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김연숙,박표잠,정재현,Kim, Yon-Suk,Park, Pyo-Jam,Jeong, Jae-Hyun 한국수산과학회 201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0 No.4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Saccharina japonica (S. japonica) was cultivated with Phellinus linteus (P. linteus) mycelia by solid culture. S. japonica was fermented with P. linteus mycelia. The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fermented S. japonica with P. linteus mycelia (FSPM)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e antioxidant capabilities of unfermented S. japonica and P. linteus mycelia.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SPM extracts were evaluated us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PM showed stronger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than P. linteus mycelia or S. japonica al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of S. japonica changes its chemical nature and could provide beneficial antioxidant effects.

      • KCI등재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김연숙(Yon-Suk Kim),이승재(Seung-Jae Lee),황진우(Jin-Woo Hwang),김이화(Ee-Hwa Kim),박표잠(Pyo-Jam Park),정재현(Jae-Hy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2

        본 연구는 왕쥐똥나무잎(Ligustrum ovalifolium H.)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왕쥐똥나무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105.5±1.31 mg GAE/g extract)과 에탄올 추출물(102.1±1.82 mg GAE/g extract)은 비슷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물 추출물(84±1.72 mg CE/g extract)과 에탄올 추출물(82.8±1.65 mg CE/g extract)이 비슷한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ESR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hydroxyl 라디칼을 제외한 DPPH,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비타민 C와 같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활성, FRAP을 이용한 총항산화능 측정 및 환원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FTC 및 TBA법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능을 살펴본 결과, 왕쥐똥나무잎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α-토코페롤보다 활성이 훨씬 우수하였다. 한편,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hang cells)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통한 세포의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 m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왕쥐똥나무잎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igustrum ovalifolium H. leaves (LOH) as well as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were evaluat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ESR).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LOH were 105.5±1.31 and 102.1±1.82 mg gallic acid equivalent/g extract, respectively, and 84±1.72 and 82.8±1.65 mg catechin equivalent/g extract. In addition, IC50 values for the 1,1-diphenyl-2-picryldrazyl (DPPH), alky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were 0.021±0.002 and 0.010±0.003 mg/mL, 0.011±0.003 and 0.012±0.002 mg/mL, and 0.395±0.002 and 0.443±0.002 mg/mL,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LOH and BHT were 0.073±0.12, 0.130±0.06 and 1.461±0.02 mM Trolox equivalent/mg extract, respectively. The FRAP values of the extracts from LOH were higher than those of BHT,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LOH extracts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lipid peroxidation as measured by ferric thiocyanate (FTC) and thiobarbituric acid (TBA) assay compared to that of α-tocopherol. Using MTT assay on human liver cells (Chang), extracts from LOH showed no toxicity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H extracts possesse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돼지감자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

        김연숙(Yon-Suk Kim),이승재(Seung-Jae Lee),황진우(Jin-Woo Hwang),김이화(Ee-Hwa Kim),박표잠(Pyo-Jam Park),전병태(Byung-Tae Je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는 돼지감자잎(Helianthus tuberosus L.)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돼지감자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94±2.03 mg GAE/g extract)이 물 추출물(89.6±1.96 mg/GAE/g extract)보다 더 많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65.1±2.84 mg CE/g extract)이 에탄올 추출물(54.6±1.87 mg CE/g extract)보다 더 높았다. ESR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hydroxyl 라디칼을 제외한 DPPH,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비타민 C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을 이용한 총항산화능 측정 및 환원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돼지감자잎 추출물이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FTC 및 TBA법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능을 살펴본 결과, 특히 돼지감자잎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이는 α-토코페롤보다 활성이 우수하였다. 한편,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hang cells)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 율은 0.5 mg/mL의 농도까지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간 세포 보호효능 실험에서는 t-BHP로 유발시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농도 의존적인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세포내 ROS의 감소로 인한 산화스트레스 억제를 통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HTL) on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liver Chang cell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HTL were 89.6±1.96, 94±2.03 mg gallic acid equivalent/g extract, and 65.1±2.84, 54.6±1.87 mg catechin equivalent/g extract, respectively. In addition, IC50 values for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lky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s were 0.010±0.003 mg/mL, 0.014±0.002 mg/mL, and 0.989±0.003 mg/mL,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also determined b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e HTL extracts showed a strongly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by measuring ferric thiocyanate (FTC)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In an MTT assay on the Chang cells, the extracts showed a protective effect by increasing cell viability and decreasing ROS on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TL extracts possess an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민들레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김연숙(Yon-Suk Kim),정미연(Mi-Yeun Joung),유범석(Beom-Seok Ryu),박표잠(Pyo-Jam Park),정재현(Jae-Hy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민들레잎을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별 및 발효 전과 발효 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탐색하고자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량, 염증관련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민들레잎을 발효한 후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항염증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NO 생성 및 iNOS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항염증 소재로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effect of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leaf extracts using Hericium ernaceum mycelia to tes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vitro.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or non-fermented extracts of T. platycarpum leaves were determin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leaf extract of T. platycarpum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extract of fermented leaves. However, ethanolic extract of fermented T. platycarpum leaves decreased level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Moreover, fermented leaf extract suppressed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RAW 264.7 cell culture. Therefore, the enhanc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fermented T. platycarpum leaves might be attributed to the molecular conversion of leaf 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and the active ingredients might have specific affinity with ethanol during extraction.

      • KCI등재

        포도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김연숙(Yon-Suk Kim),황진우(Jin-Woo Hwang),신원빈(Woen-Bin Shin),박진수(Jin-Su Park),박선주(Sun Joo Park),박표잠(Pyo-Jam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는 포도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열수 및 에탄올 추출을 통해 2종의 시료를 제작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포도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236.31±4.60 mg GAE/g extract)이 열수 추출물(110.00±0.97mg GAE/g extract)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에탄올 추출물(196.36±4.19 mg CE/g extract)이 열수 추출물(52.19±2.09 mg CE/g extract)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ESR을 이용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포도근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50% 라디칼 소거 농도인 IC50 값이 0.004 mg/mL로 비타민 C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를 이용한 총 항산화능 측정 및 ORAC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포도근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FRAP법과 ORAC법에서 양성대조군인 BHT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FTC 및 TBA법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능을 살펴본 결과, 포도근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비타민 E보다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세포를 이용하여 포도근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포도근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2 mg/mL의 농도까지는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간세포 보호 효능 실험에서는 t-BHP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포도근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인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소거를 통하여 산화스트레스가 억제되어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후속 연구로 세포 보호 관련 기전 규명에 관한 연구 및 항산화 효과와 관련된 항산화 효소 발현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민간에서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포도근 시료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의 기초 연구 자료 제공 및 항산화 소재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liver Chang cells of the extracts from Vitis vinifera root (VVR)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VVR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110.00±0.97 and 236.31±4.60 mg gallic acid equivalent/g extract, and 52.19±2.09 and 196.36±4.19 mg catechin equivalent/g extract, respectively. The IC50 values for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0.004±0.001 mg/mL and 0.004±0.001 mg/mL,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VVR extracts were also determined b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Moreover, the VVR extracts ha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as determined by the ferric thiocyanat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s. The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showed that both extracts had protective effects on Chang liver cells by increasing the cell viability and decreasing the production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in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VR extracts have antioxidant activities.

      • KCI등재

        RAW264.7 대식세포에서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김연숙(Yon-Suk Kim),이승재(Seung-Jae Lee),황진우(Jin-Woo Hwang),김이화(Ee-Hwa Kim),박표잠(Pyo-Jam Park),정재현(Jae-Hy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9

        왕쥐똥나무잎(Ligustrum ovalifolium H.)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RAW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2 m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LPS에 의해 활 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 및 ROS 소거능과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11 μM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0.05, 0.1, 0.2 mg/mL)을 처리하였을 때 NO의 함량이 7.03, 6.74, 6.64 μM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LPS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LPS를 처리한 대조군은 ROS가 36.55%로 증가하였으나,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0.05,0.1, 0.2 mg/mL)을 처리한 군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23.86, 8.55, 5.48%)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은 NO 생성과 연관 있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이는 NO 생성 억제가 iNOS의 발현저해를 경유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의 항염증 약물들의 작용기전이 되는 COX-2의 생성억제를 살펴본 결과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은 LPS에 의해 발현되는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왕쥐똥나무잎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내 활성산소종(ROS)과 산화질소 라디칼(NO)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높은 라디칼 소거능 및 항산화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iNOS, COX-2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염증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염증 물질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cytokine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gustrum ovalifolium H. (LOH) leaf extracts on RAW264.7 macrophages. Cell toxic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OH extracts by measuring nitric oxide (N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ible NOS (iNOS) production,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LOH ethanolic extracts (0.05, 0.1, and 0.2 mg/mL) significantly suppressed LPS-stimulated production of NO. The intracellular ROS level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LOH ethanolic extracts reduced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s.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LOH ethanol extract has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s on RAW264.7 macrophage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OH extracts may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LPS-stimulated ROS and NO production. Therefore, ethanolic extracts of LOH leaves may be utilized as a good source of functional foods for protection against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산국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

        김연숙(Yon-Suk Kim),황진우(Jin-Woo Hwang),박표잠(Pyo-Jam Park),정재현(Jae-Hy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산국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산국대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스핀공명기기를 이용한 DPPH, alkyl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를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ORAC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 독성 및 간세포보호 효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국대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41±0.04 mg GAE/g, 총 폴리페놀 함량은 4.75±0.03 mg CE/g으로 나타났다. Hydroxyl 소거 활성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보다 낮았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이나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비타민 C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를 이용한 총 항산화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산국대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DNA strand break 평가에서 산국대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인 DNA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ells, Chang cells)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율은 0.2mg/mL의 농도까지는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간세포 보호 효능 실험에서는 샘플을 한 시간 동안 전처리했을 때 t-BHP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측정한 결과와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차를 측정한 결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산국대 추출물이 가진 항산화 활성이 세포내 활성산소종의 소거를 통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기존 산국에 관한 연구는 꽃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줄기와 잎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에, 산국대를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 아니라 꽃보다 수확량이 많으므로 경제적인 소재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the stems and leaves of Chrysanthemum boreale (CBSL)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liver cells (Chang cells).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extracts were determined for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lud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CBSL showed a very good scavenging effect of DPPH radical (IC50 0.009±0.002 mg/mL), alkyl radical (IC50 0.004±0.001 mg/mL), and hydroxyl radical (IC50 6.742±0.152 mg/mL). CBSL also showed a strong antioxidant effect in the ORAC assay. In the MTT assay on human liver cells (Chang cells), the extracts showed protective effects by increasing cell viability, decreasing ROS, and restoring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 up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Our findings suggest that CBSL extracts are a potential therapeutic with protective antioxidant effects upon oxidative stress.

      • SCOPUSKCI등재

        왕대, 조릿대, 오죽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신경염증제어 활성 및 지표성분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icin의 함량 비교

        김연숙(Yon-Suk Kim),조덕연(Duk-Yeon Cho),김미경(Mikyung Kim),최동국(Dong-Kug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대나무 중 3종(왕대, 조릿대, 오죽)의 죽엽을 4종의 추출용매(물, 30% 주정, 70% 주정, 100% 주정)를 이용하여 추출 후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 탐색, 신경염증 억제 효과 및 HPLC-UV 분석 방법에 의한 3가지 지표성분(caffeic acid, p-coumaric acid 및 Tric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RAP 방법과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였으며, 3종의 대나무 중에서는 오죽 추출물이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FRAP 방법,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또한 오죽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Caffeic acid의 함량은 오죽의 물추출물이 6.247±0.049 μg/mg으로 가장 높았으며, p-coumaric acid의 함량은 오죽의 70% 주정추출물이 10.931±1.467 μg/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오죽의 100% 주정추출물이 9.374±1.140 μg/m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종 죽엽의 물추출물을 제외한 주정추출물은 모두 p-coumaric acid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ric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또한 물추출물에서는 함량이 낮았으나, 70% 주정추출물이나 100% 주정추출물은 3종의 죽엽추출물 모두에서 3.094±0.875-5.233±2.698 μg/mg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LPS를 사용하여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신경염증반응의 지표인 NO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3종의 죽엽추출물(70% 주정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죽엽추출물이 미세아교세포의 과도한 신경염증 활성화로 인해 발생되는 뇌 신경질환의 치료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antioxidant and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30, 70, and 100% ethanol extracts of leaves of three different spec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P. bambusoides, and Sasa borealis) were investigated.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measured,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various antioxidant assays (DPPH, ABTS, and FRAP).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BV2 microglial cell activ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anti-neuroinflammatory properties of the bamboo leaf extracts. Treatment with both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showed no cytotoxicity in BV-2 microglial cells. Pre-treatment of BV-2 cells with bamboo leaf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excessiv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phytochemical analysis based on the extraction solvent showed that caffeic acid, p-coumaric acid, and tricin are the principal constituents of all three bamboo leaf extracts.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bamboo leaf extract contains potent antioxidants and anti-neuroinflammatory compounds that can be used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 neuro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인진쑥을 기질로 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과 흑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혼합음료 개발

        정헌,김연숙,박표잠,최웅규,정재현,이웅수,최원석,Jeong, Heon,Kim, Yon-Suk,Park, Pyo-Jam,Choi, Ung-Kyu,Jeong, Jae-Hyun,Lee, Ung-Soo,Choi, Won-Se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 배지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와 이 배양 추출물에 흑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의 간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배양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0.05 m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의 비율 5:5, $80^{\circ}C$의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가장 좋은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건에서 추출한 배양 추출물에 흑마늘을 혼합(배양 추출물:흑마늘 추출물=9:1, 8:2, 7:3)하여 간세포 보호 효과와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간세포 보호 효과는 흑마늘 추출물 첨가 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산화력 측정 결과에서는 오히려 흑마늘 추출물 첨가 비율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 흑마늘 추출물의 경우, 적은 농도에서는 간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양 추출물만으로(1.9 Brix, 15%) 액상과당 농도를 달리하여(10, 15, 20%) 제조한 음료의 관능검사 실시 결과, 액상과당 농도 차이가 단맛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쓴맛, 향, 농도 및 전반적 기호도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hepatocyte toxic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ericium erinacium cultivated with Artemisia capillaris (HEAC), and also examined the hepatocyte 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 mixture of the HEAC and black garlic. At a concentrations of more than 0.05 mg/mL, the HEAC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The extract of HEAC treated with the same ratio of water and ethanol at $80^{\circ}C$ showed the highest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was observed between the mixtures of HEAC with and without black garlic. In addition,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was shown with the addition of less black garlic.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weetness was observed with varying liquid fructose concentr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tterness, flavor, thick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liquid fructose concentration.

      • KCI등재

        물과 주정을 이용한 삼채 뿌리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비교

        이관욱(Kwan-Wook Lee),김연숙(Yon-Suk Kim),박표잠(Pyo-Jam Park),정재현(Jae-Hy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2

        본 연구는 삼채의 뿌리와 잎을 물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삼채의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스핀공명기기를 이용한 DPPH, alkyl,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및 ORAC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는데, 삼채뿌리 추출물보다는 삼채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이는 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 추출의 경우가 뿌리와 잎 모두 수율이 높았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ORAC value와 alkyl 라디칼 소거 활성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DPPH와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세포를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 실험 수행 결과, 0.25 ㎎/mL의 농도까지는 삼채의 뿌리와 잎의물 추출물 및 주정 추출물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인 0.2 ㎎/mL 이하에서 항염증 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삼채뿌리 및 삼채잎의 물과 주정 추출물은 모두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삼채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α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삼채뿌리 물 추출물은 가장 높은 IL-6와 TNF-α의 생성 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삼채 추출물이 LPS로 유도한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위의 결과로 삼채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삼채뿌리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채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관련된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Allium hookeri roots and leaves.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ium hookeri extracts were determined based on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using an ESR spectrophotomete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2,2’-azinobis-(3-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llium hookeri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We also explored the effects of extract from Allium hookeri root on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6 and TNF-α against LPS-induced activation of RAW264.7 cells. Our results demonstrated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for leaf extract of Allium hookeri compared to extract from root of Allium hookeri. On the other hand, root extract of Allium hookeri showed better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pared to leaf extract. Our study suggests that Allium hookeri extract exhibit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an be develop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 for diseases involving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