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상염색체우성 다낭신: 병인론과 치료의 최신지견

        김수완 ( Soo Wan Kim ) 대한신장학회 201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0 No.3

        The discovery of the genes and their respective proteins that are associated with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has revolutionized the field of ADPKD biology.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the pathogenesis of ADPKD is linked to abnormalities in the primary cilium in the kidney. Inactivation of ciliary proteins in the postnatal kidney has uncovered novel roles of primary cilia in regulating tubular growth and repair after injury. Furthermore, defective tubular repair after injury may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ADPKD. Studies of signaling pathways that are perturbed in ADPKD have identified potential targets for pharmacological therapy.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ownstream consequences of ADPKD mutations has identified a number of therapeutic targets that are now being tested in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s. The author summarized recent insights in the pathogenesis of ADPKD including the genetics of ADPKD, the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polycystin proteins, the role of cilia, some cell-signaling pathways and new therapeutic interventions.

      • KCI등재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를 이용한 독거노인의 일상생활 변화와 만족도 연구

        김수완(Soo Wan Kim),박화옥(Hwa-Ok Park),윤수인(Su-In 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를 이용한 독거노인의 일상생활 변화를 분석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는 IoT 기술과 돌봄코디네이터의 대인 · 대면 서비스를 접목한 통합적 돌봄서비스이다. 수도권 3개 도시의 지역복지관을 통하여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연구대상자로 모집하였고,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 비교조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실험집단(32명)은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집된 자신의 건강정보와 환경정보 데이터를 앱으로 확인하며 스스로 자신의 일상생활 습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고, 돌봄코디네이터는 정기적으로 데이터 기반 상담 등의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통제집단(32명)은 댁내 장비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디네이터의 일반적인 안부 확인과 말벗 서비스만 제공받았다. 3개월간의 서비스 이용 전후 설문조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식사 패턴과 충분한 수면시간, 하루 중 활동 시간의 적절성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IoT 센서 기반 돌봄서비스는 조도, 습도, 온도 등의 실내 환경을 이해하는데 유용성이 높았으며, 돌봄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만족 수준과 코디네이터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앱 서비스의 만족 수준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을 위한 ICT 기반 돌봄서비스를 구성할 때 대인·대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daily life and user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ttributable to IoT sensor-based care services. The care servic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tegrated service that combined IoT technology with interpersonal and face-to-face contact with care coordinators.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were recruited in three cities; a non-equivalent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experimental group (n=32) had regular contact with a coordinator who had access to health and environmental data collected using radar sensor equipment. The control group (n=32) received only regular safety checks and chatting service contact with a coordinator. Analysis after 3 months of servi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elf-perceptions of eating patterns and sleep adequacies and daily activity tim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no such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 IoT sensor-based care service, as assessed by subjects, was considered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indoor environments, including illumin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Overall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coordinator service usefulness and app service satisfac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combine ICT-based services and face-to-face services for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근로시간 선호와 선택에 관한 연구

        김수완(Soo-Wan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5

        이 연구는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선택과 인식을 국가 간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제사회조사의 노동지향성 모듈(2005)을 이용하여 핵심근로연령대(25-54세) 근로자를 대상으로 OECD 18개국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을 비롯한 5개국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시간에 대한 선호는 시간제 전환에의 권리성이나 일자리 질 등의 구조적인 요인보다는 개인적인 요인들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급노동의 의미를 경제적인 것에 두는 정도가 약할수록, 시간자율성을 중시할수록 시간제를 선호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은 시간제근로에 대한 선호가 상당 부분 개인의 삶의 가치와 관련 있음을 보여주지만, 일에 대한 가치부여와 인식이 현실의 제약에 구속될 수 있을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었다. 둘째, 짧은 근로시간을 선호할수록 실제로 시간제근로를 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시간제 근로가 저숙련 일자리에 더 일반화되어 있는 현실 등으로 인해 시간제근로에 대한 선호와 실제 시간제일자리 선택이 같은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orkers’ preferences and choices on working time or part-time work. Using Work Orientation Module(2005) of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this study performed a multi-level analysis with the core working-age (25-54) workers of 18 OECD countries as well as a path analysis with five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on working hours was proved to be affected by individual factors rather than structural forces such as a worker’s right to request part-time or quality of part-time job. The less a worker focuses on the economic merit of paid work and the more (s)he values time autonomy, (s)he tends to prefer part-time work. This tendency proves that working-time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life values of individuals, while the possibility that even those values are restrained by their living conditions still exists. Second, the mechanism of preference on part-time and those of real choice proved to be different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part-time work prevails in the low-skilled jobs.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복지기술 관점에서의 비대면 서비스 제공 경험에 관한 연구: 수도권 도시지역 보건소 및 노인복지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김수완(Kim, Soo Wan),임정원(Lim, Jung-won),최종혁(Choi, Jong Hyug),서청희(Seo, Chong-he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83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지역사회 내의 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서 실행한 노인대상 비대면 서비스 제공 경험을 복지기술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보건·복지서비스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지역의 한 지자체 보건소와 노인복지관의 복지기술 서비스제공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서비스 제공은 현장의 업무를 오히려 가중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낮은 디지털 역량으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대면 서비스의 보완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용자 간의 디지털 역량 격차는 크고, 특히 노인 연령대에 따라 역량의 차이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비대면 서비스의 장점과 한계가 동시에 경험됨에 따라, 비대면 복지기술을 사용하더라도 대면 서비스가 동반되어야 할 필요성을 재확인시켜주었다. 넷째, 지역사회의 보건소와 복지관 실무자들은 보건복지 연계에 대한 인식은 있으나, 실제로는 전달체계의 이원화를 넘어선 연계는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보건과 복지가 연계된 통합적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experiences of providing non-face-to-face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s in a local community located in metropolitan urban areas during the COVID-19 period from the viewpoint of welfare technology. Thus, this study intended to find possibilities to contribute to the innova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elfare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of a public health center and a senior welfare center in a local government in Gyeonggi-do.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aggravates field works of practitioners or social workers. Due to the low digital capabilities of older adults, even if non-face-to-face services are provided, supplementation of face-to-face services is inevitable. Second, the digital competency gap between users is large, an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is marked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among seniors. Third, as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services were experienced at the same time, it reconfirmed the need to accompany face-to-face services even when non-face-to-face welfare technologies were used. Fourth, although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in the local community are aware of the health and welfare linkage, it is confirmed that in reality, the link beyond the dualiz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s not well establish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providing an integrated non-face-to-face service that connects health and welfare in the future.

      • KCI등재

        복지국가 재편의 경로의존성: 공적연금 제도구조와 급여관대성 및 지출수준에 관한 비교연구

        김수완 ( Soo Wan Kim ),백승호 ( Seung Ho Bae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and determinants of public pension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in welfare states during the last retrenchment period. Path-dependency thesis, industrialization theory and power resources model were examined with the twelve welfare states from 1980 to 200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s of benefit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have been differently presented according to pension structure. Second, the cross-national pooled-time series analysis confirmed that pension structure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determine the level of benefit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on pension spendings were proved even without any changes of pension generosity. New social risks, however, have restrained the pension spending. Fourth, the power of the left party and labor union did not affect the pension policy, which implies that power resources theory cannot explain the development of pension policy in this retrenchment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중고령자 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사회정책학적 연구

        김수완(Soo Wan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2

        이 연구는 중고령자의 근로여부와 근로시간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국가비교적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계층효과, 일에 대한 관점, 노동시장 구조의 배출효과와 사회보장제도 등의 유인요인 효과 등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인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8개국에 대한 다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과 관계없이 대다수의 고령자들이 일하기를 원하며, 따라서 대다수 중고령자의 비근로는 일을 하지 않으려는 자발적인 선택이 아닐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55-64세 집단에 있어서는 계층이 높을수록 일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은 계층간 불평등이 발견되었다. 셋째, 근로여부와 근로시간 선호는 사회보장제도의 관대성보다는 시간제 근로비중 등 고령자에게 적합한 유연한 일자리가 제공되느냐에 더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적어도 국가비교적 관점에서 볼 때 고령자 근로의 핵심적인 문제는 노동공급 측의 문제(즉 고령자의 근로의욕)라기보다는 노동수요 측의 문제, 퇴직 유인의 문제보다는 일자리 상황과 구조의 문제라고 보여진다. This study has sought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work and work preference of older adults at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 A few theoretical hypotheses such as economic need versus job opportunity (or employability), attitude toward paid work, pull effect versus push effect were tested for citizens in eighteen OECD countries with International Social Survey dataset (2005) using multi-level analysi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lder adults wanted to work regardless of the socio-economic status, which implies that non-work of older adults would be due to involuntary constraint rather than voluntary choice, Second, there existed class inequality in that the higher class tended to involve paid work more than the lower class did among 55-64 age group, Third, the push factor such as part-time employment ratio, rather than the generosity of social security, explained the work and retirement patterns better. In conclusion, at least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the main problem of older adults` work seems to be of labour demand rather than of labour supply, to be of labour market structure and work opportunity rather than of the pull factor.

      • 비디오 안정화를 위한 bit-plane 상에서의 강인한 국소 패치 매칭 기법

        김수완(Soo Wan Kim),윤기민(Kimin Yun),이현진(Hyun-Jin Lee),최진영(Jin Young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robust and fast video stabilization algorithm by novel patch matching algorithm. In every frame, patches for finding camera motion are generated to contain edges and matched in the edge map from gray coded bit plane. Each individual patch results is combined to find the camera motion. After that, we keep reliable patches and discard incorrect patches for stabilization in the next frame. We showed the experimental resul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