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과 독자의 상호작용적 읽기 -데이비드 위즈너의 <The Three Pigs>를 중심으로-

        김상한 ( Sang Han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0 No.-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정신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 포스트모던 그림책과 독자의 상호작용적 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글과 그림을 적극 활용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 중에서 환상과 전통적 시공간의 해체, 메타픽션, 상호텍스트성, 패러디 등을 특성으로 꼽을 수 있다. 독자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기존 구성 관념과 텍스트를 통한 구성 관념을 관계 지을 필요가 있다. 독자가 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독자와 텍스트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독자의 욕망과 텍스트의 욕망이 상호작용할 때 독자는 사회의 가치와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읽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실제 포스트모던 그림책인 <The Three Pigs>를 통해서 독자의 욕망과 텍스트의 욕망이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 그림책에서 독자는 자신이 알고 있던 이야기가 전복되거나 해체되고, 시공간이 분리되거나 결합되는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결국 독자는 글과 그림을 통해서 드러나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알고 새롭게 이야기를 구성하는 활동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독자가 중심이 되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the era of post-modernism postmodern spirit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the interactive reading books and readers was investigated. Picture books are written and postmodernism reveals leverage. The dissolution of the illusion of time and space and traditional, meta-fiction, inter-textuality, and the nature of parody jump in traffic. When reading a Postmodern picturebook rea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idea of their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text through the notion of communicative relations smiled mutual understanding requires effort. The reader reads the text to the reader to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text. Desire is the desire of the reader to interact with the text and the reader is critical of society``s values and attitudes can be read as actively looking. The study of the actual post-modern books through <The Three Pigs> desire of the reader``s desire to interact with and view the text examined. This picture book, the reader will know his story and the overthrow or dismantle, separate or combined processes such as time and space are investigated.

      • KCI등재

        스마트 폰을 활용한 문학 창작 교육 방안 -그림책을 중심으로-

        김상한 ( Sang Han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8 No.-

        This study used the smartphone for students creative ways to picture books into three presented. At first, by taking advantage of the creative ways to have a picture books. The interaction of words and pictures in a picture books can understand. Next, Collaboration pictures should be a picture book creation. Digital images make an array of multiple or creative new pictures. Also we use advantage of a variety of smart phones, voice or text, music. Our information about their daily lives themselves can accumulate. And the picture book creative jilseohwa it can be In the process, students look back on their lives will change. We make a smart way to live in the world of smart varies. We are ready to take advantage of smart devices eff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한국 도깨비 이야기와 일본 요괴 이야기의 비교 연구

        김상한(Kim, Sang-Han)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여러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 내려온 옛이야기 속에는 민족이 오랜 세월 지녀온 생활의 멋과 지혜, 염원과 절망, 웃음과 울음, 해학과 풍자, 가치관 등의 특성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그 중에서 우리 민족의 특성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는 도깨비 이야기를 일본의 요괴 이야기와 비교하면서 우리문화의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 도깨비와 일본 요괴의 형상화와 그 원형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반영하여 도깨비와 요괴를 보는 인식에 대하여 이야기에서 살펴본다. 아울러 이야기에 나타난 인간과 도깨비, 인간과 요괴의 관계를 사건의 변화 양상에서 살펴본다. 이야기에 숨겨진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기 위하여 두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문화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한다. 한국인은 도깨비의 양면성을 인정하면서도 대체로 도깨비를 인간으로 형상화하여 친근한 존재로 여긴다. 이에 비하여 요괴는 주로 일본인에게 대결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이렇게 인간의 도깨비와 요괴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사건의 양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국인과 일본인은 현실을 수용하는 방식에도 차이점이 있는데 한국인은 대체로 현실을 수용하고 이야기에서 해학과 풍자로서 현실을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한다. 반면 일본에서는 인간의 의지로 초인적 존재를 속여서 현실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그리고 인간과 도깨비 사이에는 상호 보완적 사건을 통한 새로운 관계 형성이 일어나는 반면 요괴 이야기에서는 이러한 인간과 요괴 사이의 관계 형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도깨비와 요괴를 바라보는 인식뿐만 아니라 민족의 공동체 의식과도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일본 문화 속에서 초월적 존재인 요괴가 대부분 공포의 대상으로 존재하여 금기시하는 대상이 된다. 이에 비해 한국 문화 속에서 초월적 존재인 도깨비에 대한 이야기는 풍자와 해학, 금기시와 훈육의 대상이 된다. 이는 한국 문화의 특성이며 민족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또한 이야기에 등장하는 음식 문화와 놀이 문화를 통하여 문화의 일부분을 살펴보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깨비와 요괴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특히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앞서 밝혔듯이 이러한 이야기 속에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야기를 통하여 각 민족의 문화를 자연적으로 체득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내용과 방법이 구안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old stories handed down by tradition, there are wits and charms, despairs and desires, laughs and tears, humors and satires, and values and so on. Compared Doggabi stories involved various racial traits with japanese specter stories and searching both of them for the hidden meaning of racial culture. For that, inquiring how the korean Doggabi and the japanese specter described in the stories and what the original forms are. And then to examine understanding of shapes and forms. Besides, to in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Doggabi, between Human and specter appeared in the stor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affair. In behalf of searching the hidden meaning under the stories,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Acknowledging ambilaterality of Doggabi, Koreans hold Doggabi to be a familiar being attribute to the shape of Doggabi is same to human . On the other hand, Japanese have a showdown with specter. Like this, difference of understanding Doggabi and specter affects on the situation. Korean and Japanese are differ from the type of accepting with the reality. Korean generally accept the reality and try to solve the problems by satire and humor in the stories. Whereas Japanese showing aggressive attitude to come over the difficulties by the will of human and deceive superhuman being. Theres new relationship forming between human being and Doggabi, but theres no relationship forming between human being and specter. It is related to understand each objects -Doggabi and specter- and community spirit too. In Japanese culture, specter often considered as a horror object and a tabooed being. On the other hand, In Korean culture, Doggabi considered as an object of humor and satire, discipline and taboo. The stories about both specter and Doggabi show character and nationality of each cultural background. Moreover foods and plays in the stories broaden understanding about their traditional culture. Everybody is interested in Doggabi and specter, especially children loves them. Realizing beforehand, there are various cultural elements in the stories. In conclusion, expecting to frame a draft for various contents and skills through the stories that students can comprehend their culture naturally.

      • KCI등재

        다문화 사회로의 실천을 위한 그림동화 읽기

        김상한(Kim Sangha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5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wo ways to read picturebooks for the paractice of a multicultural society. Two picuturebooks featuring characters that are experiencing multiculturalism. Two characters went to the immigration into the United States from Korea. People are understanding of himself through the face of the other. Readers will experience a multicultural society while reading a picturebook. The reader will understand the person’s experience of minorities in the majority’s position. Minority and majority party to create a multicultural society that respects each other. How to read a literary work to them as follows: First, students must make their own attitudes to multiculturalism. Second,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faced by people. Third, studen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 from the point of view of a writer. Fourth, students should look at changing the point of view of the characters. Fifth, students should check the multicultural attitude of its own in terms of figures and writers. Sixth, students should understand and express the view of multiculturalism through the pictures.

      • KCI등재

        바바라 리만의 그림책에 나타난 환상 구현 방식 연구

        김상한 ( Sang Han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2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출간된 바바라 리만의 그림책을 모두 분석하여 현실과 환상의 경계와 결합, 중첩과 순환 등이 그림에서 드러나는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작가의 표현 방식 중에서 특히 그림의 외곽에 있는 검은 선인 프레임이 존재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각 그림책에 있는 노란색의 상징 방법, 독자와 인물의 시선 마주함 등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환상 그림책은 독자의 꿈과 상상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독자는 작가가 그림책에 제시한 환상의 표현 방식을 구체적으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즉 독자는 그림책에서 드러나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와 결합 방식뿐 아니라 작가가 그림책을 통해 드러내는 환상의 의미도 함께 살펴야 한다. 바바라 리만의 그림책을 통해서 독자는 그림책의 세계에서 인물이 겪는 현실과 환상이 연계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독자의 현실과 그림책의 환상이 연계되는 경험도 할 수 있다. 작가는 이중적인 환상 구조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그림책에 있는 환상을 생생하게 공감하고 상상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독자는 그림책을 통해 경험하는 현실과 환상을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통찰력과 진실성을 얻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Barbara Lehman’s picturebooks fantasy style. Picture of Barbara Lehman’s books is that in reality the vision of people experience in their own reality and re-entering the fantasy experience. That is the reality for the reader and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 book fantasy, and repeat the cycle can be nested to form. Readers as well as books from the author draws the reader into a world of fantasy is to experience a variety of ways. Their books so the reader the illusion of reality and re-connect and be able to imagine the figure overlap. Reality and fantasy in the world of books, as well as linking to occur in the real world of the reader, and the books will be associated fantasies. Barbara Lehman’s books are similar to each other, or picture color and shape are often linked. For example, a child who ≪Museum Trip≫ yellow Medals, ≪Trainstop≫ entrance of the station, such as yellow, ≪Rainstorm≫ the yellow gate, the yellow of the statements are relevant to the lighthouse. After Barbara Lehman’s books and look at the color symbolism and relevance of a fact-book readers to browse and configure the way the story is discussed.

      • KCI등재

        놀이의 세계와 미래사회의 문학교육 방향 탐색

        김상한 ( Kim¸ Sang-ha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3

        우리가 맞이할 미래사회는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놀이의 의미를 통해 지금 우리가 맞이하거나 다가올 미래사회의 문학교육이 지향하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인공지능과 로봇의 등장으로 미래사회에서 인간은 여가를 창의적이고 즐겁게 보낼 방법을 찾고 있다. 그래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놀이의 위상이 재평가되고 있다. 놀이와 같은 속성으로 문학을 바라보며 놀이의 방법으로 미래사회를 맞이하는 문학교육의 방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쉴러가 말하는 인간이 추구하는 아름다움, 인간 존재의 불변적 본체와 가변적 상황의 결합,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의 상호보완적 작용인 유희충동이 문학교육의 방향 탐색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놀이를 통한 문학교육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스스로 문학의 세계에 자발적인 의지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놀이 참여자는 놀이 대상과 마주하고 일치하는 경험, 즉 학생이 놀이의 세계에서 절대적 시간과 공간, 분명한 규칙의 적용을 경험하며 자유 감각을 획득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이 문학교육을 통해 문학 체험의 기회를 확장하여 삶의 안정과 전진을 꾀하고 공동체의 결속력과 변화를 지향하는 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the meaning of play in the future society. With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humans are looking for creative and fun ways to spend leisure time in the future society. So, the status of play is reevaluat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literature with the same attributes as play,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to meet the future society through the method of play. According to Schiller, the beauty pursued by human beings, the combination of the immutable body of human existence and the variable situation, and the play drive, which is the complementary action of sense drive and form drive, can provide clues to the search for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play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must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world of literature on their own. Next, play participants must face and coincide with the play object, that is, students must experience absolute time and space, and the application of clear rules in the world of play, so that they acquire a sense of freedom. Lastly, literature education should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aesthetic experience so as to promote stability and progress in life, and to generate community solidarity and change-oriented power.

      • KCI등재

        ‘아기장수 이야기’의 현대적 수용과 의미 탐색

        김상한(Sangh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아기장수 이야기’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다양한 변용을 겪으며 살아남은 이야기이다. 본 연구는 ‘아기장수 이야기’의 현대적 수용 과정에서 변화하는 지점을 살피고 그 의미도 함께 짚어보고자 한다. 특히 아기장수가 겪는 비극성을 중심으로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기장수에 대한 이야기의 의미는 역사적인 맥락 안에 가두지 않고 인간 의식의 심층에 제기하는 문제들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아기장수 이야기’의 현대적 수용 지점을 찾기 위해 기존의 ‘아기장수 이야기’와 대학생들이 구성한 이야기를 비교하고자 한다. 학생들은 성공한 영웅으로 ‘아기장수 이야기’를 변용하기도 하고 부모의 선택을 강조하면서 경계를 넘나드는 트릭스터의 자유로움을 추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영웅으로 아기장수를 드러내기도 한다. 그렇지만 오히려 기존 질서에서 배척되고 부모로부터 거부를 당하는 아기장수의 모습을 통해 비극을 더욱 강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극화된 현대적 수용 태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아기장수 이야기’와 일맥상통하는 면이 존재한다. 그것은 사람들이 ‘아기장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기장수 이야기’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삶의 희망을 재생산하고 있다. ‘아기장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수용하는 학생들은 이야기를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힘을 얻을 것이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계속 반복되며 전해질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current acceptance and meaning of ‘AGIJANGSU’. This story deals with human fundamental problems. ‘AGIJANGSU’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ype 1 is the story of a baby with a wing and a dragon. Type 2 is the story of a baby who failed with mother s betrayal. The baby is a born person with outstanding ability. People acknowledge the baby s ability and are afraid. Life is determined by what man chooses. The story reflects human imperfection. And those who enjoy the story experience passage rites. <AGIJANGSU> makes hope repeated. So I look for directions to a new society. The story deals with the problem of human life both in past and present times. Students can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stories. And we can achieve our understanding and growth.

      • KCI등재

        <옹고집전>을 활용한 아동 성장의 교육 방법 모색

        김상한(Kim Sangha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7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Ongkojip-Jeon’ in Korean textbooks and to prepare a new education plan. Especially, I want to examine the meaning of growth in the life of the child from the old story education. First, I critically examined th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ngkojip-Jeon’ in the textbooks and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Most of the teachers who read the textbooks on ‘Ongkojip-Jeon’ tried to teach the subject of the story as ‘retributive justice’, ‘become a new man’,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However, the story is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in students’ live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al plans to help expand the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reading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Strength of Life. Second, in order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life in the old story, I tried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to find clues for growth when reading old stories. To this end, I tried to divide the story of the origin of ‘Ongkojip-Jeon’ into ‘The Rich Man’s Pond’ and ‘The story of a Rat’, and to find clues in reading ‘Ongkojip-Jeon’. Through the story of the origin and the story of the story, the clues of this story are in contact with the purpose of literary education. In other words, if education is the process of self–growth through the change of human behavior, it can be see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for self - realization. In order to read ‘The Rat Transformation’ different from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I searched for clues in ‘The Rat Transformation’ and designed education plans so that I could look back on my life through it. The old story has been portraying people’s mouths and mouths for a long time, and they are showing a simple and clear picture of human life.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old story as a standard and to prepare educational plans.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and an educational plan to read old stories variously, focusing on growth and relationship forma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ild’s life, using other old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