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변토 Biofilter를 이용한 Trimethylamine의 제거

        김성건,이성택,Kim, Song-Gun,Lee, Sung-Taik 유기성자원학회 1996 유기물자원화 Vol.4 No.2

        Trimethylamine, dimethylamine, methylamine 등의 아민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TMA를 성장기질로 사용한 농화배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은 Methylobacterium sp. T32에 속하는 균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메탄올, 메틸아민류를 분해할 수 있으나, 다탄소화합물중에서는 malate, succinate, betaine과 같이 극히 제한된 종류의 유기화합물만을 분해할 수 있는 restricted facultative methylotroph였다. 이 균을 분변토에 고정하여 biofilter를 제작하였을 때 TAM gas를 SV $30h^{-1}$, 농도 120ppm를 연속적으로 분해했다. A bacterium, capable of the degradation of trimethylamine(TMA), dimethylamine, and methylamine, was isolated from an enrichment culture on TMA basal mineral medium.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Methylobacterium some carbon-carbon bonds compounds like malate, succinate, betaine. When the strain was immobilized to earthworm cast, the biofilter could remove the gaseous TMA of SV $30h^{-1}$, concentration of 120ppm,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도성장 이후의 한국교회

        김성건(Kim Sung-G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8 No.-

        개신교는 1884년 처음 한반도에 들어온 이래 20세기 중반까지는 점진적인 성장을 보였으나, 남한에서 산업화가 시작된 196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약 30년 동안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급속한 성장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개신교는 서구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지 백 년이 조금 넘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현재 세계에서 제일 큰 교회인 여의도순복음교회(설립자 조용기 목사)를 갖고 있다. 한국 개신교의 성장을 설명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이 개신교와 자본주의 혹은 경제발전 사이에 존재하는 친화성이다. 한국의 압축적 근대화 시기에 개신교가 경제적 영역에서 이루어진 발전과 유사한 스타일로 발전하였다. 이로부터 성공의 복음을 지지하는 많은 개신교인들은 지난 30여년의 시기 중 달성한 한국의 성공과 번영을 신의 축복의 징표로 믿으면서 기독교(개신교)가 국가의 경제발전의 중요한 한 요인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1990년 이후 한국 개신교가 예전과 달리 성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지난 2000년부터 초대형교회를 경쟁하듯 세우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그중 일부 과도한 개교회주의를 표방하는 초대형교회는 현재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중심인 수도 서울 지역에만 지난 2000년을 기준으로 현재 여의도순복음교회를 비롯하여 세계에서 가장 큰 50개의 초대형 교회들 중 무려 23개가 위치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주요 종교들 중 가톨릭은 지난 17년 동안 무려 70퍼센트의 신도 증가를 이룩한 것과 대조적으로 개신교회는 신도의 수가 감소되고 있고 또한 교계 안팎으로 다음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1)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갈등의 증가 2) (존 스토트가 말하는) 깊이 없는 성장의 문제 3) 초대형교회의 제반 문제(양 도둑질 논란, 양극화, 세습, 성추문, 재정 문제, 목적 전치, 사유화 문제 등). 이글의 결론에서 필자는 총체적 위기에 놓여 있는 한국교회가 현 시점에서 나아가야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여기서 필자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령운동 곧, 영성과 사회참여가 결합한 (도날드 밀러가 말하는) 선진적 성령운동이 긴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growth of Protestantism was gradual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when a number of factors encouraged the growth of Protestant Christianity in South Korea, and its growth since the 1960s has been significant enough that the number of adherents to Protestantism surpassed that of adherents of the traditional religions. During the ‘Conversion Boom’ period ending in the 1980s, the number of Protestants increased faster than in any other country. A number of South Korean Christians, including David Yonggi Cho, senior pastor of Yoido Full Gospel Church, have attained worldwide prominence. Many South Korean Christians holding the Gospel of success view their religion as a factor in the country’s dynamic economic growth over the past three decades of compressed modernization, believing that its success and prosperity are indications of God’s blessing. There is a tendency to build megachurch since 2000 that leads some churches with excessive individual-churchism to controversy. As of 2000, Seoul contains 23 of the world’s 50 largest Christian congregations. Today, however, Protestantism struggles with controversy and a declining number of followers while the Catholic Church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its membership by 70 percent in the last 17 years. Korean Protestant Church has several challenges: 1) the increasing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2) the problematic ‘growth without depth’ (in John Stott’s words), and 3) the issue of megachurch facing various criticisms such as sheep stealing, polarization, hereditary transmission of pastors, clergy’s sexual scandals, goal displacement, financial dishonesty, and privatization. The conclusion of the paper suggests a few directions including ‘progressive Pentecostalism’ (in Donald Miller’s words) which combines spirituality and social commitment for overcoming the present crisis of Korean Protestantism as a whole.

      • KCI등재

        연구논문 :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한국교회

        김성건 ( Sung Gun Kim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5 신학과 사회 Vol.29 No.1

        오늘날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인구변동은 바로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다. 2013년을 기준으로 볼 때, 한국은 합계출산율(TFT)이 1.19로서 예외적으로 낮은 출산율을 보여주고 있는 바, 이것이야말로 한국이 당면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노령층의 빈곤율이 높고, 다양한 가족 문제가 빈발하고 또한 사회적 고립이 나타나는 등 고령화는 1960년대 이래 “압축적 근대화”를 이룬 것으로 널리 알려진 한국이 당면한 또 다른 중대한 사회문제다. 한편, 세계 기독교 근대사에서 한국 개신교가 전례가 없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룬 뒤에, 최근 한국 개신교회는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고, 그 결과 지난 20년간 로마 가톨릭교회는 신자가 꾸준히 늘어난 것과 대조적으로 개신교의 신자 숫자는 계속 떨어지고 있다. 필자는 “선교적교회”의 관점 속에서 급속도의 성장 뒤에 오늘의 한국 개신교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도전은 바로 (존 스토트의 말로서) “깊이 없는 성장”의 문제를 어떻게 교정하는 가에 있다고 본다. 급격하게 변동하는 글로벌 사회 속에서 여성과 가족의 쟁점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개신교는 전체적으로 지금까지 고령화, 죽음, 종교성 사이의 상호 관련은 물론 출산율과 종교성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선구적으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 결과, 한국 교회는 오늘의 한국사회 내에서 서로 맞물린 두 개의 사회문제인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이나 방안을 모색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중대한 쟁점을 어떻게 다룰것인지에 대해서 한국교회들 중 중간규모 혹은 그 이상의 규모를 갖는 교회들이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가능하면서도 변혁적인 대응 방안을 다음 두 가지로 제시하는 데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첫째, 저출산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 내의 자체 시설을 활용하고 풍부한 인간자본(영유아를 가진 젊은 기혼 여성들과 50대 중반 이상의 성숙한 부인들)을 잘동원하여 독립적인 공동(협동적) 육아 시설을 마련하는 것, 둘째, 고령화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 부지 내 혹은 인근에 홀로 된 노인 신자들을 위한 남녀별 그룹 홈을 만들어 이들이 이곳에서 공동생활을 하도록 지원하는 것. The single most important demographic change in the world right now is the dramatic decline in birth rates. In South Korea, the extraordinary low birth rate as of 2013 (Total Fertility Rate: 1.19) would be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In addition to this, an aging population with a high level of the elderly poor, various family problems and social isolation are other grave social issues in the country that is renowned for its “compressed modernization” since the 1960s. In the meantime, after a period of unprecedentedly remarkable growth of Protestantism in the modern history of world Christianity, Korean Protestant Church is recently struggling with controversy and a decline in its followers while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continuously gained its believers in the last 20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I would argue that the most vital challenge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after its rapid growth is to rectify the problematic “growth without depth” (in John Stott``s words). Despite the rising issue of women and family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society, Korean Protestantism in general has been neglecting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rate and religiosity as well as that between aging, death, and religiosity. Consequently, it has not tried to seek substantial alternatives or correctives for low birth rate and aging, the two intertwined social problems with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is paper, I propose some viable innovative choices for the mid-sized or large Korean churches to manage the momentous issues of low birthrate and aging: (1) to provide communal child-care and mutual rearing system through utilizing church facilities and human capital (2) to establish church group (male/female) homes (within or nearby the church venue) for the elderly single members of the congreg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세계화와 현대 종교의 구조적 위기

        김성건(Kim Sung-Gun)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4

        지난 1980년대이래 새로운 현상으로서 전세계적인 종교의 부흥이 일어나고 있다. 서유럽을 제외한 지구촌 대부분에서 세계의 탈세속화가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배경으로 하여 최근들어 세계화와 종교, 달리 말해 세계화의 종교적 차원에 대환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의 전면적 영향 아래 놓여 있는 현대 종교의 구조적 위기 혹은 운명을 종교사회학적 관점 속에서 세계화이론 및 세계체제이론 등을 활용하여 심층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조명해보는데 있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글로벌 사회 속의 다양한 현대 종교들 중 피터 베이어가 말하는 세계의 양대 조직종교-이슬람교와 기독교(특히 개신교)-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것은 현재 세계적으로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것은 신학적으로 보수적인 종교적 근본주의(대표적 예: 이슬람 근본주의와 개신교 근본주의) 진영이라는 인식의 결과이다. 현대 종교의 구조적 위기는 기본적으로 근대화와 세계화에 따른 제도적 분화, 권위와 정당성의 위기, 다원주의의 파급, 사사화(私事化) 등으로부터 연유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 사회의 주요한 특징은 대중사회의 세계화와 후기 근대성이 초래한 다원주의의 침투에 있다. 이 같은 세계화 과정은 종교에 대해 두 가지 짐을 지어준다: (1) 특수한 정체성들 (즉, 종교)의 상대화 (2) 사회적 의사소통의 양식으로서 점차 유리해지는 여타의 양식 (예: 정치, 경제 동)과 대조적으로 종교의 주변화. 그로부터 간단히 말해 오늘날 종교의 딜레마 즉, 구조적 위기는 기독교 내의 보수적 종교와 진보적 종교 진영간의 대조적이면서도 엇갈리는 위상이 잘 보여주듯이 종교의 사적(사사화된) 영향은 증가하면서도 그것의 공적 영향은 오히려 역설적으로 쇠퇴하는데 있다. Despite the secularization thesis, since 1980s religion has not only survived; it is flourishing. Thus, Peter Berger has recently admitted that the assumption that we live in a secularized world is false. The fact that we live in globally interconnected world has become a cliche. Many people are becoming increasingly concerned with globalization; yet serious study of these changes (e.g. the religious dimension of globalization) is just beginning. The application of globalization theories to religious movements is relatively underdeveloped.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predicament or destiny of contemporary world religions under the pressure of the globalization of modern society in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using world system theories and globalization theories. It is true that religious fundamentalism exemplified by Islamic fundamentalism and Pentecostalism is leading the worldwide growth of religion. For practical reasons, in this sense, my focus in this study is on the two large world systemic religions - Islam and Christianity (especially Protestantism). Regarding religion's place within globalization, all contemporary world religions experiencing structural differentiation, authority and legitimacy crisis, pluralism problem, and privatization, confront a similar structural predicament, related to the globalization of mass societies and the porous pluralism of late modernity. Two burdens are borne by globalization: the relativization of particularistic identities, that is, specific religions and the marginalization of religion as a mode of social communication in favor of other modes, the political and the economic. In a nutshell, the main structural predicament or dilemma of world religions is: while the privatized (pure) function of religions is increasing, their public influence is decreasing.

      • KCI등재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 사회학적 관찰

        김성건(Sung-Gun Kim)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1 No.1

        이 글은 먼저 ‘종교와 정치’ 사이의 관계 - 유착, 분리, 창조적 긴장- 에 주목한 것으로부터, 오늘날 세계화가 현대 종교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효과 그리고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구조적 위기를 이론적 측면에서 간단히 밝힌 다음, 해방이후 오늘까지 한국교회의 정치참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다음 필자는 한국교회의 정치참여를 놓고서 그 동안 보수와 진보 진영 간에 상당한 논란이 일어난 것에 관한 사회학적 관찰로서 최근의 김진홍 목사, 기독당, 촛불집회 사례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끝으로, 결론으로서 현 시점에서 한국교회에 관한 종교사회학적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This study reviews the structural predicament of contemporary religions in the midst of globalization, and examines Korean churches’ political participation since 1945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 fusion, disjunction, and creative tension. The study provides a sociological observation on the disputes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Radicals) in Korean Protestantism. The following cases are explored: (1) Reverend Chin-Hong Kim (2) the Kidokdang (Christian Party) (3) the 2008 Chotbul (Candle Movement). As a conclusion, the paper suggests prospects on the future of Korean Protestant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공론장에서 복음주의 개신교의 위상

        김성건 ( Sung Gun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7 담론 201 Vol.20 No.2

        최근 사회의 공론장에서 종교계의 자유주의자들과 보수주의자들 간에 논쟁이 시작됨에 따라 한국교회의 공적 역할에 대한 논쟁도 재출현하게 되었다. 이 글의 중심적 질문은 복음주의 개신교(`복음주의 우파`) 특히 그중에서도 오순절 성령운동 집단이 현 한국 사회 내 사회적 불평등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에 대해서 과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이다. 이 물음에 대해서 필자의 대답은 조건부 `긍정`과 조건부 `부정`이다. 전자는 오순절 성령운동이 사람들로 하여금 에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사고하도록 추동한다는 점에서, 후자는 이 운동의 일부 표현이 실제로 사회적 변혁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역사적으로 독특한 미국 개신교의 영향을 받은 한국의 복음주의 개신교는 기본적으로 `우파`이며 `경제적 보수주의`와 `도덕적 보수주의`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부터 한국 공론장에서 개신교회의 복음주의 다수의 위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필자는 이것은 우리가 종교와 사회적 건강 사이에 존재하는 혼란한 관계를 어떻게 보는가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한국의 복음주의 개신교가 갖고 있는 주된 관심은 불평등 같은 사회정의의 이슈가 아니라 동성애 같은 종교도덕적 이슈이다. 한국 개신교 신자들의 신앙의 사사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자로서 필자는 이 글에서 교회 지도자들이 신앙을 한갓 일종의 치료로서 취급하여 사람들을 행복하게 느끼도록 만드는데 그리고 현재의 삶에 정서적으로 적응하도록 하는데 주로 관심을 갖게 된 결과 결국 신앙인들을 시민으로서 참여하도록 만드는데는 크게 보아 실패하였다고 논증하였다. With more public debates taking place between religious liberals and conservatives, a 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have been questioning the role of the Korean church in today`s society. The central question of this paper is whether evangelical Protestantism (“evangelical right”), especially in its Pentecostal form, is able to address som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class disparity and social inequality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My answer to this question is both a qualified “no” and a qualified “yes,” acknowledging that some expressions of Pentecostalism may actually hinder social transformation, while some can introduce new ways of thinking to the population. Korean evangelical Protestantism, influenced by a distinctive American Protestantism, is inherently `right wing` and shows both `economic conservatism` and `moral conservatism.` Then how should we evaluate the place of the evangelical majority of Protestant churches in the Korean public sphere? It depends on what we make of the confusing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al health. Currently, the main interest of Korean evangelical Protestantism lies not in the issue of social justice, such as inequality, but in the religio-moral issues, such as homosexuality. It is worrying to note that many church leaders, who are chiefly bent on gratifying their followers, treat faith as a kind of therapy, and compromise on many fronts to adjust their beliefs to better fit the secular values of today, while neglecting their duty to call forth believers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 KCI등재

        9ㆍ11 테러 사태 이후 급부상한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에 관한 고찰

        김성건(Sung-Gun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8 현상과 인식 Vol.32 No.1·2

        이 논문은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자들의 공격적 해외 선교 활동이 2001년 테러 사태 이후 한층 두드러지게 증가된 사실에 주목하여 그 배경과 이유를 선교 사회학적 관점에서 밝힌 것이다. ‘기독교 시온주의’는 개신교 근본주의 내의 한 운동으로서 본래 전(前)천년적 섭리주의로부터 기원한 것이다. 기독교 시온주의는 근대 국가로서 이스라엘이 현재의 지역에 지난 1948년에 수립된 것을 성서적 예언의 성취로 이해한다. 미국에 의해 대규모로 개종된 한국은 세계 기독교사에서 기록적인 개신교 성장을 이룩한 것을 바탕으로 현재 미국 다음으로 해외에 선교사를 많이 내보내고 있다.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를 사실상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인터콥이라는 복음주의 선교 단체의 하위 조직인 아시아협력기구(IACD)는 2004년 예루살렘에서 당시 한국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예수 행진’이라는 대형집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인터콥 소속의 선교사들이 2007년 7월 19일 아프가니스탄에서 일어난 분당샘물교회 소속 단기 사역팀 23명의 인질 사태의 발생에도 일정한 책임을 질 수밖에 없는 것으로 최근 드러났다. 그럼에도 인터콥의 대표인 최 바울(최 한우) 목사는 9ㆍ11 테러 사태 이후 세계에서 반미 감정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이제는 세계 선교의 주도권을 미국으로부터 한국이 넘겨받아야 할 때라고 계속해서 강변하고 있다. 이로부터, 이 논문은 예수 행진과 아프가니스탄 사태 등에서 잘 드러난 한국의 근본주의적 개신교인들의 ‘영적 주관주의’와 ‘한국중심주의’의 문제 등에 주목한다. 요약하면, 이 논문은 ‘전 지구적 영적 정복’이란 이념에 도취된 한국의 복음주의적 선교사들의 팽창주의 신념을 종교적 근본주의와 이데올로기적 종교민족주의 양자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란 측면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한 것이다.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missions, explores the activities of Korean Christian Zionists after 9ㆍ11 against the interplay of evangelical fundamentalism and religious nationalism. Christian Zionism, growing out of premillennial dispensationalism, is a movement within Protestant fundamentalism that regards the modern state of the country / region of Israel as the fulfillment of Biblical prophecy. Sourh Korea, thanks to its Protestant success, currently sends more missionaries abroad than any other country except the United States. The Institute of Asian Culture and Development(IACD), an umbrella organization of Intercp which is a leading evangelical organization of Korean Christian Zionism, sponsored an event that has come to be known as the 'Jesus March' in Jerusalem in August 2004, despite strong opposition from the Seoul government. Twenty-three South Korean Christian aid workers were kidnapped by Taliban insurgents in Afghanistan on July 19, 2007. It has recently come to light that among the 23 hostages there were two women missionaries affiliated with Intercp. The 2007 South Korean hostage crisis in Afghanistan has prompted soul-searching over South Korean churches' proselytizing in dangerous areas. However, stressing the fact that anti-Americanism is gaining popularity in the world after 9ㆍ11, Paul (Han-Woo) Choi, the head of Intercp, suggests that Korea should take over the initiative of the world mission from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some problematics such as 'spiritual subjectivism' and 'Korea-centrism' illustrated by the Jesus March incident and the Afghan controversy. From thi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expansionist conviction of Korean Pentecostal/evangelical missionaries who are imbued with ideas of 'global spiritual conquest' can be understood as a manifestation of 'Korean Christian Zio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