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일 인쇄술과 민중본

        김면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59

        Gutenberg's printing technology spread rapidly throughout Europe and later the world. This paper is to look into mutual relation between the printing technology and the european society. As the printing formed a genre ‘Volksbuch', the research put the birth of the Volksbuch and its development in the center of study. Particularly the Volksbuch gains an important situation at the history of German book market, because the class of readers and the Volksbuch bear close relations. The research classified greatly to the Middle Ages and the modern society in the process. And I would review roughly a development aspect of the book market at the 15th century. Above all this study focused on a change of class of readers in the Middle Ages and investigated the social setting which the book printing was appeared in. Specially I examined an early figure of Volksbuch, because the demand of the rich people regarding these books results in a invention of the printing in the mid-15th century. In the following chapter I studied Gutenberg's purpose and analyzed the invention of his printing press. The research investigated what an el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was. I observed the process of cultural diffus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Absinken” that the printing technology brought in, because the printing press was an important step towards the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Besonders the research inspected a new commercial distribution method of books that appears in the period of ‘inculabula', as the Volksbuch developed gradually a figure as media of citizens with bases to technology of printing. I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book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re. 본 연구는 인쇄술의 발달과 유럽사회의 변화 사이에 어떠한 상호관계가 있었는지 민중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쇄매체가 어떻게 태동되고 전개되었는가를 논의의 중점에 놓고자 할 때, 독일서적시장의 발전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보이는 민중본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필자는 크게 중세말과 근대사회로 구분하여 서적시장과 민중본의 전개양상을 개략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우선 중세말 서적과 독자층의 변천을 살피면서 인쇄술이 등장하게 되는 사회적 배경과 서책시장의 역할을 탐구하였다. 특히 민중본의 초기 모습을 살피면서 중세유럽 내 어떠한 문화향유층의 수요와 필요가 인쇄술을 출현시키는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다음 장에서 구텐베르크의 발명과정과 르네상스기 시장환경을 연구해보면서 그가 인쇄술을 발명하게 된 동인을 분석하고 기술혁신의 요소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이후 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인쇄술이 가져온 사회적 변화 그리고 상층문화의 하향화과정과 그 특성을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인쿠나블라’라는 과도기적 환경 속에서 나타난 새로운 유통방식과 상업적 출판 및 서적상품의 거래양상을 살펴보았다. 16세기 초 인쇄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민중본이 점차 시민층의 매체로서 진전된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어떻게 민중본이 독서욕구를 지닌 일반서민까지도 독자층으로서 포괄하고 그 기틀을 놓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민중본의 대표적인 출간도서를 선택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필자는 민중본과 서적시장의 전개흐름에 대해 사회환경과의 균형적인 개괄을 시도함으로써 인쇄술과 사회변동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일 산문소설의 형성과 전개양상 연구 : 중세민중본에서 짐플리치시무스까지

        김면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0 No.-

        Diese Arbeit untersucht den Prosaroman und diskutiert, wie eer aus der mittelalterlichen Literatur gebildet wurde und welche Entwicklung der Stil und die Form dieser Gattung nahmen. Vor dem sozialen Hintergrund des allma¨hlichen Zusammenbruchs der feudalen Grundlage der mittelalterlichen Gesellschaft und angeblich des Prozesses der qualitativen Vera¨nderungen im kulturellen Bereich steht die Tendenz der Prosa im Roman im Mittelpunkt der Forschung und wird unter mehreren Aspekten untersucht. Dadurch versuche ich zu belegen, dass dieses Pha¨nomen ein qualitativ fortschreitender Prozess von der adeligen zur volkstu¨mlichen Literatur ist. Einige Volkasbu¨cher wie Dil Ulenspiegel(1515), Fortunatus(1509), Historia von D.Johann Fausten(1587) und Grimmelshausens Der Abenteuerliche Simplicissimus Teutsch(1668) werden detailliert interpretiert. Diese Werke spiegeln die Entstehung einer neuen bu¨rgerlichen Gesellschaftsklasse wider und zeigen die Entwicklung ihrer Gedanken und a¨sthetischen Ideologie. In den vielfa¨ltigen Entwicklungen der volkstu¨mliche Literatur ko¨nne erste Anzeichen des Realismus festgestellt werden, da die mittelalterlich Grenze des Literaturschaffens u¨berwunden und das Alltagsleben erfahrungsnah dargestellt wurde. Obwohl diese Studien u¨ber die fru¨be Entfaltung des bu¨rgerlichen Genres einen Versuch darstellen, ko¨nnen sie doch einen bedeutenden Zusammenhang des anfa¨nglichen Prosaromans zur neueren Literatur zeigen und so in der Literaturgeschichte die ganze Breite und den vollen Entwicklungsprozeβ des Romans erfassen helfen. Auch kann die bisherige Fixierung des Begriffs der Modernita¨t erweitert werden. Die Abhandlung hat daru¨berhinaus auch den Sinn, die interessanten Gebiete Voksbu¨cher und barocker Schelmenroman dem vorherrschenden Interesse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an neueren Literatur nahezubringen und ihre Wahrnehmung zu vera¨ndern.

      • KCI등재

        독일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자료를 통해서 본 북한과 구동독간의 경제협력 : 구동독의 함흥시 경제지원을 중심으로

        김면 북한연구학회 2003 北韓硏究學會報 Vol.7 No.1

        북한연구에 있어 공통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큰 어려움은 북한체제의 폐쇄적인 특성에 기인하여 생긴 객관적인 자료의부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애로사항을 일정부분 극복하기 위해 북한 정권수립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복잡한 국제 정세속에서 주변강대국들이 북한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한 정보문서와 다양한 외교문서들은 북한연구에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소련과 동유럽의 사회주의 체제붕괴 이후, 입수 가능해진 구동독 국립문서보관소에 소장되어진 북한의 일차자료들은 북한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북한 스스로 내부 자료의 공개를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히 북한연구의 역사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인 연구과정에서 독일과 유럽소재 북한관련 소장문헌을 조사발굴을 시도하였다. 2002년 8월부터 북한관련 자료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수집하고자 독일 국립문서보관소와 연구기관에 소장된 제반문서와 자료를 조사하였다. 본고에서는 독일 국립문서 보관소를 통해 입수한 자료 중 북한과 구 동독간 국가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제분야와 양국간의 경제 협력에 집중적인 고찰을 이루어 구 동독문서연구의 의미성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서들을 통해 드러나는 자료 내용 중 당시 동독이 북한의 경제를 어떻게 평가·인식하고 있으며, 북한과 어떤 경제협력을 추진하였는가를 살피는 것은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에 있어 동독의 역할 및 북한체제의 질적 성격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북한 주재 동독대사관의 내부 평가자료들과 북한 방문 대표사절단의 對북한 경제에 대한 기밀정보는 북한 사회주의 체제 형성과정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기에 소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현재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있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북한에 관한 공식 문건들은 이 시기의 북한 경제·사회의 실제 모습을 확인하고 입증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으며, 당시 북한이 자랑했던 북한경제 우월성의 실체와 사회주의 공업화의 과정을 새롭게 검토하고 평가할 수 있는 준거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독일문서보관소 소장 북한자료의 수집과 해제작업은 무엇보다 지금까지 제한적으로 공개되어온 정보의 제약성 및 정치 분야 선호에 따른 북한 연구의 편중성을 극복, 연구 저변의 확대와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연구 성과의 결과물은 본 논고의 중심테마인 북한의 경제 분야 뿐만 아니라, 사회체제 전반에 이르는 영역을 함께 수집 정리하고 북한 문서자료를 객관적·사실적인 분석과 번역을 거쳐 DB화하고 있기에, 북한연구의 기초연구 자료로 의미 있는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구동독의 대북한 기밀보고서 분석

        김면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6 평화학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ast German secret documents with respect to North Korea on the basis of German national archives. The secret documents expose the extensive evaluation in political and economic areas in North Korea.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manifests the deep-seated side of historical affairs between East Germany and North Korea. On the whole, the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ocusing on the East German assistance to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the specialist education toward North Korean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North Korean and East German reconstruction joint work in Hamhung and the secret reports of East German.Embassy. It helps enhance understanding not merely the early North Korean and German cooperation but also the international policy of communist in Far East Asia. But the documents also expose several conflicts and fric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1960s. The documents have been done in order to understand East German role a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society.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is that how the East Germany lead North Korea to a socialist state in Asia. The secret documents of German archives about the historical experience make clear the concrete information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이 연구는 독일지역을 중심으로 수집된 독일국립문서보관소 소장된 북한관련 기밀자료를 통해 구동독과 북한간의 외교수립에서 1960년대까지 양국관계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논고는 독일내 북한 자료현황과 수집정보를 정리 소개한 후, 본문에서는 구체적인 심화연구로 현재까지 수집된 구동독의 기밀문서에 기초하여 동독과 북한의 관계성립과정,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동독의 조선원조위원회 활동과 역할, 전후복구시기를 배경으로 동독과 북한간의 독일기술단의 파견과 함흥재건사업활동과 같은 협력사업, 그리고 1960년대 중소이념갈등에 따른 동독과 북한의 외교관계변화의 측면을 다루면서 북한․동독관계사를 고찰하여 보았다. 특히 60년대 동독대사관 비밀자료는 북한의 경제정책, 북한 각 경제부문의 당시현황 그리고 일반 주민 생활과 경제 실태 및 북한 내부 정치 동향 등에 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 그 의미성을 부분적이나마 살피고자 하였다. 해제된 구동독의 기밀문서는 북한과 동독관계사의 흐름을 세부 내용으로 담고 있어서,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관한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원으로서 북한의 질적 성격을 규명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독일내 자료수집연구는 북한연구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초작업으로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그 동안 북한 연구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자료접근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다소 부족해왔던 북한연구의 실증적이며 객관적인 새로운 연구방법을 도입하는 의미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나치즘과 독일민속학

        김면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1 獨語敎育 Vol.52 No.-

        Im Mittelpunkt dieser Abhandlung steht die Analyse der Beziehung zwischen der Politik in Nazi-Deutschland und der traditionellen Ideologie der Volkskunde. Im 20. Jahrhundert beginnt für die Volkskunde eine neue Phase. Das nationalsozialistische Regime missbrauchte die Wissenschaft der Volkskunde als Propagandemittel. In der Zeit des Nationalsozialismus wurde eine rassistische und volkserzieherische Volkskunde, die ihren Anspruch auf Wissenschaftlichkeit völlig verlor, zur dominierenden Lehre. Im Zuge sozialdarwinistischer Vorstellungen wurde die propagierte Folklore der Nazis in Rassentheorien eingebettet. Gemeinsam wurden völkische Vorstellungen von 'Rasse', 'Bauerntum', 'Blut' und 'Volksgemeinschaft' von den Wissenschaftlern untersucht. Mit ihrer Arbeit lieferten die Volkskundler der nationalsozialistischen Ideologie eine pseudowissenschaftliche Legitimation. Das jeweilige Engagement in NS-Organisationen und die nationalsozialistische Färbung ihrer wissenschaftlichen Arbeit waren stark ausgeprägt. Das Amt Rosenberg und das Ahnenerbe wurden als Institute für die Überwachungspolitik der NS-Ideologie gegründet. Sie versuchten die großangelegte ethnisch-rassistische Umsiedelungspolitik in Osteuropa scheinwissenschaftlich zu begründen. Die Bücher der Verlage wurden in Inhalt und Form den Vorstellungen der Nationalsozialisten angepasst. Nach Ende des Zweiten Weltkriegs erfuhr die Volkskunde daher eine große Existenzkrise. 1933년 히틀러의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이하 나치)은 1차 대전 후 패전의 피폐와 베르사이유 조약에 대한 불만에 편승하여 정권을 장악한 이후 지배를 공고히 하고자 강력한 민족이데올로기로써 정치권력을 강화했다. 그 과정에서 나치정권은 민속학을 정치적 목적으로 동원하고 수단화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