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회기 수행에 관한 상담자 자기성찰 연구: 축어록 전사 경험을 중심으로

        김수은(Kim SooEun),최한나(Choi Hanna),민정(Kim Mi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축어록을 전사하는 동안 자신의 상담회기 수행을 돌아보는 성찰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또는 한국상담학회의 2급 자격취득 이후 1급 자격을 준비 중인 9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99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어렵지만 성장을 위해 자기와 마주함 ’으로 나타났다. 인과조건은 ‘’문제적 상황에 맞닥뜨림’으로 분석되었으며, 맥락조건은 ‘돌아볼 틈 없이 쫓기고 있음’, ‘성장에 따른 상담역량 증가’, ‘내담자 영향을 인식함’으로 나타났다. 중재조건으로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으로 성장’, ‘동료와의 상호작용으로 성장’이 확인되었다. 중심현상 에 대처하는 작용/상호작용은 ‘나를 내려놓고 재연드라마에 집중함’, ‘여러 관점으로 상담을 재조명함’, ‘’문제 규명과 해결방안 찾기 시도‘, ’전문가의 지혜에 도움을 구함‘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상담수행의 질 향상됨’, ‘성장과 발달’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수행과 관련된 상담자 성찰 경험을 논의하였고. 상담자 성찰연구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 관련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counselors experienced during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ir counseling sessions as transcribing verbatim records. To do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counselors. an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s, 96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difficult but facing myself for growth’. Causal condition was a facing problematic counseling situation’. Contextu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oo busy to have no time to look back , increasing counseling capacities in the process of growth , and recognizing client s influence . Next, interaction with colleagues and a supervisor was confirmed by intervention condition. Actions / interactions to cope with central phenomena are putting me down and focusing on replay drama , reviewing counsel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 attempting to identify problems and finding solutions , and ‘asking for expert help or wisdom.’ The consequences revealed improvement in consultation performance and growth and development .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웨이파인딩의 공공미술로의 개념 확장 가능성 연구 - 영국 바스의 웨이파인딩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은 ( Sooe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웨이파인딩은 한 장소에서의 길을 쉽게 찾도록 해주는 매우 기초적인 기능 구조물이었으나, 최근 서비스 디자인과 장소브랜딩의 관점에서는 연구된 사례가 많다.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공공장소 활용 도모, 경관형성에의 전문가 디자인, 주민 참여와 같은 특징을 통해 공공미술과의 연계성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심미적 요인들이 주요하게 다루어진 웨이파인딩의 사례 분석을 통해, 웨이파인딩 디자인으로써 문화적 이미지 창출을 통해 지역 활성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공공미술로 논의 범위를 확장시키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웨이파인딩 시스템과 공공미술의 개념의 변화에 대해 명확히 한 후, 문헌을 통해 국내에서 두 개념이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공공미술의 특징적 요인을 개념화하여 사례 분석의 기준으로 마련하였다. 사례는 언론 발표와 보고서가 발표된 인지도 있는 사례로서 ‘바스 도시정보시스템’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바스의 사례에서 공공미술의 개념에 부합한 특징들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장소와 관련하여, 공공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두 번째로, 도시디자인의 일환으로 공공공간의 네트워크화를 이끌고, 전문가가 작품이 아닌 더 넓은 범위에서 활동한 것도 사례에서 찾을 수 있었다. 세 번째로, 바스 사례는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이 중요시하는 커뮤니티 활성과 진행 과정 상의 주민 의견 반영 특징 또한 가지고 있다. 결론 이를 종합해볼 때, 웨이파인딩 시스템 또한 공공미술의 범위에서도 논의되어 상호 개념이 확장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향후 바스 뿐만 아니라 보존성이 강한 지역의 웨이파인딩 복수 사례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하여 국내 문화 보존 지역의 공공미술 활용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연구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Way-finding was considered as a very basic functional structure that made it easy to find the way in a place However, the study has started from an recent idea that way-finding system is thought to be expanded to public art in terms of public space vitalization, professional design in city landscape, and consideration for residents and communities. Methods First of all, the study clarifies the conceptual change and expansion in the way-finding system and public ar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ly, the conceptual features of public art were divided into four criteria for the case analysis. ‘Bath City Information System’ was selected as a recognizable case based on published reports and media presentations. Conclusion In Bath case, some features were found that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public art. First of all, it could be promoted to vitalize public places. Secondly, it was also recognized that as part of the urban design, the connectization of public spaces was led. and that professional designers participated in a wider range of public facilities. Thirdly, Bath case also has features that reflect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activities and progress. To sum up, way-finding system can also be discussed in the scope of public art, so it is very likely that the mutual concept will be expanded.

      • KCI등재

        기업의 배당조정속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신민식(Minshik Shin),김수은(Sooeun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經營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1993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배당조정속도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배당결정요인에 관한 잔여배당 이론, 정보비대칭 이론 및 대리인 이론에 관한 대용변수들이 배당조정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잔여배당 이론의 대용변수 중에서, 수익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레버리지 비율이 낮을수록 배당조정속도가 빨라진다. 정보비대칭 이론의 대용변수 중에서, 기업규모가 작고 기업연령이 짧고 유형자산 비율이 낮을수록, 그리고 경영위험이 높고 거래량 회전율이 높을수록 배당조정속도가 빨라진다. 그리고 대리인 이론의 대용변수 중에서, 성장기회가 높을수록, 현금을 많이 창출하는 현금젖소기업에 가까울수록, 경영자 지분율과 기관투자가 지분율이 낮을수록, 그리고 자사주매입 비율이 낮을수록 배당조정속도가 빨라진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수들의 시계열적 특성 변화가 배당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당정책의 목표가 달라질 수 있다는 Brav et al.(2005)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도 배당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현금배당과 자사주매입액을 합한 총지급의 조정속도의 결정요인은 배당조정속도의 결정요인과 큰 차이가 없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은 목표 주당배당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주당배당이 목표 주당배당에서 이탈하면 다시 주당배당을 부분적으로 조정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당조정속도는 Leary and Michaely(2011)의 배당조정모형을 원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수들의 시계열 특성 변화나 재무적 제약 여부에 따라 배당조정속도가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현금배당과 자사주매입액을 합한 총지급의 조정속도의 결정요인은 배당조정속도의 결정요인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배당조정요인과 시간의 경과 및 재무적 제약이 배당조정과 배당스무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여 배당정책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ses empirically determinants of speed of dividend adjustment for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of Korea Exchange. Leary and Michaely's (2011) dividend adjustment model indicates that firms have long run target dividend per share, and that firms adjust partially the gap between actual and target dividend per share each yea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terminants suggested by the major theories of dividends, namely, residual dividend theory, information asymmetry theory, and agency theory explain significantly the speed of adjustment(SOA) of dividend for Korean firms. According to the residual dividend theory, high profitable but low leveraged firms have higher SO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symmetry theory, younger and smaller firms, firms with less tangibility assets, and firms with high business risk and high turnover ratio have higher SOA. Moreover, according to the agency theory, firms with high growth opportunities, more mature cash cow firms, firms with low managerial holdings and low institutional holdings, and firms with low dividend payout ratio and low repurchase ratio have higher SOA. These results suggest evidence that Korean firms maintain stable dividend policy which maintain past DPS level without corporate special reason. The SOA changes over tim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nature of financial market, the degree of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role of repurchases in payout policy should be changed over time. Moreover, the SOA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inancial constraints. Financially constrained firms with market unaccessibility and low credit rating score have lower SOA. However, the determinants of SOA for total payment(cash dividend + stock repurchase) is very similar to that for cash dividend. In conclusion, Korean firms have long run target dividend per share, and that firms adjust partially the gap between actual and target dividend per share each year. The SOA of dividend can be explained mainly by the major theories of dividends, including the residual dividend theory, information asymmetry theory, and agency theory. The changes of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ver time and financial constraints also explain partially the SOA of dividend in Korean firms.

      • KCI등재

        논문 : 기업의 현금흐름 주기에 따른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 분석

        신민식 ( Minshik Shin ),김수은 ( Sooeun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5 금융지식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는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고-현금흐름 연도가 저-현금흐름 연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가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동함을 의미한다. 즉,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는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고-현금흐름 연도에는 높아지고 저-현금흐름 연도에는 낮아진다. 이러한 결과는 내부 현금흐름을 이용한 과잉투자 위험도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동함을 시사한다.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가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동하는 이유는 외부 자본조달, 내부 유동성 및 재무적 제약의 측면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주식발행이나 부채발행과 같은 외부 자본조달은 고-현금흐름 연도가 저-현금흐름 연도보다 더 많은데, 이러한 외부 자본조달의 변동이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를 변동시킬 수 있다. 현금보유나 운전자본과 같은 내부 유동성 스톡은 고-현금흐름 연도가 저-현금흐름 연도보다 더 많은데, 이러한 내부 유동성의 변동은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를 변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무적 제약의 변동도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를 변동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는 현금흐름 주기에 따라 순환적으로 변동하는데, 이는 외부 자본조달, 내부 유동성 및 재무적 제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를 투자와 현금흐름 간의 통계학적 현상으로만 분석할 것이 아니라, 외부 자본조달, 내부 유동성 및 재무적 제약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물투자를 기피하는 현상도 현금흐름 주기의 측면에서 투자의 현금흐름 민감도가 감소하는 주기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analyze the cash flow sensitivity of investment in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Sample firms are classified into the CF-sensitive and CF-insensitive firms, on the basis of CFSI(cash flow sensitivity of investment) measure, and they are also classified into the low- and high-cash flow years, on the basis of cash flow cyc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ash flow sensitivity of investment in high-cash flow years is higher as compared to low-cash flow years. This result implies that in high-cash flow years, overinvestment risk is relatively higher. The external financing such as equity issuing and debt issuing explains why the overinvestment risk in high-cash flow years is higher as compared to low-cash flow years. The internal liquidity such as cash holdings and net working capital explains why the overinvestment risk in high-cash flow years is higher as compared to low-cash flow years. Moreover, indicators of financial constraints such as firm size and dividend payment explain why the overinvestment risk in high-cash flow years is higher as compared to low-cash flow years. In conclusion, in terms of external financing, internal liquidity and financial constraints, it is explainable why the overinvestment risk in high-cash flow years is higher as compared to low-cash flow yea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bserved cash flow sensitivity of investment is not a purely statistical phenomena, and it is associated with external financing, internal liquidity and financial constraints.

      • KCI등재

        노동조합이 기업의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

        신민식 ( Minshik Shin ),이재익 ( Jaeik Lee ),김수은 ( Sooeun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7 금융지식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노동조합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중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동조합 조직 기업은 노동조합과의 협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레버리지를 전략적으로 증가시키며, 영업이익 변동성이 큰 기업일수록 레버리지를 더 증가시키는 데, 이는 영업이익 변동성이 클수록 레버리지 증가를 통해 노동조합과의 협상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동조합 조직 기업은 재무적 제약 하에서도 노동조합과의 협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레버리지를 증가시키며, 정태적 자본구조 모형뿐만 아니라 동태적 자본구조 모형 하에서도 레버리지를 증가시킨다. 결론적으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노동조합과의 협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레버리지를 전략적으로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동조합이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변수라는 점을 인정하여 재무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노동조합과 자본구조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문헌에도 공헌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labor union on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ionization rate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leverage ratio, implying that labor union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apital struc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unionized firms strategically increase leverage ratio to gain bargaining advantages over labor unions and to shelter corporate income from their demands. Moreover, unionized firms with higher operating profit volatility have greater strategic incentives to increase leverage ratio to gain bargaining advantages over labor unions. Even though controlling several proxies for financial constraints, there are still the positive union effect on corporate capital structure. Furthermore, in the frameworks of static or dynamic capital structure model, labor unions have consistent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apital structure. In conclusion, firms facing stronger labor unions strategically increase leverage to improve their bargaining position against labor unions.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managers must have to consider labor unions as a new determinant of capital structure.

      • 주요국의 원자력 정책에 따른 기술 동향 분석 - 안전과 핵연료 분야를 중심으로

        윤미래(Mirae YUN),주지은(Jieun JOO),김수은(Sooeun KIM),이태준(Tae Joo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논문에서는 국가 원자력 정책의 방향에 따라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주요국의 연구 동향을 원자력 안전과 핵연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원전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주요 연구주제와 선진 핵연료 연구주제를 세분화 하여 국가 간 비교를 하였다. 비교 결과 모든 조사 대상국에서 가동 중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원전을 가동 중인 국가에서는 수명연장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또한 진행 중이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중대사고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사고 이해를 위한 원자로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진 핵연료 소자 개발은 기술력의 수준이 높거나 원자력 에너지를 적극 지원하는 미국, 프랑스, 중국에서 연구 중이다. 마지막으로 기술 동향 비교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원자력연구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 trends of major countries that are developing technologi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nuclear policy are examined, focusing on nuclear safety and nuclear fuel. Major research topic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and research topics about advanced fuel were subdivided and compared between countries. As a result, all the surveyed countries are conducting research to improv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in operation, and core technologies for extending the life of nuclear power plants are also in progress.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research related to severe accident is actively investigated,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reactor simulation tools for understanding the accident is underway. Advanced nuclear fuel development is being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China, where the level of technology is high and active support for nuclear energ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Korea"s nuclear research and development were drawn through the comparison of technology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