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김보일,조현양,김종애,Kim, Bo-Il,Cho, Hyun-Yang,Kim, Jong-A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4

        최근 도서관을 둘러싼 사회의 다변화는 도서관의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이용자에 대한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도 그 본질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하여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추구를 위한 핵심 키워드 "유니버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구, 공공도서관 서비스 인식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통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관련 정책 및 제도 전환의 4가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The recent diversification of society surrounding libraries is influencing the services of librarie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public library services from the aspect of the universa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systems and cases to provide all users with universal services in accord with the nature of public libraries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four directions: the "universal design" which is the keyword for pursuing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the pursuit of economic value of public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the universal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change in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public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 KCI우수등재

        광역도서관위원회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김보일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에서는 지역도서관 정책 추진에 따른 주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광역도서관위원회의 운영 개선을 위해 지역도서관 정책의 중심축에 따라 두 가지 개선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1안의 모델은 본청 내 도서관 정책부서 중심으로 광역도서관 정책 추진에 따른 광역도서관위원회 도서관 정책 심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으며, 제2안의 모델은 광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도서관 정책 추진에 따라 광역도서관위원회는 정책 거버넌스 역할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한 광역도서관위원회 운영 개선 방안의 실효성 있는 추진을 위해서는 제2안에 따라 「도서관법」에서의 광역도서관위원회 기능과 위원장 및 부위원장에 대한 격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광역지방자치단체별 광역도서관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 표준화된 자치법규로 규정될 수 있도록 표준 자치법규(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two improved models, depending on each central axis of local library policie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 which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pursing the policies. The model of draft 1 suggested that the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s’ library policy deliberative functions be reinforced for pursuing metropolitan library policies, around the department of library policy in each central office. The model of draft 2 suggested that the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s play a role in the policy governance, in pursuing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based local library policies. In order to efficiently pursue the proposed improvements of the management of the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s, the functions of the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s and each status of the chairmen and the vice chairmen, which are stipulated by 「Library Act」 need to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draft 2. Then a local laws and regulations (draft) was proposed to stipulate matter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s by metropolitan municipalities, based on the local laws and regulations.

      • KCI등재

        공공도서관 사서의 근골격계 부담 작업 관련 유해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서북권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김보일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surveyed 129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Seoul to identify harmful factor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work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m would burden their musculoskeletal system and influence their work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shoulder, one of the general item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women than in men. Secondly,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arms and elbows, one of the work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ere most frequently reported when they worked more than one year and less than three years.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waist were influenced by the operation method; the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entrusted to the Office of Education or a local government showed symptoms more frequently.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neck were affected by working hours; librarians working in the day shift showed neck symptoms more frequently than those working in the night shift. Thirdly,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environment were examined,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hands, wrists, and fingers were highly frequent under al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environment,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waist were highly frequent under al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environment except for work satisfaction, and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legs and feet were highly frequent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work intensity, and physical burden. Fourthly,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musculoskeletal symptoms according to the work satisfaction of individual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ccurrence frequency of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all body parts decreased as work satisfaction increase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main body of public library operation to improve the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 and enhance the work satisfaction of individuals by reducing the physical burden of the librarian of public libraries through adjusting the work intensity in order for the health of the librarian of public libraries.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업무 및 환경적 요인이 근골격계에 부담이 되며 직무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유해요인을 밝히고자 서울시 서북권역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129명으로부터 응답받았다. 조사결과 첫째, 일반사항의 특성에 따라서 보면 성별에 있어 어깨의 경우 근골격계 증상은 남자보다 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의 특성 가운데 팔과 팔꿈치는 근무 기간에 따라 1년~3년 미만의 경우 높은 증상을 보였다. 허리는 운영방식에 따라 교육청과 지자체 위탁의 경우 높은 증상을 보였으며, 목은 근무 시간에 따라 주간이 야간 보다 높은 증상을 보였다. 셋째, 업무환경의 특성에 따라서는 손과 손목 그리고 손가락은 모든 업무환경 특성, 허리는 업무만족을 제외한 업무환경 특성 그리고 다리와 발은 숙련도․업무강도․육체적 부담에 따라 높은 증상을 보였다. 넷째, 개인의 업무만족도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차이를 보면 모든 부위가 업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근골격계 증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의 건강을 위하여 업무강도의 조정을 통한 육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근무 및 업무환경을 개선하고 개인의 업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공공도서관 운영주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보일,조미아,변현주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4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the trend of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and suggest direction for promoting them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n small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was important to make efforts for improvement such as reflecting the trend of increasing number of small public libraries and apartment libraries of small private libraries, enhancing substantiality of small libraries, human resource allocation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running libraries, introducing activation measures that can consider the current operation situation of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establishing cooperative system between public and small libraries and enhancing accuracy of statistics data. As for the ways of promoting small libraries, change of direction toward qualitative operation support rather than quantitative increase, attempts to stabilizing oper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enhancement of specialty of private small libraries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strengthening of legal standard for small library and induction of corporate participation through campaig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흐름을 진단하고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립작은도서관과 사립작은도서관 중 아파트 도서관 증가 추세 반영, 작은도서관의 내실화 방안, 도서관 운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 배치, 공․사립도서관의 운영현황 차이를 고려한 활성화 대책,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협력체계 구축, 통계데이터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양적인 조성보다는 질적인 운영지원으로 방향의 전환, 공립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안정화 노력, 사립작은도서관 전문성 향상 및 협력체계 구축, 작은도서관 법적기준의 강화, 작은도서관 캠페인을 통한 기업 참여유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 개선방안 연구

        김보일,김홍렬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4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in the evaluation systems and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small libraries, domestic and foreign ones and domestic other institutions, and gathering opinions from managers of them and experts belonging to related groups, in order to enhance the management quality of small libraries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m, based on the evaluation on the activation and substantiality of them. The evaluation systems proposed b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rack 1 evaluating small libraries and Track 2 evaluating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wa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indicators found from the statistics of Track 1 (small libraries). Track 1 consists of three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management of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infrastructures and services, 8 evaluation items, 10 evaluation indicators, quantitative (a total of 100 points) and qualitative (a total of 120 points) evaluation. Track 2 consists of 2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small library policies and the support for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and infrastructures, 4 evaluation items, 5 evaluation indicator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 total of 100 points). 이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 및 내실화 측면에서의 평가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행 작은도서관 평가지표 분석, 국내외 작은도서관 관련 평가지표 분석, 국내 타 관종 평가지표 분석,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련 단체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를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작은도서관의 평가체계는 단위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트랙 1과 기초지방자치단체 평가하는 트랙 2로 구분된다. 작은도서관의 평가지표는 트랙 1 작은도서관에 대하여 통계를 통해 확인되는 지표는 생략하고 단순화하였으며, 작은도서관 운영에 따른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 도서관 서비스의 3개 평가영역, 8개 평가항목, 10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20점 총 120점으로 된 정성평가로 구성하였다. 트랙 2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평가지표는 정성평가 없이 작은도서관 정책 수립 및 시행과 작은도서관 지원 등에 관하여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의 2개 평가영역, 4개 평가항목, 5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김보일,Kim, Bo-I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3

        도서관은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에게 그 어떠한 장애 요소나 차별 없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여 모든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편적 편의성: 모두가 이용 가능한 도서관, 서비스 안전성: 도서관 이용의 안전성, 이용자 주체성: 이용자 주체적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 요구성: 이용자 요구 반영한 도서관 서비스, 서비스 경제성: 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성'의 다섯 가지 도서관 서비스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구성요소는 도서관이 모든 이용자를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Libraries should offer their services to all users including those who find difficult to access knowledge information without any obstacles or discrimin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ing at providing library services to all user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to libraries, extracted and presented five components in library services: universal convenience, which allows all users to use libraries; safety of services, which offers safety in library use; user-orientedness, which offers user-oriented library services; user request, which allows library services reflecting the needs of user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ervices, which provide efficient and economic library services. The proposed five components will play the foundational role in implementing universal design on libraries so that all users can use library services.

      • KCI등재

        従属節の外形的な要素における「という」の使用可否

        金普仁(김보인) 동아시아일본학회 2013 일본문화연구 Vol.46 No.-

        본고는 연체절에서 나타나는 「という」와 「다는」이 종속절의 외형적인 요소에 있어서 사용여부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테라무라(1992)는 「という」구문의 진술도 레벨을 5단계로 나누고, 종속절의 진술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という」는 사용되며(레벨1), 진술도가 낮을수록(레벨5) 사용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예의분석 결과, 추량을 나타내는 모달리티 형식에서는 주절의 주체에게 있어서 종속절의 사태가 확언할 수 없는 경우, 「という」의 「사용」이 보였으며, 추량가능한 정보이면 「という」가 아닌 다른 형태(연체절을 취하지 않는)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어떤 사태에 대해 확언할 수 있는 단정표현의 「ダ」가 종속절의 술부에 위치할 경우, 종속절의 형태를 보면 명사와 형용동사라는 두 가지 형태가 전접(前接)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명사가 전접할 때는 외형적인 성질에 따라서 진술도가 높아지며, 「という」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진술도와 종속절의 외형적 요소에 대한 분석을 「다는」에 적용시켜 보면, 종속절의 진술도의 정도에 따라서, 진술도 레벨의 고저에 관계없이, 「다는」은 사용 빈도가 높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하지만, 일본어에서는 모달리티 형식이 종속절에 나타나면 「という」가 「사용」되는 것에 반하여, 「다는」은 모달리티 형식에서도 「불사용」되거나, 「ダ」에 대응하는 「이다」와 「하다」가 「인」, 「한」과 같이 활용되기 때문에 「다는」은 불사용 되고 있다는 점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