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와 매매춘: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다시 읽기

        김숙현 ( Kim Suk Hyun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7

        최인훈 희곡 연구의 핵심어는 크게 원형성/보편성이라 할 수 있다. 그의 희곡은 1970년대 민족주의적 문화진흥정책을 배경에 둔 연극계 ‘주류’담론과 궤를 같이하여 이해되어왔다. 전통 혹은 ‘한국적’인 것의 현대적 재창조라는 과제 수행의 지적 기반은 연극의 본질과 근원에 대해 탐구했던 1960년대 서구 실험연극과 무관하지 않았다. 원초적인 심성과 근원적인 것으로의 회귀라는 주제의식은 ‘비사실적’ ‘시극’이라는 양식과 맞닿아, 그에 준하는 분석이 정전처럼 연구의 주요한 계보를 이루게 된 것이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의 심청 역시 극도의 부정적 상황을 삶에의 긍정적 의지로 순화시키는 인물, 더러움을 성스러움으로 승화시키는 ‘성창’으로 호명된다. 그런데 최근 이 작품이 무대에 오르면서 반복되는 성폭력 장면과 관련하여 젠더 감수성 논란을 낳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익숙한 관습과 중심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는 <달아 달아...>의 정치성에 주목하고, 1970년대 국책사업으로 강요된 매매춘과 연관하여 텍스트 다시 읽기를 시도한다. 정치/사회/문화의 상호텍스트적 맥락 속에서 희곡에 제시된 언어의 ‘틈’과 이미지들을 독해함으로써 ‘1970년대 한국연극’ 정체성 구성욕망에서 배제된 정치적 의미망을 조명하고, 연극계 나아가 한국사회의 환상구성과 그에 가려진 ‘실재’란 결국 대면하고 싶지 않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불안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증상으로서의 ‘심청’임을 밝히고 있다. 바로 그 지점에서 동시대적 의미의 정치적 콘텍스트로의 확장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Choi In-hoon's plays have been mainly understood in line with the mainstream of Korean theatre,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based on the nationalist cultural promotion policy of the 1970s. The intellectual basis of institutional criticism was not irrelevant to the western experimental theater of the 1960s which explored the nature and origin of the theatre. The analysis that corresponds to the theme of returning to the primitive and the fundamental and the style of 'non-realistic' and 'poetic play' has led to the main genealogy of the studies about Choi In-hoon's plays. Shim-cheong of Dara Dara Balgun Dara has been also called as a holy prostitute who purifies the extreme negative situation with a positive will to life.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s of Dara Dara Balgun Dara which goes beyond the familiar customs and main ideologies of Korean society, and attempts to reinterpret the text in connection with prostitution forced as a national project of the 1970s. This paper reads the gaps of the language presented in the text in the intertextual context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this study shows the fantasy, the ideology of Korean society. After traversing the fantasy we know the real is the 'Shim-cheong' as a symptom that reveals the national instability of Korea that we do not want to face, and at that point this study suggests that Dara Dara Balgun Dara has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to the contemporary political context.

      • KCI등재

        원형적 역할의 활용과 치료적 의미 -스테판 스노우의 치료적 연극을 중심으로-

        김숙현 ( Suk Hyun Kim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4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4

        본 연구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을 성립시킨 스테판 스노우의 연극치료를 중심으로, 제의와 연극치료간의 상호연계성을 토대로 원형적 역할의치료적 의미와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제의와 신화간의 상관성을 캠벨의 단일신화를 통해 이해하고, 그로부터 도출된 영웅서사구조와 역할유형이 한편으로는 통과의례와 연동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이를 발판삼아 연극치료에 적용될 재구된 원형적 역할을 논구하고 있다. 원형적역할은 참여자의 ‘재생의 제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에 중요한데, 특히 본 연구는 스노우가 참여자의 개별성과 특수성에 따라 텍스트의 구성이나 그 취택을 서로 달리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결국 본 연구는 공연중심의 ‘치료적 연극’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원형의 환기와 체현이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과정지향의 연극치료 뿐만 아니라 공연 중심의 ‘치료적 연극’을 실제화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원형적 역할이 갖는 치료적 의미와 그 가치효과에 대한 이해를 정초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typal roles regarding the effects in Drama Therapy focused on Stephen Snow``s therapeutic theatre. Stephen Snow has studied the origins of ritual theatre based on the anthropology which is established by Victor Turner, Richard Schechner.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formative drama therapy model’ and the ‘ritual theatre therapy’ which Stephen Snow has established, the ritual has a deep affinity with the myt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rchetypal roles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onomyth/hero-myth which Joseph Campbell suggested. In addition, it examines the archetypal roles that Steve Mitchell developed to search a method that becomes a therapeutic factor.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the text related to clients’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Snow``s therapeutic theatre production is equal to the mode faced with the archetypes, roles accordingly. The evocation and embodiment of archetypes in the construction and enactment of various kinds of performances can be a healing ritual drama for clients/actors. Consequently, the archetypal symbolic roles in performative drama therapy, within a ritual theatre therapy context, are served as containers and they can help the wounded self-concepts to be reconstructed.

      • KCI등재

        다문화 결혼이주여성, 그녀들 공연의 의미와 과제 - 성동구 결혼이주여성 공연 사례 <마마>에 기반하여

        김숙현 ( Kim Suk Hyun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2

        초국적 이주는 동시대 보편의 현상이다. 한국 역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공식화 된지 이미 오래이다. 하지만 국내 `다문화`의 현재는 다문화가족으로 귀결되는 협소한 개념이자 다문화가족을 관리하는 통치담론이며, 그 저변으로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우리 안의 무/의식적 편견과 차별을 드러내는 지칭어가 되기도 한다. 한국사회에 있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정착 가능한 최초의 이주민으로서, 가족을 구성하며 사회재생산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복지정책이나 문화정책적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다양성을 표방하며 지원되는 공연들 또한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마주하는 현실은 열린 개념의 `다문화`와는 상반되는 단일주의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의 재현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여러 총합적인 문제들을 내장한 결혼/이주/여성들의 연극에 대한 예술/미학적 사유와 모색의 한 계기를, 결혼이 주여성들의 실제 공연 사례 <마마>에 기반하여 탐구하고 있다. 한국의 특수한 사회현상으로서의 다문화, 그 핵심에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공연이 지향할 바는 무엇이며 접근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탐색함은 물론, 연극을 통한 프로그램 과정과 공연이 갖는 의미를 묻고, 연극적 경험과 창조성의 발현이 어떻게 기성의 감성을 분할하여 정체성/정치성의 재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논하고 있다. 또한 동시대 커뮤니티의 의미를 재고하여 극단 공동체의 특성을 귀속과 디아스포라적 공간 `사이`에 위치시키며, 공동체적 리듬과 정동의 상호관계와 그로부터의 정동적 개입과 감응의 윤리의 발현과 의미를 살피고 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삶의 리허설로서의 공연 미학의 위치를 `어플라이드 씨어터(applied theatre)`와 `커뮤니티 퍼포먼스(community performance)`의 컨텍스트로 호명하고 있다. Transnational migration is a phenomenon of contemporary universalism. Korea has long been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 `multiculturalism` is a narrow concept that results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it is a ruling discourse that manages a multicultural family, and it also becomes a tongue that reveals the unconsciou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our inner self. In Korean society, married immigrant women are the first migrants to settle down, and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family and in charge of social reproduction. As a result, welfare policies and cultural policy projects for them are being promoted as well as supporting cultural diversity. However, the reality facing the mainstream is the representation of monistic patriarchal gender ideology which is contrary to the open concept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artistic/aesthetic reason and search for the methodologies of the theatre with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actual performance example `mama`. In addition to exploring what should be the approaches to multiculturalism as a special social phenomenon in South Korea, marriage migrant women at the core, and how to approach them, through the significance of drama program process and performance, It discusses how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can affect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politics by embodying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 addition, we reconsider the meaning of contemporary community and place the characteristic of multicultural theatre company between `belonging` and `diaspora` space, and the mutual relation and effect of community rhythm and affect lead to the result of affective intervention and `ethics of affect`. As a result, the performance aesthetic as a rehearsal of life is referred to as the context of `applied theater` and `community performance`.

      • KCI등재

        자기를 공연하기: 자전적 소재를 활용하는 공연기반의 연극치료, 그 경계와 특성

        김숙현(Suk Hyun Kim)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주로 치료사의 입문의식으로 논의되고 활용되어왔던 자전공연의 맥락을 확장하여 공연기반의 연극치료, 그 특정한 한 형식으로서 자전공연의 특성을 명시한다. 연극/학 지반의 연극치료라는 관점을 견지하는 가운데 본고는 자전적 재료를 내용으로 하는 미적 형식으로서의 솔로 퍼포먼스의 출현과 자전공연이 지닌 임파워먼트와 치유성 간의 상관성을 탐색한다. 또한 그에 영향을 받은 치료 영역의 ‘자기현시적 공연’과 ‘치료적 자전공연’을 중심으로 그들 간 차이점은 물론 자전적 소재를 활용하는 타 장르와의 경계를 구체화한다. 이로써 근래 무차별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치료적’ 자전공연의 용어 사용에 대해 재고하고, 더불어 치료 영역에 있는 ‘실제(real) 사람들’의 자전공연이라 할지라도 영속적 변화라는 ‘효과’ 지향의 ‘치료’를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요소가 바로 예술적 형식 혹은 미학임을 환기한다. This study does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as a specific form of performance-oriented dramatherapy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and utilized as an initiation rite for therapists in korea. Focusing on dramatherapy based on theater studies, this paper explores the emergence of solo performance as an aesthetic form with autobiographical materia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and healing properties of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And, focusing on the ‘Self-Revelatory Performance’ or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s’ in dramatherapy, the boundaries a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s well as the main factor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based on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In the process, this thesis reminds that even for autobiographical performances of ‘real people’ in the therapeutic field, an key factor to be consider for dramatherapy oriented to ‘effect’ of permanent transformation is an artistic form or aesthetics.

      • KCI등재

        라캉의 정신분석으로 본 장 쥬네의 <하녀들> -하녀들의 도착과 윤리-

        김숙현 ( Suk Hyun Kim ) 한국연극학회 2010 한국연극학 Vol.0 No.41

        This study aims at an interpretation of The Maids of Jean Genet through perversion and it`s structure based on Lacanian psychoanalysis. What is the perversion in Lacan? It is not an anomaly contrary to good morals, but it is associated with perverse structures. To Lacan there are two main ways, `castration disavowal` and the `will to jouissance`, of which the perverse structure consists. The perverse subject perceives that the mother lacks the phallus, at the same time refuses to accept the reality of this traumatic perception. And the perverse subject has acted `alienation`, oedipal prohibition but has not performed `separation`, the paternal metaphor in subjectivization, so he want to perform `separation`. In other words, the perverse subject doesn`t substitute the desire of the mother by one signifier, the Name-of-the Father. The formula for perversion appears as `a◇s`, the inversion of the matheme of fantasy. In perversion, the subject locates himself as an object of the drive, as the means of the other`s jouissance. The perverse subject assumes the position of the object-instruments of the `will to jouissance`, which is not his own will but that of the Other. Also in sadism/masochism, the subject locates himself as the object of invocatory drive.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into relationship between Solange and Claire, the maids. They are alter ego, ideal ego. To Lacan, the `semblable`, the spectacular image in narcissism has both an erotic character and an aggressive character. Solange and Claire have the erotic-aggressive characters, so they love but hate each other. This paper knew that their performance keeps themselves from invocatory drive in sadism and masochism. As a result, in ending scene the suicide/murder of the maids means that they performed the last sacrifice for the Other`s jouissance as the perverse subject that is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instruments of the `will to jouissance`. They are the perverse subjects that practice in the signifying chain, submit to Father`s law. And what is ethics of The Maids? This paper understands that ethics of The Maids is Sadean ethics, that is, supremely-evil-being subverted of well-being. Law is equal to jouissance which comes from superego, law. After all, This paper insists that The Maids is a text of `sinthome` in Jean Genet and he enjoys `sinthome` through this writing to keep relationship with the Symbolic.

      • KCI등재

        여자의 사랑, 행위 그리고 정치-와즈디 무아와드의 <그을린 사랑>-

        김숙현 ( Kim Suk Hyun ) 한국연극학회 2014 한국연극학 Vol.1 No.53

        <그을린 사랑(Incendies)>에 대한 기존의 이해는 대부분 오이디푸스 서사와의 친연성을 근거로 주인공 나왈을 이오카스테에 비유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페미니즘적 관점이 텍스트 읽기의 배경을 이루게 됨은 물론이며, 그를 토대로 여성성이나 모성성, 여성연대, 사랑, 화해라는 주제어를 집약시켜 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적 의미로 포괄될 수 없는 주인공 나왈의 이상한 행위와 삐져나온 언어에 주목한 본 논문은, 작가가 기대고 있다고 말한 소포클레스 비극의 핵심이 과연 <오이디푸스 왕>이며 그런 맥락에서 이 작품이 ‘이오카스테’ 서사로의 변주인지, 그리고 작품의 정치적 측면은 어떤 지향성을 지니는지에 대해 대답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라캉의 성구분 하에서, 그가 언명한 ‘남자’와 ‘여자’에 관한 사유를 지반으로 텍스트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라캉의 성구분은 생물학적인 남성과 여성이 곧 남자와 여자라는 성적 위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여성성’과 관련한 페미니즘의 이론적/실천적 교착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준다. 특히 라캉에게 있어 ‘여자’의 위치는 정신분석이 도달해야하는 주체성의 지점이자 정신분석적 윤리와 정치라는 급진적 이론과 실천의 논리를 촉발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실재의 윤리/정치는 여자의 위치에서만 가능한데, 이는 여자가 보편주의적 토대가 갖는 환상을 거부하고, 합의의 이면에 적대의 ‘외상’을, 통합과 연대의 이면에 ‘틈새’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나왈이 지배기표, 즉 텅 빈 남근기능에 종속되는 남자와 달리 일자의 환상에서 벗어나 남근적 질서를 넘어서는 여자의 위치에 있는 인물로 파악하고 있다. 의미의 정합성을 파열하는 그녀의 일련의 이상한 행동은 상징계의 한계에 직면한 죽음충동의 주체가 보여주는 윤리적 ‘행위’에 다름 아니다. 이로써 선의 윤리학을 넘어서, 다시 말해 미는 선이 아닌 욕망에 있다는 욕망의 윤리학을 제시하는 그녀는, 존재/상징질서의 근원적 불가능성과 전적인 우연성을 끌어안는 실재의 정치를 실천하는 ‘진정한 주체’임이 드러난다. 그 결과 <그을린 사랑>은 작가/잔느/시몽 자신의 기원/뿌리를 찾아간다는 점에서 오이디푸스적 드라마의 특성을 변주한 작품임에는 분명하지만, 그 저변에는 <안티고네>의 비극적 영웅 ‘안티고네’가 작품구축에 있어 핵심적인 지주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re-reads the messages of the text, ``Incendies``, the uncanny actions and the strange words of protagonist Nawal, through the ideas of Jacques Lacan, particularly his notion of sexuation with posing questions about most of the previous reviews which are based on femininity or motherhood. For Lacan,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not biological essences but symbolic positions, and the assumption of one of these two positions is fundamental to the construction of subjectivity. So ``man`` and ``woman`` are merely signifiers that stand for these two subjective positions. Each side is defined by both an affirmation and a negation of the phallic function, by both an inclusion and exclusion of absolute non-phallic jouissance. Unlike the man, the woman is ``not-all`` identified with the phallic function, demonstrating the undecidability and impossibility of totalising the woman. Although the woman is bound to do castration through being subject to the phallic function, she is also related to the signifier of the barred Other, S() which stands for a gap or lack in the Other. Thus, as a consequence of not being entirely within the symbolic, she has an Other Jouissance, Feminine Jouissance, because it``s possible to face emptiness of the Symbolic, the Real only in the place of the woman for new Ethics/Politics. This paper finds that Nawal is not completely defined by the phallic function and she is a subject of death drive that practices the signifying cut with passing through the fantasy as a screen for the desire of the Other. Nawal is situated on the position of the woman as ``not-all`` unlike masculinity in Lacanian sexuation. This article shows that her strange acts are love, that is the true ethical acts. Above all her acts are related to the ethics of pure desire beyond the ethics of the Good of Aristotle. In that sense the character of Nawal of ``Incendies`` is similar to the one of ``Antigone`` as a character in all aspects. In psychoanalysis they all are true subjects that face a void, emptiness in a symbolic structure. They assume underlying impossibility of being/the Symbolic. They don``t represent the images of compromise and peace in the normally accepted meaning of the word. A love that they show is not compassion but blind recognition of the excluded, embracing uniqueness of the excluded. This thesis finds resultingly Nawal``s acts which can``t be understood from viewpoint of feminism practice the ethics of the real, the politics of the real.

      • 공동주택 관리비 결정요인 분석

        김숙현(Suk Hyun Kim),김준형(Jun Hyung Kim) 한국주택학회 2018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공동주택 관리비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각 요인별 특성을 파악하고, 특히 관리주체와 관리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 공개된 서울시 25개구 1890개 단지의 공용관리비를 대상으로 공동주택 관리비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종속변인은 주거전용면적 기준 m²당 공용관리비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인은 지역적 특성, 물리적 특성, 관리주체별 특성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별 하위요인이 공용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개별 독립변인이 행사하는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의 일부 하위 요인은 공용관리비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관리주체별 특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관리업체에 의한 관리비 절감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함축하며, 관리업체 선정 방식과 관련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공동주택 관리비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이해와 관리주체의 역할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공동주택 관리비 결정요인들에 관리주체를 포함하여 재구성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극치료 슈퍼비전 재고: 연극이라는 모체에 기반한 연극치료 슈퍼비전

        김숙현(Kim Suk Hyu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8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8

        본 연구는 연극치료 영역에서의 슈퍼비전이 지향하는 목표를 재점검하고, 연극을 기반으로 하는 슈퍼비전의 가능성과 그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료과정, 진단평가, 슈퍼비전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일관성, 혹은 연계성을 강화하는 맥락에서의 연극치료 슈퍼비전을 제안하는 가운데, 치료사의 자기 돌봄과 성장에 중요한 셀프슈퍼비전과, 개인과 집단의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타 분야와 다른‘연극’치료의 고유성을 참조하고 반영하는 것이야말로 곧 연극치료사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정체성을 담보하는 슈퍼비전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연극치료사 교육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슈퍼비전의 실효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인으로서의 연극치료사를 위한 교육과 지지, 관리 등 그들의 지속적인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슈퍼비전의 ‘기존’ 프레임에 대한 ‘재고’의 장을 열어, 연극치료 고유의 정체성과 연동하는 슈퍼비전의 실제적 방법론을 모색하고 독려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goals of the supervision in the dramatherapy field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the methodology of a theatre-based Supervi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upervision of dramatherapy should be in the context of enhancing the structural consistency or linkage to the therapeutic process, diagnostic assessment, and supervision.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self-supervision, which is important for therapist s self-care and growth, and dramatherapy supervis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This study emphasizes a unique supervision with dramatherapy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fields, can be a supervision that guarantees the growth of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as a drama therapist. As a result, this paper specifies the supervision which is essential in the process of drama therapist training and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earched the practical methodology by reconsidering of the frames in the dramatherapy supervision which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qualitative growth of drama therapist as a professional.

      • KCI등재

        노인연극의 비판적 사유와 모색 -자전적 기억과 회상에 기반하여

        김숙현 ( Kim Suk-hyun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6

        고령 사회로 진입한 동시대 한국 사회의 새로운 주체, 노인은 이제 더 이상 주변인이나 연령적 소수자가 아니다. 하지만 삶에서의 노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수용이 자본의 소비적인 논리 속에서 도태되고 있듯이 노인에 대한 이해 역시 위기의 ‘문제’적 집단으로 분류된 채 ‘존재’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그러한 맥락에서 연극예술행위, 즉 노인연극은 무엇이어야 하며 어떠해야하는지를 기존 노인연극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 속에서 탐구하고 있다. 이에 노인들의 자서전적 기억을 원재료로 하는 ‘회상연극’의 특수한 제작과정과 그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그를 통해 결과적으로 노인들로 하여금 삶의 한 조건이자 과정으로서 노후를 맞는 힘을 발현시키며, 스스로를 인격체로 인식하고 자신들의 내적 동일성과 정체성을 확인함은 물론 과거를 현재에 수용하여 자아통합감에 이르도록 돕는 연극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이렇듯 특수한 질서 속의 노년기와 노인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그들 삶속에서 향유될 수 있는 노인연극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반향하는 바가 크다. 언급된 자전적 기억과 회상의 의미/효과에 기반한 회상연극의 실제적인 방법론은 타자화된 노인들 삶의 질적인 변화, 즉 노년기 노인들의 삶의 성장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lderly, new subject in Korean society that has entered an aged society, is no longer a peripheral or an age minority. But the 'natural' acceptance of aging is being derailed in the consumer logic of capitalism. As such, the elderly are classified as a 'problematic' group of crisis and are not approached from the 'existence' point of view. This study criticizes existing senior play and explores what it should be and how it should be. It presents a special production process and actual examples of the reminiscence theatre, which uses the autobiographical memories of the elderly as its original material. Through the research, this study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the older adult’s theatre that regenerates the power to meet old age as a condition and process of life, enables to recognize oneself as a person and identify oneself as a person, and enables to embrace the past to achieve self-integration.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is based on this particular quest for old age, looking at the specific methodology of creating elderly play that can be enjoyed in their lives. The practical methodology of reminiscence theatre, based on the autobiographical memories and the meaning and effects of the reminiscence, will have a real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underprivileged, the elder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