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 활동 디자이너의 지원 정책 현황 연구

        김보섭 ( Bo Sub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창의적이고 유연한 디자인 활동 구조를 가진 1인 활동 디자이너와 관련된 정책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1인 활동 디자이너란 ‘주도적인 핵심 역량을 1인이 보유하면서 지속적인 이윤 활동을 하는 디자이너 1인 및 그룹’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정의를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2년도 1인 활동 디자이너 관련 지원 정책을 집계했고,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해석했다. 2012년 1인 활동 디자이너를 지원하는 부처는 6개 기관 45개 사업이 있었으며 이 사업에 등록된 디자이너는 831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1인 활동 디자이너를 지원하는 정책의 특징은 ① 디자인을 사업화의 아이디어 산출의 핵심으로 본 점, ② 디자인 예비 창업자를 육성하여 취업률 상승을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활용된다는 점 ③ 디자이너 지원은 공간/자금 지원, 전시, 마케팅, 비즈니스 상담 등이 핵심을 이룬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지원 방법은 자금 직/간접 지원형, 공간(사무, 작업, 전시) 지원형, 교육 지원형, 온/오프라인 연계형, 기타 유형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될 수 있었다. 1인 활동 디자이너에 대한 인터뷰의 결과와 해석으로서 지금까지 1인 활동 디자이너에 대한 정책은 그 다양성이 부족하고 각 성장 단계 별로 세부적인 정책이 부족하여 1인 활동 디자이너의 성장과 영속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인 활동 디자이너를 창의성의 독립적인 주체로 보는 관점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이에 따른 정책적 입안이 절실하다고 본다. This study`s goal is on the evaluation and direction for the policy of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in Korea who do design with a creative and flexible structure.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on this study is defined as designer a person or a group which possesses leading core comperencies and is retaining continuous profit activities`. Depending on the definition,this researcher aggregates related support policies to encourage in 2012,calculates samples of the designers participating in the policies. Govemment departments suppoting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were 45 govemment lead projects, the designer on these projects count 831 persons. Features of the policies to support are ① design is key point as core idea for commercialization output ② design is utilized for the purpose to promote the employment rate rising by fostering design preliminary founder ③ the methods of designer supporting are the space / direct funding / indirect support type, and support the exhibition, marketing, business counseling. The 5 types for support are classified direct/indirect funding, space rent (office, work, exhibition), educational support, on/offline connection, employment linkage. As a result through this analysis,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has generally recognized `auteurism` until now. However that point of view is not to recognize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as a substantial economic, difficult to assess the status of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 currently being extended. Therefore, this research insists the need to support one person enterprise designers by policy-making ? based on the viewpoint of leading creativity as independent main agent.

      • KCI등재

        심상적 사고의 통합 과정에 관한 연구 -산업 디자이너 3인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보섭 ( Kim Bo Sub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심상 이론을 기반으로 산업 디자이너의 통합적 사고 과정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심상(Mental Imagery)은 마음 속에 떠오르는 장면으로 물체와 사건의 이미지(image)를 의미하며 사고 과정을 구성한다. 이 연구는 심상을 사고 과정의 근본적 원리로 상정하고 심상이 산업 디자이너의 창의적 사고 과정에 어떻게 개입하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외부 지각과 내적 개념의 측면에서 심상 현상을 분류하고 심상을 감각, 운동, 기억, 연상, 직관, 사고, 상상 심상의 7가지로 체계화하여 이를 지침으로 현업 산업 디자이너 3인(박승민, 성정기, 이석우)을 인터뷰(심층 면담)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과 현장을 연결하는 연구 방법으로서 질적 연구방법론의 관점을 기반으로 인터뷰 자료를 이론으로부터 구체화하는 에틱(etic) 코딩 방법과 실제 현장으로부터 이론화하는 에믹(emic) 코딩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산업 디자이너의 사고 과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해석하고자 하였다. 코딩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가능한 한 보완하고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보조하는 엔비보(Nviv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1~3차에 걸쳐에틱-에믹 코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3명의 산업 디자이너 인터뷰에서 ‘초기 고착된 이미지의 극복’, ‘문제에 대한 관찰 이미지’, ‘이미지의 연상적 역할’, ‘문제 해결 순간의 통찰의 이미지’, ‘최종적인 원형 이미지의 검토’의 5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업 디자이너들의 사고 과정에서 심상은 여러 지식, 정보를 ‘하나의 장면’으로 생성하여 통합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으로 문제를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사고 과정에서 ‘이미지’의 종합하는 능력을 기반으로 심상이 산업 디자이너의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어떻게 실제적으로 작용하고 기여하는 지 밝히고자 하였다. The research is aimed at observing and interpreting the integral thinking process of industrial designers based on mental imagery theory. Mental Imagery is a scene that comes to mind, which means the image of an object and an event that constitutes our thinking process fundamentally. The study considers the key to the thinking process as mental imagery and trie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how imagery intervenes and plays a role in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of industrial designer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mental imagery, the study classified mental operation in terms of external perception and internal concepts and organized into seven categories: sensory, motor, memory, association, intuition, thinking, and imagination,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n current industrial designers (Seung-min Park, Jung-ki Sung, and Suk-woo Le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carried out the theory and the practical interactive analysis of the etic-emic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a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process, Nvivo software was used as a tool to help with the analysis to make sure the objectivity of the analysis. The final interpretation of the designers’ interviews drew the conclusions of ‘overcoming the image of initially fixation’, ‘observation and awareness of the problem’, ‘moment of connection’, ‘image of observation’, and ‘review of archetypal imagery’. To sum up, the role of imagery serves to integrate and refine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different attributes that have accept in the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ability of the 'image' to aggregate in the course of thinking, the study revealed how imagery practically contributes to the creative competency of industrial designers.

      • 소규모 디자인 스튜디오의 사례 연구 : 창의성, 독립성, 협업에 대한 주제 해석을 중심으로

        김보섭(Bo-sub Kim),강희정(Hee-jung Kang)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circumstanc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design studios and finding the directivity of the design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small design studios. The small design studios have been active in earnest in Korea since the mid 2000s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sign studios' activities all over the world. But in domestic design circumstance, the cultural climate of the creative activities is vulnerable, the design business is already saturated and it doesn't have enough academic studies on the design studio. In that sense, this study explores the small design studios in-depth through an empirical case study. We try to classify the activities of the design studio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es and make the survey. And then we carry out the case study through the interviews, observations and so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design studios based on this case study are creative, independent, co-work.

      • KCI등재

        식용 식물(녹차잎, 연잎, 솔잎) 추출물에 침지한 건조 고등어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김보섭(Bo-Sub Kim),오병준(Boung-Jun Oh),이해인(Hae-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식용 식물(녹차잎, 연잎, 솔잎) 추출물에 침지하여 저온진공 건조한 고등어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자 색도, 염도, 핵산 함량, 신선도 및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식용 식물 추출물에 침지한 고등어의 색도의 명도(brightness) 순서는 연잎> 녹차잎> 솔잎순이었으며, 더불어 어류의 주요 정미성분인 IMP 함량도 연잎 추출물에 침지한 고등어에서 가장 높았다. 신선도 지표인 VBN은 12주간 냉장보관하며 확인한 결과 연잎 추출물에 침지한 고등어에서 VBN 증가량이 가장 적었으며,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연잎과 녹차잎 추출물 침지 고등어에서 높았다. 특히 연잎 추출물 침지 고등어는 DPPH 소거능과 ABTS 소거능 측정 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같은 수준의 항산화력을 보였다. 이는 연잎 추출물이 매우 효과적인 항산화 기능성을 가지며, 연잎이 천연 산화보존료로서 활용되어 고등어의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ed mackerel treated with plant (green tea, lotus leaf, and pine needle) extracts were studied to develop a preparation method for high quality mackerel. The dried mackerel treated with lotus leaf extracts (LL) compared to green tea extracts (GT) and pine needle extracts (PN) had the highest inosine monophosphate value. In addition, the dried mackerel with LL compared to GT and PN showed the minimization of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 and browning. The mackerel with GT and LL compared to PN show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higher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control.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LL rather than GT and PN provide good quality dried mackerel in term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통찰 문제의 검토를 통한 심상적 사고 고찰

        김보섭 ( Kim Bo Sub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이미지가 개입하는 사고 과정으로서 심상적 사고를 제안하고 이를 통찰 문제에 대입하여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의 심상적 사고 과정의 특징과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심상적 사고는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논리적, 언어적 사고와 대비하여 도약적, 통합적 사고의 특징을 가지며 창의적 결과물은 이러한 사고 과정의 순환을 통해 생성된다. 본 논의는 창의성을 바라보는 여러 논쟁적 입장을 분석하고 심상적 사고를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논리와 비논리적 사고의 대립을 매개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와 심상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뇌과학의 연구 맥락의 검토를 통해 심상적 사고의 근본적 특성을 감각-운동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심상적 사고의 특징과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심상의 총칭적 성격에 대해 논의한다. 심상적 사고는 인간 신체의 근본적 운동 성격에 따라 전체적, 동적, 유추적 성격, 그리고 총체적 성격을 가지며 이러한 심상의 근본적 성격으로 인해 이질적인 것을 연결하는 비약적 연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심상적 사고가 발현되는 통합적인 능력으로서 통찰의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논의한다. 통찰은 창의적 연합이 일어나는 순간으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창의 과정에서 핵심적 활동으로 이해되어 왔다. 대표적인 통찰의 연구 주제인 쾰러의 침팬지 문제와 던커의 촛불 문제를 분석하여 심상적 사고가 통찰 문제와 창의적 문제 해결에 어떻게 개입하고 작용하는지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통찰이 심상의 전체적 사고 특성으로 자유롭고 비약을 일으키며 이질적인 것들을 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며, 결론적으로 심상적 사고가 분석적 사고와 통찰적 사고의 이분법을 매개하는 창의적 사고 과정의 핵심 개념임을 주장한다. Imagery thinking is defined as the thinking process that image intervened, which is essential to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s integrative and leaping thinking over compared to logical and linguistic thinking.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integrated creativity as imagery thinking which intermediated the conflict beyond a logic and illogic dichotomous view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defines that the nature of imagery thinking is sensory motor nature based on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studies, and tries to characterize and classify imagery thinking. Imagery thinking is characterized as holistic, dynamic, analogical nature on sensory motor schema. Therefore human being’s the creativity of imagery thinking has fundamental characters can make a free leap and join up with disparate things. Through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focuses insight problem which representative capacity imagery thinking comes out through reviewing of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This study analyzed how imagery thinking works in insight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analyzing Kohler’s and Dunker’s on representative insight problem. The insight has been studied as a creative moment occurring these associations, which is based on imagery’s ability freely linked with different things. Conclusively, those findings will serve integrated comprehension by the medium of sensory motor imagery thinking which escapes from dichotomous of analysis and insight in the creative queries.

      • KCI등재

        인체공학적 접근을 적용한 플라스틱 버 제거 도구 개발

        김보섭 ( Bo Sub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플라스틱 ‘버’ 제거 도구(deburring tool) 디자인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 연구이다. 플라스틱 버 제거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이뤄지는 작업으로 사용자의 안전과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용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버 제거 도구 개발을 위해 사용자 관찰을 통한 사용자 행동의 인체공학적 분석과 비디오 관찰과 인터뷰, 에스노그라피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디자인 과정으로는 손잡이 디자인에 대한 벤치마킹, 스케치 방법을 통한 디자인 원형 정의, 가상 컴퓨터 모델링을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검증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주안점은 실제사용 상황의 형태-동작 분석을 기초로 기존 인체공학적 치수 정보를 적절히 대입하고 외형을 정의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사용자 행동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객관적으로 제공된 선행 정보를 기반으로 본 프로젝트의 목표에 적합한수치와 형태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버 제거용 도구는 인체공학적 손잡이를 고려한 도구 디자인안 원형 6 종과 RP 프로토타입 5 종, 최종 시제품 1 종이 제안되었다. 최종적으로 디자인 개발안에 사용자 평가를 통해 디자인 안에 대한 검증이 이뤄졌다. 플라스틱 버 제거 도구는 전용 용도의 도구로서 인체공학적 관점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생산 공정에서 손잡이 디자인 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플라스틱 버 제거 도구의 개발에 그치는 것이 아닌 향후 손 치수를 적용하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와 유사한 전문 제품군의 개발하는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project research on design development of plastic deburring tool. Plastic deburring is an essential task in plastic injection process, therefore dedicated tool development is being demanded to obtain user safety and usability. This study took place ergonomic analysis of user behavior through user observation. And methods of video observation, interviews and ethnographic researches were done for that. Design development was carried out in benchmarking of handle design, definition of design archetype by sketch, prototyping of 3d computer modeling and user validation and evaluation. The point of this project is to apply an existing ergonomic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o define the appearance of this tool based on the analysis of form-movement of hand in actual work conditions. I tried to carry out the structural analysis of user behavior, and I defined the appropriate figures and the form of handle for this project based on the provided prior information. I proposed 6 design archetypes, 5 rapid prototypes and 1 final prototype based on ergonomic handle for a plastic deburring tool in this study. Finally, the validation of the design development results was achieved by user evaluation. The plastic deburring too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an ergonomic point of view as a special-purpose tool. Accordingly, I expect the tool could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workers by being utilized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Also, the process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and apply to develop a similar product lineup for professional handle after this rather than stopp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eburring tool.

      • KCI등재

        D 아파트 브랜드 경험을 기반한 제품 디자인 개발 과정 연구

        이석우 ( Suk Woo Lee ),김보섭 ( Bo Sub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2000년 이후 들어서면서 한국의 아파트 개념은 마케팅의 일부로서의 브랜드가 아닌 실질적인 거주의 경험을 중시하는 가치로 그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아파트 건설사들은 더 적극적인 의미로써의 브랜드 전략인 소비자의 경험 속에서 브랜드를 정의하기 위해 실주거공간에서 기업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 제품, 서비스를 담아내기 시작했다. 본 연구자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한 D사의 브랜드를 위한 디자인 전략 및 제품 디자인 프로젝트는 이러한 아파트 디자인 흐름에 있어 보다 본질적인 브랜드 가치, 즉 사용자의 연속적 경험을 통한 브랜드 디자인과 이를 제품 및 서비스로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였다. 이를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은 브랜드 경험을 연속적으로 이해하고 아파트 인테리어 제품의 형태와 컬러, 재질과 같은 외형적 통합뿐만 아니라 통합된 사용자 상호 작용 및 사용성, 그리고 합리적인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사용자가 D아파트만의 브랜드 경험과 가치를 느끼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D사의 가치는 ‘진심’이라는 표어에 함축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진정성을 담기 위해 공간적 맥락의 프로세스에서 개별적 요소들이 가치를 녹일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했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서는 아파트 내부의 전기 스위치, 콘센트, 월패드, 전등 리모컨의 인테리어 제품둔에서부터 주차 차단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제품군의 사용자 경험적인 측면에서 12개의 제품군을 개발했다. 이제는 진정성을 토대로 기업의 철학과 비전이 투사된 기업 활동이 사용자 경험과 상호 작용을 하여 형성된 디자인 프로세스의 관점이 필요하다. Entering 2000s, the awareness of apartment in Korea have changed as brand from increasing property to valuable life concerning resident’s experience. Apartment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define own brand value in experience of users. The companies design visual elements, products and service which users can experience in real life space. This design strategy and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ject from 2009 to 2012 is the study on design for actualizing to products and services for providing the essential brand value of corporation through continuing experience to users(residents). In this point of view, the role of designer of this project is focused not only on the understanding of continuing brand narratives and on the integration of exterior such as color, form or texture, but also on leading the strategy into more rational system. Then the uses could recognize the company’s own brand experience and circumvent value. The brand value of ‘D Apartment’ was implied a slogan ‘true mind’, we should design a number of elements to reflect the corporate value in contextual spatial process for providing the authenticity of corporation from now on. Therefore, our team developments 12 products groups from interior product group power switch, outlet, wallpad, remote controller to system product group such as parking blocking system. Now, it is needed a perspective that design process formed the interaction between user experience and the activities of corporate philosophy and vision on user’s life in apartment environment based on corporate authenticity.

      • KCI등재

        한국에서 생산되는 전복의영양성분 비교 분석

        이정뢰 ( Jing Lei Li ),김보섭 ( Bo Sub Kim ),강성국 ( Seong Gook Ka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4

        전복의 기능성과 성분에 대한 연구와 한국 전복의 지역별 성분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전복 생산지인 완도를 중심으로 남족인 제주도와 북쪽인 흑산도 전복의 육과 내장에 대하여 일반성분, 미네랄, 아미노산, 지상산 및 콜라겐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복내장 중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전복육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지방과 탄수화물 함량은 더 높았다. 지역간 전복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온이 낮은 지역일수록 지방함량이 약간 높았다. 전복내장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으 93.6~127.02 mg/g이었으며 이는 전복육의 평균 145 mg/g에 배해 낮은 편이었다. 반면에 전복내장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6.81~20.10 mg/g으로 전복육의 7.90~10.59 mg/g에 비하여 2배 높은 값을 보였다. 전복육의 총 구성아미노산 지역별 차이는 없으며 전복내장의 결가를 살펴볼 때 완도와 흑산도 높고 제주도 낮은 것을 나타났다. 전복육 총 유리아미노산은 완도 전복은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흑산도와 제주도순이었고 내장의 경우는 완도, 제주도와 흑산도 순으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낮아졌다. 전복육의 지방산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약 41%로 포화지방산 약 31%에 비하여 높았으며, 전복육보다 전복내장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콜라겐 함량은 완도 전복육에서 2.26±0.4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잉서 제주도와 흑산도 순이었다. 전복내장에서는 0.20±0.03~0.37±0.15 mg/g으로 전복육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전복에 관한 연구에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general composition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collagen content of three abalones, which were harvested in Wando, Heuksando and Jcju Island ill Kor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abalone body and viscera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viscera were lower than that of the body; while the lipid, carbohydrate, and mineral contents WCIt~ higher. TIle geneml compositions and mineral contents also presented Ilucnmnon among the three abalone groups. The amino acid content via hydrolysis in the abalone viscera ranged fmm 93.16 to 127.02 mglg. which was lower than the amino acid content of the abalone body of approximately 145 mglg. However, the free amino acids level in the abalone viscera mnged from 16.81 to 20.10 mg!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balone body level of approximately 7.90 to 10.59 mglg. TIle fatty acid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ile 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ll the abalone body were higher tlUU1 in the abelore viscera, the percentages of thc moroenoic and potyenolc fatty acids of the body were significantly lower. The body of the ebalore harvested in Wando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collagen (2.26±0.46 mglg), followed by the abalone harvested-in Jeju Island and Heuksaudo. The abalone viscera contained milch tower collagen, which ranged from O.37±O.15 mglg to O.20±O.03 mg/g. TIle results of this sn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1`01" the future research of abalone. In this study, the general composition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collagen content of three abalones, which were harvested in Wando, Heuksando and Jcju Island ill Kor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abalone body and viscera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viscera were lower than that of the body; while the lipid, carbohydrate, and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The general compositions and mineral contents also presented fluctuation among the three abalone groups. The amino acid content via hydrolysis in the abalone viscera ranged from 93.16 to 127.02 mg/g. which was lower than the amino acid content of the abalone body of approximately 145 mg/g. However, the free amino acids level in the abalone viscera ranged from 16.81 to 20.10 mg/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balone body level of approximately 7.90 to 10.59 mg/g. The fatty acid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ile 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ll the abalone body were higher tlUU1 in the abelore viscera, the percentages of the monoenoic and polyenoic fatty acids of the body were significantly lower. The body of the abalone harvested in Wando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collagen (2.26±0.46 mg/g), followed by the abalone harvested-in jeju Island and Heuksando. The abalone viscera contained much Iower collagen, which ranged from O.37±O.15 mg/g to O.20±O.03 mg/g. The results of this sn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1`01" the future research of abalone. In this study, the general composition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collagen content of three abalones, which were harvested in Wando, Heuksando and Jcju Island ill Kor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abalone body and viscera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viscera were lower than that of the body; while the lipid, carbohydrate, and mineral contents WCIt~ higher. TIle geneml compositions and mineral contents also presented Ilucnmnon among the three abalone groups. The amino acid content via hydrolysis in the abalone viscera ranged from 93.16 to 127.02 mglg. which was lower than the amino acid content of the abalone body of approximately 145 mg/g. However, the free amino acids level in the abalone viscera ranged from 16.81 to 20.10 mg/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balone body level of approximately 7.90 to 10.59 mg/g. The fatty acid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ile 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ll the abalone body were higher tlUU1 in the abalone viscera, the percentages of the monoenoic and polyenoic fatty acids of the body were significantly lower. The body of the abalone harvested in Wando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collagen (2.26±0.46 mg/g), followed by the abalone harvested-in Jeju Island and Heuksando. The abalone viscera contained milch tower collagen, which ranged from O.37±O.15 mg/g to O.20±O.03 mg/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1`01" the future research of abalone.

      • KCI등재

        창의성 도형 검사를 기반으로 한 워밍업 드로잉의 제안과 효과: 미술 수업 현장에의 적용

        정해나(Jung, Hae Na),조슬기(Cho, Seul Gi),김보섭(Kim, Bo Sub)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1

        이 연구는 토랜스의 창의성 도형 검사를 응용한 워밍업 드로잉을 제안하고 그에 대한 미술 수업 내 효과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토랜스의 창의성 도형 검사의 도형 완성 문제를 변용하고 토랜스의 평정 기준으로서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융통성을 워밍업 드로잉의 결과를 해석하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4~6학년 전체 49명의 초등학생이 참여하여 전체 683개의 워밍업 드로잉을 산출하였다. 연구자들은 드로잉의 결과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해 미술 수업에서 워밍업 드로잉의 효과를 밝혔다. 미술 수업의 예비 과정으로서 워밍업 드로잉은 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교사에게는 전체 수업의 운영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며 개별 학생에 대한 발전 과정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보완적 상호소통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n-class effects of warm-up drawing, which transforms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Torrance s figural test consists of associative thinking to complete the rest of the figures. And as its evaluation criteria, originality, fluency, elaboration, and flexibility have been used as tools to observe various creative aspects of students. A total of 49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rades 4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deriving in a total of 683 warm-up drawings. The researcher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drawing and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warm-up drawing in the field of art classes. In conclusion, warm-up drawing is a preliminary course of art education, which creates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 and increases the understanding of the whole class. And warm-up drawing allows teachers to plan for class operations and to carefully observe the process of development for individual students, and complementary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about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 KCI등재

        고추장굴비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초고압처리와 감마선 조사 효과

        강성국 ( Seong Gook Kang ),박난희 ( Nan Hee Park ),고두옥 ( Do Ock Ko ),이정뢰 ( Jing Lei Li ),김보섭 ( Bo Sub Kim ),박양균 ( Yang Kyun Par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1

        Kochujang-gulbi, a Korean traditional food, was prepared with kochujang and freeze-dried gulbi slices. Kochujang-gulbi was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200, 400 and 600 MPa) and gamma-irradiation (7, 10, 20 and 30 KGy) to improve its quality and shelf-life. The pH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gamma-irradiation treated kochujang-gulbi samp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However, Hunter L value slightly increased, and Hunter a and b values decreas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gamma-irradiation treatment. During storage, the pH and color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gamma-irradiation treated kochujang-gulbi sample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VBN and TBA level decreased by the increase treatmen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then slowely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VBN and TBA level of kochujang-gulbi samples treated by the strong gamma ray emmission slowely increased during storage. In particular, gamma-irradiation treatment was very effective to sterilize microorganisms when compared to tha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in kochujang-gulbi products. In addition, the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gamma-irradiation treated kochujang-gulbi samples shown significantly lower total viable cell number than control for the 20 day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ith retort pouch pack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