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초등학생 아동의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 ( Kim Myoungsoon ),신혜영 ( Shin Hyeyoung ),신보원 ( Shin Bow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McFarland 외(2011)가 개발한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의 요인 구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고,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광주, 전주, 부산 지역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1~3 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 76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PACOR 척도에 대해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6.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는 4요인 20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아동들의 주중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질적으로 우수한 놀이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실외놀이 태도도 함께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developed by McFarland et al(2011)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outdoor pla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66 mothers with children aged 6~8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Gwangju, Jeonju, and Busa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program and AMOS 26.0. The normality of the data was review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Attitude towards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4 factors,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Second, mother's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weekday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and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ekend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outdoor play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high quality play environment in local community and strengthen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 KCI등재

        국어과 교육 내용 범주 구분 양상과 개선의 시사점

        김명순(Kim, Myou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고에서는 그간에 국어과 교육에서 내용 범주가 설정되어 온 양상을 살펴보고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점을 알아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외국의 주요 자국어 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국어과에서 내용 범주로 고려된 것은 지식, 기능, 태도, 실제, 맥락이었으며 대체로 지식, 기능, 태도 범주가 실제 범주와 대응되는 구도를 이루어 왔다. 세부적으로, 국어과의 내용 범주 구분에 인간 능력에 대한 일반 논리가 근간으로 작용해 있으며, 성격이 다른 실제라는 범주가 별도로 설정되어 왔고, 태도 범주는 독립된 범주로서 안정성이 약한 경향이 있었고, 기본적으로 영역 간 내용 범주가 동일한 특징이 있었다. 외국의 주요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가장 현저한 특징은 영역마다 내용 범주를 다르게 설정하고 있었다는 점이며, 범주의 수도 영역마다 다르게 설정된다는 점이었다. 이를 통해 내용 구분의 논거를 인간 능력 구성의 일반 논리에 기대는 외에 영역의 특수성에 기반할 수 있다는 점, 실제 범주의 실효성을 고려할 때 대안이 요구된다는 점, 정의적 내용의 범주에 대한 다른 접근이 유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changed on the content category from the 7th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in categorizing education content. First, the content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has been categorized into ‘knowledge’, ‘skill’, ‘attitude’, ‘practice’, ‘context’. Second, these categorization is based on the general hypothesis that human ability is composed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ird, specially, the ‘practice’ category is set to apply and exercise skill. Forth, the ‘attitude’ category has weak independence. Lastly, it has been samely categorized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Regarding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성공적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사례 연구

        이정화(Lee Junghwa),김명순(Kim Myoungs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다른 배경을 가진 두 명의 외국인이 어떤 학습 과정을 통해 한국어 숙달자가 될 수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심층 인터뷰와 검사지 등을 이용하여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연구 참여자의 성격, 동기, 학습양식 선호도, 학습 태도, 학습 전략, 적성, 학습 환경 등을 살펴 성공적인 한국어 학습자의 성공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의 성공 요인은 달랐지만 한국어는 관심을 지속시키는 외국어였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을 성공적인 학습자로 이끌 수 있었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보인다. 본 연구는 개별 사례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설문 조사 이면에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 학습자의 성공적인 한국어 학습 경험에 대한 고찰로부터 한국어를 잘 구사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는 학습자들에게 누구든지 성공적인 한국어 구사자가 될 수 있다는 암시를 주고 학습의 성공 가능성을 열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earners of Korean have mastered the language-to find out how two learne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successfully learned the language, this study employed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In terms of personality, having interpersonal skills that allow an individual to harmonize well with those around him/her was observed to be helpful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two learners had strong motivations for learning, especially integrated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a keen interest in and being attentive toward the Korean language seemed to be the main factors in acquiring proficiency. The two learners also actively employed most of the learning strategies. It is hoped that for learners determined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conveys the message that anyone can master the language,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lear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