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로식재유형이 보행경관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동찬,박경모,Kim, Dong-Chan,Park, Kung-Mo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5

        Recently there have been great interest in the street landscapes,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investigating shaping processes of urban landscapes, legal systems for scenery management, landscape preference and evaluation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investigating how planting types influence on street landscape evaluation and how the relationships among street landscapes are. This study aims to make a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for securing afforestation in urban settings and improving urban environment. In specif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for urban street design and the base knowledge for identifying appropriate requirements for better street landscapes. We identify factors which make shape certain images of street landscape, and draw physical factors influencing on visual appropriateness through visual landscapes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landscapes according to planting types, on-the-spot survey at 14 streets in Gang-Nam district were made. The district is under executing street improving projects and shows the most satisfying planting types. To evaluate street landscapes which people experience during their walking, 100m of continuous streets are chosen. The survey sites exclude streets with irregular pattern, are adjacent to large urban parks or are used as parking spaces in part. We evaluated 9 street landscapes classified into 1-line-planting, 2-line-planting and 3-line-planting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of planting and the planting methods.

      • KCI우수등재

        都市公園 利用者의 動線類型 및 그 發生要因에 關한 硏究

        김동찬,Kim, Dong-Chan 한국조경학회 1990 韓國造景學會誌 Vol.18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damental materials and a guideline for design through grouping of the users' use route patterns and analyzing determinants to choose those route patterns in urban parks. Study sites were Jungang, Dlseong, and Beomeo park, where located Taegu city-Key results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 When Users come in and out urban parks, most orientations of their use routes were counterclockwise, and not in such cases, greatly affected by facilities arrangement.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users in the main route placed the principal facilities. Users' use route patterns were grouped by their characteristics, which were circulation, semi-circulation, irregular, and piston type. And all the types except piston type can be subdivided into spoon and loope type. Factors analysis to the types produced five meaningful patterns of variables. Five factors were named as dimension of characteristics : Park composition factor, facilities use factor, users' personal factor, park use behavioral factor, routes choice factor.

      • KCI등재

        농어업유산의 경관 잠재력 파악을 위한 IPA 연구 - 청산도를 중심으로 -

        김동찬,최우영,Kim, Dong-Chan,Choi, Woo-Young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업유산과 경관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농어업유산의 경관특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농어업유산 제1호로 지정받았으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에 등재된 청산도의 경관특성요소를 유형화한 후, 이에 대하여 방문객들이 중요시 여기는 인자와 만족하는 인자 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한국농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청산도의 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농어업유산과 경관의 관계 규명 및 농어업유산의 경관특성요소 도출을 위한 문헌고찰, 청산도의 경관특성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현장답사, 청산도의 경관특성요소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사분면에 분포하여 지속적 노력을 요하는 인자는 유채꽃밭, 바다, 청보리밭, 구들장논, 방파제와 등대, 전복양식장, 돌집, 초가집, 해안도로, 슬로길, 성서마을 돌담길, 주민농업행위로 분석되었다. 2사분면에 분포하여 집중적 관리전략이 필요한 인자로는 주변산지, 선착장, 도청항, 선박들, 수산물시장, 독살이돌담, 원색지붕농가, 느린섬여행학교, 펜션과 카페, 버스정류장, 정자목, 횟집거리, 해수욕장, 촬영지로 분석되었다. 3사분면에 분포하여 관리 조절이 필요한 인자는 소나무숲, 해변, 갯벌, 마늘밭, 비닐하우스, 곡식건조장, 미역 건조장, 문화유산전시장, 초분, 당리굿, 장터, 주민어업행위, 주민산업행위, 주민일상행위, 선착장 방문 행위, 슬로길 산책 행위, 특산물 섭취 쇼핑 행위, 농어업 체험 행위로 분석되었다. 4사분면에 분포하여 과잉 노력으로 분석된 요인은 도출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landscape characteristic elements of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 and to classify landscap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heongsando designated as Korean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 No.1 as well as a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GIAHS). Addition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riority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heongsando by grasping differences between factors which visitors deem as important and satisfying. To implement this study, the literature review was written, an on-site survey to derive landscap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heongsando and a survey 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landscap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heongsando were conducted, an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showed the factors requiring persistent efforts in the first quadrant are the rape flower garden, the sea, green barley field, flat stone paddy field, breakwater and lighthouse, abalone farms, stone houses, thatched houses, a coastal road, the slow road, Stonewall Walkway of Seongseo Village, and residents' agricultural behaviors. The analysis showed the factors needing intensive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second quadrant are the surrounding mountain area, dock, Docheong Harbor, vessels, fish market, Doksari stone wall, garish-roofed farm villages, excursion school to a slow island, pension and cafe, bus stop, shade trees, Raw Fish Street, the beach and the filming si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actors needing management control in the third quadrant are the pine grove, the beach, tidal mudflat, the garlic fields, vinyl greenhouses, grain drying yard, sea mustard drying yard, heritage center, Choboon, Dangri exorcism, the market place, residents' fishery behaviors, residents' industrial behaviors, residents' ordinary behaviors, visitors' behaviors that visiting the dock, visitors' behaviors that walking the slow road, visitors' behaviors that eating and shopping for specialties, visitors' behaviors that experiencing agriculture and fishery. Excessive effort factors in the fourth quadrant were not derived.

      • KCI등재
      • KCI등재

        생태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한 어촌체험마을의 선택속성 연구 - 전문가 및 선감어촌체험마을 체험객을 대상으로 -

        김동찬,최우영,Kim, Dong-Chan,Choi, Woo-You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체험관광 활성화 관점에서 어촌체험마을의 차별화된 선택속성을 도출한 후, 전문가와 체험객을 대상으로 중요도 및 성취도를 분석함으로써, 생태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어촌체험마을 조성의 가이드라인이나 평가기준 도출 시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IPA 분석이 사용되었고, 분석과정에서 Microsoft Office Excel 2010, SPSS 20.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향토음식과 특산품의 다양성'은 가장 집중적 관리 전략이 필요한 항목이었고, '주민 관련 속성들'은 이용자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비용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으나 효율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전문가는 '통제영역'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파급권 내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어촌체험마을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생태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어촌체험마을 조성에 필요한 선택속성을 도출하고, 이것을 토대로 전문가와 체험객을 대상으로 IPA 분석하여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한계점은 경기도 지역에 국한된 것이므로, 추후 타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selection attribute of fishing experience villages, and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argeting experts and experienced tourists. Consequently, it coul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guideline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making fishing experience villages for the revitalization of eco experience tourism. Therefore, in this study,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IPA analysis were used by Microsoft Office Excel 2010, SPSS 20.0. As a result, the 'variety of local foods and specialties' was the most urgent attribute to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strategy. And it is recommended to improvement about 'attributes related residents' because it were insensitived on the recognition by users. Satisfaction of 'appropriateness of coast' was the lowest, but the efficiency was quite high. Finally, not only 'the area of control' but also 'the area of influence' should be reviewed as an important aspects on developing the fishing experience vill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election attributes of making fishing experience villages for revitalization of eco experience tourism, and to suggest strategy directions based on IPA analysis result by experts and experienced tourists. But in this study, the site was limited to Gyeonggi-do, so it is recommended to expand further.

      • KCI등재

        이용자 만족도에 의거한 캠퍼스 옥외조명 연구

        김동찬,민창기,Kim Dong-Chan,Min Chang-Ki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night-view at a university to satisfy users through case studies of four representative university campuses with analyzing the lighting conditions and facility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rom the present lighting status, there are 664(l9types) lightings at Kyunghee University, 350(17types)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437(l9types) at Ajou University. Main materials of the lightings are metal, iron and stainless. Moreover, most illuminants are white-colored metal-halide lamp. There is no specially designed lighting facility because ready-made goods were used. Furthermore, the locations of lightings are not suitable so some are useless. Most main spatial illuminations are not satisfying outdoor standard,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signs of present campuses are not carrying on with-out plans. From the result, present campus lighting does not satisfy the desire of users in aesthetic and functional point of view but consider the luminosity. However, even though the luminosity does not standardize the law. It is because the design does not reflect a suitable standard with desire of users and it does not have a long term plan. Moreover, the campus design has no study about development plan even though it has enough green area which has a potential possibility to overcome the lack of green areas in a c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sign a comprehensive campus plan which satisfies the desire of students and residents with considering promotion of excitement and harmony through adjusting luminosity of the lighting facilities and supplying various lighting resources.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 조형물의 이용의식 실태 분석

        김동찬,조휘인,Kim, Dong-Chan,Cho, Hwee-I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는 강남 U-Street 미디어 폴의 유비티즌 의식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이용자들이 사용하게 될 미디어 폴에 대한 의식 실태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식실태 분석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분석, 이용 의식 실태분석의 인식도, 관심도, 이용도, 도시 공간 내 유비쿼터스 기술 필요성, 미디어 폴의 주 이용 유비쿼터스 기능과 유비쿼터스 중요 기능, 구성요소 중요도 분석 등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비쿼터스 도시 공간에서 미디어 폴 유비티즌들의 의식 실태분석을 하고자 하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서 여자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났고, 이는 설문에 참여한 피험자가 여자가 더 많이 참여함으로 나온 결과이기도 하며, 연령에서 20대가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났고, 직업에서 직장인이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2. 미디어 폴의 이용 의식 실태분석 결과, 미디어 폴에 대한 인식도에서 전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미디어 폴에 대한 관심도에서 대부분 관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폴의 이용도에서 대부분 '1회 사용' 이상의 경험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는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로 사료되며, 도시 공간 내 유비쿼터스 기술의 필요성은 '필요하다'로 분석된다. 미디어 폴의 주이용 유비쿼터스 기능에서 미디어 폴을 사용해 본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디지털 포토메일' 기능을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폴의 유비쿼터스 기능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은 '공공/교통정보'이며, 다음으로 '무선 인터넷 프리존', '디지털 포토메일', '지역 상가정보', '엔터테인먼트' 순이었다. 3. 미디어 폴의 구성요소 중요도에서 1위 '각종 기능의 활용성', 2위 '정보의 전달성', 3위 '주변 환경과의 조화성', 4위 '미디어 폴의 기능성', 5위 '환경조형물의 형태성'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4. 미디어 폴의 구성요소 중요도와 종합 만족도에 영향을 끼친 변수는 각종 기능의 활용성, 환경조형물의 형태성, 설치의 시공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종 기능의 활용성이 구성요소 중요도와 종합 만족도와의 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피험자들의 의식 실태조사에서 강남 U-Street 미디어 폴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 노트북, PDA 등과 함께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는 도시공간에 대한 디지털 서비스 요구와 인식, 관심, 유비쿼터스 기술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oday's rapid shifts toward a new paradigm are combining city spaces with reality and technology, which is known as a ubiquitous environment. An ubiquitous environment means that 'whenever' and 'wherever' become connected. It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is will change our future lifestyle. Korea has the biggest advantage in the implementation of this new environment, such as having an excellent network infrastructure. Using these attributes of a ubiquitous environment, changes are being made toward ubiquitous cities within developing fields of construction, landscaping, streets, art, and the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based on background of research that activated media pole in public city space has been done research about reality of digital skill, fusion, and sense of ubitizen, and Kang-Nam U-street applied by ubiquitous technique. While reflecting an environment that can be utilized in a modern digital society,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to media pole can be a space for the two-way communication of the current paradigm. It would also be meaningful to create a new cultural space through media pole. Through evaluation, citizens of the ubiquitous age are going to interact to raise the satisfaction that media pole in city space can prevent giving direction to develop and trial and error about service ability, identity, and publicity. Finally, the media pole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element to suggest directions for change when viewed as future development.

      • KCI등재

        구기자나무의 엽절편체에서 유도된 재분화식물체의 포장생육 특성

        김동찬,정해준,민변훈,양덕춘,김수동,이봉춘,Kim, Dong-Chan,Chung, Hae-Joon,Min, Byung-Hoon,Yang, Deok-Chun,Kim, Su-Dong,Lee, Bong-Ch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2

        포장에서 자란 '청양'의 상부 잎 절편체 유래의 캘러스에서 200개체의 유식물체를 분화시켜 194개체를 포장에 정식한 후 2년 동안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형태는 모본과 같은 타원형이 66.1%였고, 모본과 다른 난형 22.2%, 도란형 7.2%, 장타원형 2.6%그리고 피침형이 2.1%였다. 또한 재분화된 구기자의 포장생육특성을 검정한 후 열매의 크기가 커지고 수량이 증대된 계통군 5계통 (99741, 99781, 99854, 99870, 99886)과 열매가 커진 계통군 4계통 (99774, 99831, 99840, 99849), 잎이 두꺼운 특징을 보인 2계통 (99747, 99783), 그리고 액아에서 신초가 많이 발생되는 다분지성의 초형변이 계통군 2계통 (99797, 99892) 등 13계통을 선발하였다. 열매의 변이를 나타낸 체세포 변이체간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대과와 다수확 계통으로 선발한 5계통들은 '청양'에 비해 과장이 2.1∼2.7 mm 길었으며, 10a당 생산량은 15∼30%가 증수되었다. 초형변이를 나타낸 개체간의 엽수량을 비교한 결과 대소계통인 CL1-48에 비해 99892계통이 7.2% 증수되었고 가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잎이 유연한 특징을 보였다. 194 plantlets regenerated from leaf explants of boxthorn 'Cheonyang' were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for 2 years. Based on the morphology of leaves, 66.1% of them had elliptical type leaf, the same as that of mother plants, while 22.2% in oval type, 7.2% in obovate type, 2.6% in long-obvate type and 2.1% in lanceolate type. They were classified to 4 groups; group A was selected with both high fruit size and fruit yield, group B with only high fruit size, group C with larger or thicken leaf, and group D with multiple brenches. In comparision of production efficiency between the selected groups and mother plants, group A (99741, 99781, 99854, 99870 and 99886) were longer (2.1 to 2.7 mm) in length of fruits and higher in fruit production (15 to 30%) as compared to mother plants. Croup D (99797 and 99892) was higher in leaf production (7.2%) as compared to boxthorn 'CL1-48', which is the highest in leaf production among boxthorn veriaties.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 - 강남 U-STREET 미디어폴을 대상으로 -

        김동찬,조휘인,Kim, Dong-Chan,Cho, Hwee-I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4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참여형 환경조형물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이용자들이 사용하게 될 환경조형물에 대한 만족도의 체감을 높이기 위한 사용성과 서비스, 기능성, 조형성에 대한 유비쿼터스 도시 공간 속에서의 U-환경조형물의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강남대로 U-Street에 설치되어진 U-환경조형물인 미디어 폴을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시작단계의 환경조형물인 미디어 폴의 부문별 만족도 중에서 서비스 만족도, 기능성 만족도, 조형성 만족도와 미디어 폴의 종합적인 만족도로 설정한 후 조사 분석하여 만족도 연구를 수립하였다. 미디어 폴의 부문별 만족도에서 서비스 만족도는 대중교통 안내도, 기능성 만족도는 거리문화의 촉매제, 조형성 만족는 '형태성', 미디어 폴의 부문별 만족도와 종합 만족도 관계에서 기능성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디어 폴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도시공간에서 U-환경조형물의 만족도의 체감을 높이기 위한 미디어 폴의 다양한 컨텐츠 개발과 사용, 편리한 기술개발, 미디어 폴의 기능성 만족도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강남의 랜드 마크가 되기 위해서는 시민들과 소통하기 위한 즐거움과 감동을 줄 수 있는 스토리가 담긴 인간 중심의 기능성 요소 개발이 중요할 것이다. 현재 유비쿼터스의 초기단계는 가로 경관으로서 자연성이 결여, 환경조형물의 외피에 대한 개발, 인간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부재, 기술적 측면 부족, 수익성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 투자에 비해 수익성 창출의 어려움, 사회소통 매개로서의 기능 등의 문제점을 보완해야 하며, 첨단 기술만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똑똑한 기술보다는 편안하고 친인간적 기술로서 공간개발과 U-환경조형물의 설치가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has attempted to propose a more progressive direction for U-environmental sculptures in a ubiquitous urban space in terms of usability, service,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user satisfaction with these sculptures. For this, Media Pole, a U-environmental sculpture on Gangnam U-Street, has been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user satisfaction was planned after establishing levels of satisfaction in terms of service,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atisfaction by the section of Media Pole, the public transportation map was the most influential in service while street culture and beauty of shape were critical in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by se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functional satisfaction had the biggest influenc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human-centered functional factors which have pleasant and touching storie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re important in order to develop various Media Pole content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with the U-environmental sculpture and allow it evolve into a Gangnam landmark Since we are in the initial stage of a U-city,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a lack of natural beauty, poor material quality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bsence of storytelling, poor technology, lack of content, poor profitability and lack of means of social communication. In the end, the development of a comfortable, people-friendly space and U-environmental sculptures are neede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stead of focusing on advanced technology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