사례로 제시한다. 이 연구는 모두 4장으로 이루어진다. 1장에서는 공간 스토리텔링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2장에서는 공간을 텍스트로 규정하고 나아가 소통적 공간 스토리텔링의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3장에서는 실제 두 지역, 검단과 춘천에 공간 스토리텔링의 과정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끝으로 4장에서는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공간 스토리텔링의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olves logically examining the process of storytelling based on the local cultures, and applying actual cases with specifying it. The problem is that how to make a ‘place’ in a space. The answer relates to human’s ‘socio-cultural reconstruction of the space’ and to the space storytelling. This is because human experience and remember the space and make stories in a society where they live in. Through storytelling they can use it as a material or a medium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this way, stories between the space and human let them verify th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round them. In this moment, ‘space storytelling’ is not only a connecting bridge between the space and human, but also plays a role in promoting creation of story like a catalyst. This text explain the process of space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text-communication theory. In addition, it also presents how storytelling valued on a specific space through models of space storytelling supposed by Kim & Jeong(2008). The study shows the process of space storytelling to suggest actual measure for creating value, targeting the area of Gumdan Seo-gu of Incheon and Chuncheon-si, Gangwon-do Province. This study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In the chapter 1,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pace storytelling is described. Defining the space as text, and furthermor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al space storytelling is examined in chapter 2. Chapter 3 suggests some examples of applying the process of space storytelling in actual region, Gumdan and Chuncheon. Finally, chapter 4 summarize discussions and ends with proposals for after space storytelling study.

      • SCOPUSKCI등재

        한국산 개량메밀의 성장시기에 따른 Rutin과 무기질의 함량

        김영순,정수현,서형주,정승태,조정순,Kim, Young-Soon,Chung, Soo-Hyun,Suh, Hyung-Joo,Chung, Seung-Tai,Cho, Jung-Soon 한국식품과학회 199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6 No.6

        약성(藥性)을 갖고 여러가지 질병에 유익한 메밀을 채소로 식용하고자 무기성분과 rutin의 함량을 개량종 9품종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9품종의 종실에 대한 일반 성분은 조단백 함량이 $16.2{\sim}20.4%$, 조지방은 $2.2{\sim}2.9%$이었다. 회분 함량은 $2.4{\sim}43%$로 재래종 $(2.4{\sim}2.6%)$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섬유소는 재래종에 비해 $2{\sim}3%$ 낮으며 전체적으로 당질의 함량이 다소 낮았다. 개량중 중 수원 11호와 5호가 각각 0.12%, 0.11%로 높은 rutin 함량을 보였다. 무기물은 회분에 대하여 10% HCI 불용물이 $0.5{\sim}55.32%$ 였으며 K, Ca, Mg 및 Fe 순으로 함유되어 재래종에 비해 우수하였다. 메밀채소의 일반성분은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으며 수원 10, 11호가 가장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메밀 채소증 rutin 함량은 $0.20{\sim}0.40%$로 수원 5호가 가장높은 0.40% 함량을 보였다. 메밀함량이 높은 수원 5호의 성장과정중의 rutin함량의 변화는 떡잎시 0.40%, 본잎 $4{\sim}5$장시 1.10%였다. 또한 무기성분의 변화는 10% HCI 불용물이 성장초인 떡잎시 69.8%인 반면 완전 성장시기인 개화시 4.68%였다. Fe와 Ca는 채소성장과 더불어 증가되었다. For utilization of buckwheat as vegetable, rutin and minerals of the leaves at growing stag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fat in seed of nine improved kinds of Korean buckwheat were $16.2{\sim}20.4%$ and $2.2{\sim}2.9%$ respectively. Ash content $(2.4{\sim}4.3%)$ in the improved kin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ative kinds. Content of crude fiber in the improved kind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ative kinds. Suwon 11 (0.12%) and Suwon 5 (0.11%) had high contents of rutin among the improved kinds. The composition of K, Ca, Mg and Fe in the improved kinds were better than that in the native kinds. Vegetable of the improved kinds had higher content of crude protein than the native kinds. Suwon 10 and 11 among vegetables of the improved kinds contained high amount of crude protein. Swon 5 had the highest content of rutin (0.40%) in the improved kinds. Suwon 5 was tested for the changes of rutin content in growing. Rutin content was 0.40% in the first growing stage, whereas 1.32% in the final growing stage. Insoluble materials in 10% HCl was also 69.8% in the first growing stage, whereas 4.68% in the final growing stage. Iron and calcium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growing of vegetable.

      • KCI등재후보

        서비스산업 유형에 따른 일하기 좋은 직장 (Great Work Place)의 경영성과 연구

        김영순,김현수,Kim, Youngsoon,Kim, Hyunsoo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5 서비스연구 Vol.5 No.2

        최근 10년간 정부에서는 서비스산업에 대한 많은 정책들을 발표 및 추진하고 있으며 서비스산업의 중요한 역할은 일자리 창출이며 안정적인 고용창출능력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고용파급효과도 매우 크다. 2015년 6월 통계청의 발표를 보면 청년실업률(15~29세)은 10.2%를 나타냈다. 이는 6월 기준으로 1999년 6월 11.3%를 기록한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비스산업은 이처럼 악화되는 경제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인식된다. 이에 서비스산업 유형별로 한국형 GWP변수를 적용하여 경영했을 때 어떤 성과의 차이가 있을까? GWP변수들은 서비스산업별로 어떤 변수가 더 중요하게 인식될까? GWP변수들은 구성원의 팀워크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그리고 그간 사례연구로만 검증하였던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a number of policy on service industries and pushing. over the past 10 years. Important role in the service industry is a very large degree job creation, as well as employment impacts have had a stable employment skills. In June 2015 the Bureau of Statistics release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15~29 years) showed a 10.2%. The service industr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hat can overcome the deteriorating economic situation this way.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industry by type what performance management is applied when this service was variable with a GWP of Korean? Can GWP variables are variables which are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he service industry? GWP variables having a certain impact on the activities of the member teamwork, job involvement has what effect on? And th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who only proven case studies whilst also want to empirical ver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