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중국해 분쟁과 베트남의 전략

        김석수 ( Kim Suk Soo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남중국해 분쟁에서 베트남의 생존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베트남과 중국 관계는 영원한 비대칭적인 구조로 특징지을 수 있다. 베트남은 강대국인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에 대응하는 전략으로서 중국과 국교정상화 이후 국익과 안보 확보를 위해 다양한 헤징전략을 채택해 왔다. 남중국해는 석유, 천연가스 그리고 풍부하고 다양한 어류 등 풍부한 천연자원과 전략적으로 중요한 해역이기 때문에 분쟁에 중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그리고 대만을 포함한 수많은 국가들이 관련되어 있다. 1991년 베트남과 중국이 국교를 정상화한 이후 베트남은 여러 가지 차원의 헤징전략을 채택함으로써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이 악화되는 것을 피해왔다. 첫 번째 헤징전략은 경제적 관여를 통해서 베트남은 중국의 부상으로부터 혜택을 얻기 위해 중국과 긴밀한 경제적 유대를 추구해 왔다. 두 번째 헤징전략은 외교적 관여이다. 베트남은 국가대 국가, 공산당대 공산당 그리고 군부대 군부 차원과 같은 다양한 대화통로를 통해서 중국과 양자관계를 촉진했다. 세 번째 헤징전략은 국내적 균형이다. 베트남은 경제발전과 군사력의 현대화를 통해서 국내적 힘을 강화시켰다. 네 번째 헤징전략은 외부적 균형이다. 베트남은 다른 강대국들과 양자와 다자관계를 심화시키면서 지역 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비록 중국에 대한 베트남의 헤징전략을 3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헤징전략의 각 차원의 중요성은 서로 다르고 시간이 지나면서 중요도 역시 변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와 대외 안보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움직임에 대한 베트남의 대응의 결과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외교적 관여 외에 각각의 헤징전략은 특정한 시기에 베트남에 대응전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 왔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a Vietnam`s strategy in the disputes of South China Sea. In managing its maritime disputes with China, Vietnam has employed hedging strategy whose components include economic engagement, diplomatic engagement, internal balancing, and external balancing. Although it is a rational choice for Vietnam based on its situation, hedging cannot be free from limitations Close economic ties with China are leverage for Vietnam to develop its economy. However, deeper dependence on Chinese economy will have negative impact on national security because it weakens Vietnam`s bargain power in the South China Sea disputes. Beijing does not hesitate to use its economic power to influence international disputes. Take the cases of if the something happens that worsens the relations between Beijing and Hanoi, especially in the South China Sea disputes, China may apply economic sanctions against Vietnam. This action will have small impact on Chinese economy but will cause significant damages for Vietnam. By having an upper hand in bilateral relations, China maydrive the disputes in the way favors itself. Diplomatic engagement with China has brought positive results in enhancing national and regional security without spending much substantial resources. It provides valuable avenues for both countries to discuss about their concerns relating international disputes and to better manage bilateral issues. Nevertheless, the effectiveness of diplomatic engagement depends largely on the uncertain development in the South China Sea. If the clashes between China and Vietnam occur, most of communicational channels will be interrupted. This will destroy all the efforts made by the two nations in managing and resolving the disputes. Furthermore, the meetings and dialogues do not provide enough solid proofs in assuring Vietnam`s security. The agreements signed by the two countries aimed to enhance their cooperation as strategic partners. However, they do not address what China and Vietnam have to do or cannot do in order to maintain regional security.

      • KCI등재

        칸트에 있어서 자연미와 예술미

        김석수(Kim Suk-Soo)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1 No.3

        오늘날 문화산업의 확산과 생태계의 위기가 가중되면서,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 정립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미학의 영역에서도 생태미학과 더불어 자연미에 대한 중요성이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칸트의 자연미와 예술미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비판정신을 통해 자연의 필연성과 인간의 자유 사이의 양립과 이를 넘어선 조화를 모색하듯이, 자연미와 예술미의 관계에 대해서도 그와 같은 시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반성적 판단력과 이것이 지향하는 합목적성에 기초하여 목적론과 기계론 사이의 이율배반을 해결하고, 자연에서 도덕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의 자연미는 자연을 마치 목적이 있는 것처럼 파악하는 반성적 판단력의 주관적 합목적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취미판단의 무관심성과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통해서 판정된다. 이런 면에서 자연미는 순화된 마음상태로서의 도덕적 감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성의 이념이 지향하는 도덕(자유, 목적)의 나라로 나아가게 한다. 바로 이점에서 자연미는 사물을 아름답게 '표상'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는 예술미에 우선한다. 그렇지만 칸트에 의하면 예술작품이 제대로 된 미를 간직하기 위해서는 자연미가 기초로 하고 있는 무관심성, 목적 없는 합목적성의 차원으로 고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취미의 견제를 받는 천재를 통해서 가능하며, 이 경우 예술은 마치 자연처럼 여겨지는 단계가 된다. 자연 역시 천재와 취미를 통해서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결국 자연은 마치 예술처럼, 예술은 마치 자연처럼 여겨질 때 아름답게 된다. 그러나 칸트의 이와 같은 입장은 여러 사람으로부터 예술미를 자연미에 구속하고, 미를 도덕에 속박하였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글은 이러한 비판이 부당함을, 일차적으로는 칸트의 원전 내용에 기초하여, 이차적으로는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이론의 현대적 가치에 근거하여 제시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 글은 이를 통해 칸트의 자연미와 예술미에 관한 이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oday, the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is spreading and the crisis of ecosystem is deepening, and so we cannot help reconstructing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This made us turn to the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natural beauty. In our considering this situation, it is worth while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natural beauty and artistic beauty in Kant's aesthetic theory. Because, just as he tried to make it possible that the necessity of nature and the freedom of person are compatible and harmonized with each other by his critical spirit, so he did it in the case of the relation between natural beauty and artistic beauty too. He tried to resolve the antinomy between mechanism and teleology on the basis of the 'reflektive Urteilskraft' and 'Zweckmäßigkeit,' and then proceed from nature to freedom. His natural beauty is based on the 'reflektive Urteilskraft' and 'sujektive Zweckmäßigkeit' which judge nature as if it has an end in itself. And we judge it through the 'Geschmacksurteil' and 'Zweckmäßigkeit ohne Zweck.' Hence the natural beauty is connected with the moral feeling as a purified mental state and shows symbolically us the moral(end, freedom) kingdom. In that point, natural beauty is prior to the artistic beauty which has a purpose to represent objects beautifully. However, according to Kant, art works must be elevated into the level of 'uninteressiertes Wohlgefallen' and 'Zweckmäßigkeit ohne Zweck' on which natural beauty is based. It is possible through genius faced sanctions from taste(Geschmack), and art, in this case, becomes the level looked like nature. Nature shows us beauty through the activity of genius and taste. In the end, when nature and art are felt to us as if nature is art and art is nature, they will have beauty. But Kant's position has been criticized by other people. They said that Kant subjugated artistic beauty to natural beauty, and beauty to moral. I will argue that this criticism is unreasonable on the basis of Kant's texts and Adorno's mimesis theory. And I will prove that Kant's theory about natural beauty and artistic beauty is still important.

      • KCI등재후보

        베트남의 동맹정치: 남중국해 분쟁을 중심으로

        김석수 ( Suk Soo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6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2 No.2

        본 논문은 베트남이 전통적인 삼불원칙을 포기하고 동맹정치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분석하고 있다. 베트남의 전략은 중국 경제력에 편승하고 미국과 같은 역외 강대국을 개입시킨 균형정책으로 안보와 국익을 확보하는 것이다. 베트남은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미국 중심의 전략적 동반국들과 동맹에 준하는 안보와 방위협력 체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베트남의 역외 강대국들과의 관계 심화가 대중정책에서 부정적 결과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지만, 중국이 인공섬 건설과 군사기지 확대를 통해 남중국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안보 확보를 위한 필요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 이후 높아진 국내 중화민족주의 열망에 부응하기 위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미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그리고 일부 동남아 국가들과 긴장과 대립을 악화시키면서 베트남이 안보 확보를 위한 사실상의 동맹정치로 전환할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그 결과로서 베트남은 소위 삼불원칙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베트남의 반복된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전문가들은 베트남은 핵심 전략적 동반국인 미국, 필리핀, 일본, 인도, 호주 그리고 한국과 강한 안보와 방위 유대를 체결하기 위한 계속적인 노력을 통해서 동맹정치로 조용하게 이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남중국해에서 베트남의 동맹정치는 방어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고 중국이 그 분쟁에서 평화적이고 법에 근거한 접근정책을 채택하거나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된다면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해양에 대한 야망과 급격한 해군력 증강의 추이를 고려해 보면 평화적 해결이 가까운 미래에 현실화 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남중국해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베트남의 동맹정치 추구는 계속될 것이고 향후 동남아의 지정학적 전략적 동반관계의 역동성 전환의 원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Vietnam`s politics of alliance on the disputes of South China Sea. Vietnam has long maintained “no alliance” as a core principle in its foreign policy. However, as China becomes increasingly assertive in the South China Sea, there are indications that Vietnam is moving towards “alliance politics”, or efforts to forge close security and defence ties short of formal, treaty-bound alliances with key partners, to deal with the new situation. The need for such a shift in Vietnam`s China strategy became more relevant after the 2014 Haiyang Shiyou 981 oil rig crisis displayed the limitations in Hanoi`s hedging strategy. It deepened Vietnam`s perception of China as a serious threat and highlighted the irreconcilability between its twin goals of maintaining good relations with China and protecting its interests in the South China Sea. Vietnam seeks to the strategic costs that China used to impose on the country in the late 1970s and the 1980s after Hanoi had forged an alliance with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to counterac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is due as much to new domestic and bilateral conditions as to shifts in the regional geo-strategic landscape. Vietnam`s alliance politics can be traced through its strengthened security and defence ties with key partners who share convergent interest and threat perceptions in the South China Sea, most notably the Philippine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Taken into consideration China`s maritime ambitions and its growing power, these conditions are hardly realistic. Therefore, Vietnam`s alliance politics in the disputes of South China Sea will likely continue and contribute to the transforming of the region`s geo-political dynamics in the years to come.

      • KCI등재

        칸트 윤리학에서 판단력과 덕이론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3 칸트연구 Vol.31 No.-

        칸트는 이론철학에서 인식 주관의 선험적 형식과 물자체로부터 주어지는 내용을 종합하고자 하였듯이, 실천철학에서도 의무와 행복, 동기와 목적, 이성과 감정을 종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철학이 법칙을 선험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역사성과 사회성을 결여한 형식주의, 주관주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비판은 특히 윤리학의 영역에서 강하게 제기되었다. 그래서 칸트는 도덕법칙을 선험적으로 정초하는 작업과 이를 구체적 현실에 적용하는 문제를 함께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후기 ??도덕형이상학??에 이르러서는 그는 자신의 윤리 이론의 주관주의, 형식주의 문제를 벗어나기 위해서 판단력의 훈련과 덕의 함양을 통해 도덕법칙을 현실에 적용하여 이를 실행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그래서 칸트주의자들은 이를 근거로 칸트가 형식주의를 보완하여 의무와 행복, 동기와 목적, 이성과 감정을 종합하려고 하였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나 헤겔에 친화적인 입장을 지닌 윤리학자들은 여전히 칸트 윤리학이 주관주의, 형식주의를 제대로 벗어나지 못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칸트의 판단력 이론과 덕 이론 사이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칸트 윤리학에 대해서 제기되는 비판의 정당성 여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해서 칸트의 도덕법칙의 정초 작업과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작업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 글은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덕법칙을 선험적으로 정초하는 과정 자체에 법칙의 적용과 관련된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상황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불가피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은 이렇게 함으로써 칸트 윤리이론이 지니고 있는 장점, 즉 자율성은 살리되, 단점, 즉 연대성은 보완해보려고 한다. Kant tried to synthesize the a priori form of subject and the contents given from thing in itself in the theoretical philosophy. He also tried to reconcile duty with happiness, motivation with purpose, and reason with emotion in the practical philosophy. However, he has been criticized for not escaping from the formalism and subjectivism by many philosophers. These criticisms have been raised, particularly strong in the area of ethics. So Kant could not help considering both justifying the moral law in the a priori way and applying it to the concrete reality. Especially, he handled the matters applying a moral law to reality in the Metaphysic of Moral. In the proces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judgement and virtue. So the Kantians argue that Kant tried to reconcile duty with happiness, motivation with purpose, and reason with emotion. But the Aristotelians and Hegelians are criticizing that Kantian Ethics did not still escape from the subjectivism and formalism. With respect to this issue, I will intensively analyze the judgement and virtue theory of Kant, and investigate the validity of criticizing the ethical theory of Kant. Through this actions, I will argue that we should connect the a priori moral law basing on the “fact of reason” with the historical situ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s occurring between the justifying the moral law and applying it to reality. In conclusion, I will develop the merits of Kantian ethics, the autonomy, and complement the demerits of it, solidarity.

      • KCI등재

        남중국해 분쟁 해결과 아세안 방식(ASEAN Way)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새로운 차원으로 전개되고 있는 남중국해 분쟁에서 아세안 역할과 아세안 방식의 해결 방법이 효율성이 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아세안 국가들은 중국과 어떤 종류의 군사적 대결에서 자신의 권리 주장과 독자적인 안보를 확보할 수 있는 개별적?집단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남중국해 분쟁에서 정치안보적?경제적?전략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지지와 지원에 의존하는 전략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중국이 압도적인 군사력을 내세워 분쟁 해역의 섬들과 다양한 지형 점거를 저지하고 방어할 수 있는 능력과 전략이 절대적으로 열세인 아세안은 첫째는 미국, 일본, 호주 그리고 인도와 같은 역외 강대국과 안보협력 확대를 통한 균형정책(balance policy), 둘째는 중국을 동남아 문제 해결에 깊이 개입시키면서 경제적 상호의존을 심화시켜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편승정책(bandwagon policy)인 방어적 현실주의(defensive realpolitick)와 주도적인 개입(proactive engagement) 전략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methodology of the settlement of the South China Sea’ Dispute and ASEAN Way. Exercising decisive influence within the wider Asia-Pacific environment is beyond ASEAN’s limited strategic resources. Moreover, the consensus-seeking, shallowly institutionalized ASEAN Way approach has seemed poorly equipped to handle Chinese assertive divide-and-rule diplomacy that has accompanied its power projection in the South China Sea. Despite shortcomings in the ASEAN Way of security cooperation, it is argued that, given the inability of China and Japan to provide cooperative leadership in establishing an alternative multilateral security mechanism, ASEAN will continue to serve as the “default instrumentality” for maintaining a modest level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 KCI등재

        인도와 중국의 영역권, 연결성 그리고 세력권 경쟁

        김석수 ( Suk-soo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6 No.2

        중국이 적극적으로 해양 진출을 추구함에 따라서 인도양에서의 인도와 중국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17년에는 또한 인도가 중국의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구상에 대해 명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자, 중국은 인도가 추구하는 미국, 일본 그리고 호주와의 전략적 협력을 중국 봉쇄정책으로 인식하면서 양국 사이에 여러 가지 경쟁의 측면들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진 인도와 중국의 경쟁 관계를 어떻게 포괄적으로 파악할 것인가? 인도양에서의 양국의 대립은 육상 대립의 연장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더 나아가 국경 문제와 해양에서 양국의 대립은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인가? China is aggressively seeking to enter the ocean. Therefore, Indian and Chinese competition in the Indian Ocean is intensifying. In 2017, As India expressed a clear opposition to China’s ‘One belt, One road,’ China recognized India’s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as China’s containment policy, Various aspects of competition are complicated. So how do these factors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mplex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China? Can the conflict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Indian Ocean be explained by the continuation of conflict in the land? Furthermore, is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border and at sea possible to be seen as mutually independent?

      • KCI등재후보

        구체적 보편성과 지방, 그리고 창조학으로서의 인문학

        김석수(Kim Suk-S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8

        지금 우리는 ‘인문학의 위기’와 ‘지방의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다. 이 위기는 중앙 중심의 권력주의에 기인하고 있다. 현실 속에서 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힘 있는 학문은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학문은 죽게 되는 오늘날의 학문 권력 구조는 인문학과 지역학을 총체적으로 말살하는 상황이 되도록 만들고 있다. 그러나 원래 인문학이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근원적 가치를 반성하는 학문이어야 하는 이상, 인문학 본래의 사명도 버려진 주변부를 살려내는 작업이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인문학은 지역학을 길러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문학은 추상적 보편성과 구체적 개별성을 상생相生 관계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구체적 보편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것을 세계화시켜야 하는 오늘날 더 이상 획일적인 중앙주의는 지탱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인문학 역시 세계 중심 권력의 학문을 수입하여 시비나 걸면서 권력을 연명하는 차원을 넘어 우리 지역의 역사와 전통 속에 묻혀져 있는 것을 발굴 · 재창조하여 세계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자생학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복원과 세계학의 마련은 지역 인문학의 자산을 배제하여 마련될 수 없다. 나아가 인문학이 창조학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소외된 지역성과 그 속에 묻혀져 있는 전통성을 새롭게 길러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We are suffering 'the crisis of humane studies' and 'the crisis of local society' now. These crises are caused by the central power which discriminate against its outskirts. Today only the powerful science which makes money survives. In this conditions the humane studies and the local science cannot maintain their existence. But the original humane studies must be the science which reflect on the dignity of person and the fundamental value of life. Therefore the humane studies must take care of the around-world. In this sense the humane studies must go with the local science. In order to do this the humane studies must make development the particular universal which helps each other between the abstract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individual. We must local things into worldly things. Therefore now the uniformal centralism is no more sustained. The humane studies must also free itself from the science which imports the powerful science and quarrels about it. Now the humane studies must find out and create newly the things which have existed in our local history and tradition. It is not possible without developing the local humane studies to remake our tradition and prepare the worldly science. Futhermore if the humane studies playes the role of creative science, it must take care of the alienated local tradition.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계몽주의와 인문학

        김석수 ( Kim Suk-soo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8 No.-

        이 글은 얼 쇼리스가 `희망의 인문학`의 관점에서 칸트의 철학이 인문정신을 상실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것이 부당함을 입증하려고 한다. 칸트의 `철학하기`는 “논변적 분명성”과 “직관적 분명성”에 기초하여 학문의 과학화를 시도하는, 그래서 수사학을 배제하는 당시의 계몽주의의 정신을 일정 부분 계승하고 있다. 그 역시 인문학을 “역사적 인식”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철학이 속하는“이성적 인식”으로부터 분리해내어 “실용적 인간학”에 편재시켰다. 그러나 칸트는 인문학을 과학화하는 계몽주의와 관련하여 이를 문제 삼은 비코와 헤르더의 주장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였다. 그래서 그는 교양과 관련하여 취미판단을 중시한 당대의 일반적 흐름들을 공통감과 더불어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그 역시 `학문으로서의 철학`과 `삶으로서의 철학`을 종합하려고 하였다. 그는 인문학을 넓은 의미에서 철학부에 포함시켰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서는 이를 철학의 영역에서 배제하였다. 여기에는 일차적으로는 엄밀학을 중시하면서, 이차적으로는 대중에게 다가가려는 그의 학문 정신과 철학하기의 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 그는 이런 관점에서 미적 기예에 속하는 수사학도 이성의 자기비판을 통한 계몽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게 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에 기초하여 지식교육과 훈육교육을 조화시키고, 나아가 상상력을 통해 전개되는 천재의 길과 공통감의 길을 조화시키려고 하였다. 이런 점은 인문학적 상상력이 중시되는 오늘의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at it is inappropriate for Earl Shorris to point out that Kant`s philosophy is anti-humanistic in terms of his `humanities of hope`. Kant`s “philosophizing” inherited the spirit of Enlightenment attempting the scientification of sciences(Wissenschaften) on the basis of “argumentative clearness” and “intuitive clearness” with excluding rhetoric. He also classified humanities as “historical knowledge”, separated them from “rational knowledge” to which philosophy belongs, and included them in a “pragmatical anthropology”. Kant, however, came in contact with Vico and Herder, who criticized the Enlightenment. They questioned the subordination of the humanities to the scientific system. Kant came to think over his philosophizing with their influences. So, he tried to develop newly the general trends that emphasized taste judgment in relation to culture. Of course, he tried to do so with common sense. He also tried to synthesize `philosophy as a science` and `philosophy as a life`. He included humanities in the broad sense of philosophy, but at the same time he excluded it from the realm of philosophy. It reflects his academic spirit and his philosophizing to practice philosophy in reality based on strict science. He considered the practical work as important as the theoretical work of philosophy. Furthermore, he tried to make the rhetoric belonging to an aesthetic art(Kunst) contribute to realizing enlightenment through self-criticism of reason. He also tried to harmonize knowledge education and disciplinary education based on Socrates` dialogue, and to harmonize the path of genius with the way of “sensus communis” through imagination. This can still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oday`s era in which humanistic imagination is important.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칸트와 헤겔의 가족

        김석수(Kim Suk-Soo)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동서사상 Vol.11 No.-

        근대 시민사회의 출현은 가족의 형태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근대 시민사회에서 활성화된 사회계약론은 한편에서는 기존의 가부장적 가족을 부부중심의 가족으로 이동하도록 만들었으며, 따라서 가족 구성원들의 자유와 평등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렇지만 이 계약론은 다른 한편에서는 시민사회의 경쟁논리와 사물화 현상이 가족 내부에까지 침투하도록 만들었다. 칸트와 헤겔은 바로 이런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가족을 새롭게 자리매김 하였다. 칸트는 ‘물건적 인격권’의 입장에서 기존의 계약론의 장점, 즉 개인의 자유와 평등, 그리고 성적 욕망에 대한 합법적 추구의 부분은 수용하되, 이 속에 담긴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물화된 관계는 도덕적이고 인격적인 관계로 재정립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가족을 인륜적 사랑에 기초하려고 하였던 헤겔은 칸트가 근대 계약론적 가족관의 한계를 제대로 벗어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들 사이의 관계를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관계로 전락시켰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헤겔의 이런 가족관은 가족 내부의 폭력에 대해서 개입할 수 없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시민사회의 출현과 더불어 확립된 가족구성원들의 인권과 정의의 부분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자유주의적 가족관을 중시하는 자들은 사랑과 연대성을 강조하는 헤겔보다는 정의와 자율성을 강조하는 칸트의 가족을 더 높게 평가하려고 한다. 이처럼 칸트와 헤겔의 가족 이론은 각기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이들의 이론에 대해서 장점보다는 단점에 대한 지적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들의 가족관에는 성별분업에 입각한 남성주의적 지배구조가 자리하고 있으며, 결혼을 남녀 관계의 필연적 과정으로 인식하는 본질주의적 시각이 자리하고 있다는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주로 페미니스트들과 포스트모더니스트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에 의해서 주장되는 해체주의적 가족관 역시 성의 도구화, 욕망의 무한긍정, 이혼의 확산, 고립된 자아의 산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인격적 도덕성과 인륜적 사랑을 강조한 칸트와 헤겔의 입장을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appearance of a modern civil socie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amily style. The social contract theory activated in this society transformed the patriarchal family into the family based on husband and wife. It contributed much to the equality and freedom of the family members. However, this theory made the competence principle of a modern civil society and reification (Verdinglichung) penetrated into the family. Kant and Hegel reconstructed the fami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Kant accepted the advantage of the contract theory, namely the freedom and equality of the individual, and the legitimate pursuit of a sexual desire on the basis of “ein auf dingliche Art personliches Recht(ius realiter personale)”. But he criticized the reification occurred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reestablished it into the moral and respectful relations. But Hegel pointed that Kant couldn’t overcome the limit of the contract theory and he made the relation between family member into the formal and abstract relation. Hegel reconstructed the family on the basis of not ‘contract theory’ but ‘sittliche Liebe’. But Hegel’s family theory has the possibility to produce the situation which the public power can’t intervene against the violences in the family, and to abridge the rights of the family members and to endanger justice. And so those who make much of the libertarian family theory will think more highly of Kant emphasizing justice and autonomy than Hegel emphasizing love and solidarity. The family theory of Kant and Hegel has respectively merits and faults. However, many family theorists is pointing rather the defects of their theories than merits of them. There are the male chauvinism in the family theory of theirs and the essential viewpoint that marriage is necessary condition for the real relation between man and woman. These points are being criticized by feministsand post-modernists. However the de-constructive family theories argued by them can bring about the commodification of sex, the endless pursuit of desire, the spread of divorce, the production of the isolated selves, and the other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amily theories of Kant and Hegel who emphasized the autonomous morality and 'sittliche Liebe' to solve thes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