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MP test를 통한 음폐수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소화 특성 평가

        이수영ㆍ윤영삼ㆍ강준구ㆍ김기헌ㆍ신선경(Su young LeeㆍYoung Sam YoonㆍJun Gu KangㆍKi Heon KimㆍSun Kyoung Shin) 유기성자원학회 2016 유기물자원화 Vol.24 No.1

        혐기성 소화의 주요 조건 중 하나인 C/N비의 경우 하수슬러지는 5.40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음폐수(Food waste leachate)는 21.84로 높게 나타났다. C/N비가 낮을 경우 혐기성소화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음폐수의 높은 유기물 농도 및 C/N 비를 활용하여 메탄가스 발생량 증가시킬 수 있었다. Tchobanoglous이 제안한 이론적 메탄가스 발생량 예측수식을 적용하여 메탄 및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산정한 결과 하수슬러지 단일 혐기소화의 경우 305.6 mLㆍCH4/gㆍVS, 689.4 mLㆍCH4/gㆍVS의 메탄, 바이오가스가 발생하였고 음폐수 : 하수슬러지를 1:9로 혼합한 시료는 약 322 mLㆍCH4/gㆍVS, 3:7시료에서는 약 354 mLㆍCH4/gㆍVS, 5:5시료에서는 약 386 mLㆍCH4/gㆍVS의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MP 실험 결과 1:9, 3:7, 5:5 비율로 병합 처리한 경우 각각 약 233, 298, 344 mLㆍCH4/gㆍVS의 메탄가스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메탄가스 발생량은 증가하였고 하수슬러지와 음폐수의 혼합 비율에 따른 병합처리 시 하수슬러지 단독처리에 비해 다량의 메탄가스가 발생되었다. BMP 실험을 통해 생산된 메탄가스의 누적생산 곡선을 Modified Gompertz model과 first order kinetic model에 적용하여 추정한 결과, 메탄생성량은 Modified Gompertz model에서는 238.5, 302.3, 353.6 mL/gㆍVS 발생하였고 first order kinetic model에서는 242.8, 312.5, 365.5 mL/gㆍVS로 음폐수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메탄생성속도의 경우 3:7비율에서 48.2 mL/gVSㆍday로 최대 메탄생성 속도를 보였다. first order kinetic model의 1차 반응속도상수 k값은 1:9, 3:7, 5:5 비율에 따라 0.32, 0.22, 0.08day-1 나타났다. 1차 반응속도 상수의 경우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Modified Gompertz와 first order kinetic model 모두 실험결과를 잘 모사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모의결과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상관계수(R2)의 경우 0.92∼0.98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We mix food waste leachate and sewage sludge by the proportion of 1:9, 3:7 and 5:5. It turns out that they produced 233, 298 and 344 CH4ㆍmL/gㆍVS of methane gas. The result suggests that as the mixing rate of food waste leachate rises, the methane gas productions increases as well. And more methane gas is made when co-digesting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leachate based on the mixing ratio, rather than digesting only sewage sludge alone. Modified Gompertz and Exponential Model describe the BMP test results that show how methane gas are produced from organic waste. According to the test, higher the mixing rate of food waste leachate is, higher the methane gas productions is. The mixing ratio of food waste leachate that produces the largest volume of methane gas is 3:7. Modified Gompertz model and Exponential model describe the test results very well. The correlation values(R2) that show how the results of model prediction and experiment are close is 0.92 to 0.98.

      • CarSim 차량 모델과 조향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R-MDPS 알고리즘 개발

        김기헌(Kiheon Kim),김창준(Changjun Kim),김현수(Hyunsoo Kim),한창수(Changsoo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CarSim Vehicle model with 27 degree of freedom and MDPS System model using the Simulink Block were used to verify MDPS Control Algorithm. Vehicle behavior and efficiency of Vehicle movement were made an experiment using the MDPS control algorithm with Basic Assist Control, Returnability Control and Damping Control. This experimen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y of time and low costs. In days to come, the study using the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HILS) and real vehicle will be based on this study.

      • Steer-by-Wire 시스템을 위한 조향감 향상

        김창준(Changjun Kim),김현수(Hyunsoo Kim),김기헌(Kiheon Kim),한창수(Changso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is about steering system of Steer-by-Wire(SBW). As a SBW system is applied in order to improve steering feel and maneuverability, the controller should have two purposes. One is controlling steering wheel for the driver's steering feel and the other is controlling the front wheel system for vehicle st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steering wheel system. The column is reduced in the SBW steering wheel system. Therefore it need artificial steering feel. This is the study for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with steering angle, steering torque to quantify steering feel of SBW system. Based on this method, the affect two different torque map performance was simulated and compared each other.

      • 폐기물의 강열감량분석방법 검토연구

        김기헌 ( Ki-heon Kim ),양원석 ( Won-seok Yang ),최경구 ( Gyung-goo Choi ),남궁훤 ( Hueon Namkung ),이원석 ( Won-seok Lee ),이은송 ( Eun-so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소각시설의 완전연소여부를 판단하는 지표의 하나로 폐기물을 소각하고 남은 잔재물인 소각재(바닥재)의 강열감량으로 나타난다. 폐기물의 강열감량 및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료를 질산암모늄 용액(25 %)을 넣고 가열하여 탄화시킨 다음, (600 ± 25) ℃의 전기로 안에서 3시간 강열하고 데시케이터에서 식힌 후 무게를 달아 증발접시의 무게 차이로부터 강열감량 및 유기물 함량(%)을 구한다. 분석화학에서 시료의 일정량을 1,000∼1,200℃로 가열하여 시료 속의 휘발성 성분과 열분해 될 수 있는 성분이 제거되고 불연분만 남아 질량이 일정한 값이 될 때까지의 감량을 시료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양이다. 강열감량은 물·이산화탄소·이산화황·암모늄염·할로젠화알칼리 등의 합계량을 나타낸다. 암석이나 토양분석에서는 조성의 일부로 취급된다. 그러나 철·망간·황화물 등은 산화물로 변함으로써 도리어 증량(增量)한다. 이들 증감이 상쇄된 결과가 강열감량으로서 나타나는 것인데 그 내용은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을 대상으로 TGA을 이용하여 강열감량 시험방법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성 예측모형 :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기헌(Kim, Ki-Hun)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18 不動産政策硏究 Vol.19 No.3

        This study explores business prediction model b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are based on the physical status of the business district, the project period and the change of the project area in the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although the predictive degree of the two models is relatively high, more than 70%, predictive degree for low-feasibility areas is lower than that for high feasibility areas. The effects of variabl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 were examined by discriminant analysis an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influence were examin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hysical element, the number of removal buildings and the area variable had the highest influence, the area had the positive effect, and the removal structure had the negative effect. The duration of each step has the second highest impact, and all three variables have negative effects. Lastly, it is analyzed that the change of the zoning which is the urban planning factor shows the weak influence and the negative effect. However, unlike the existing studi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period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the physical factors of the district, and urban planning factors were used,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improved to present the discriminant analysi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 KCI등재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의 장기 효과

        김기헌(Ki Hun Kim),신인철(In Chol Shin)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5

        이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이르는 기간 동안 사회성 발달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유아교육 및 보육시설 경험의 인과적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 연구는 미경험자와 경험자의 선정에 있어 무작위성(randomness)을 확보할 수 있는 매칭 방법(matching methods)으로 CEM(Coarsened Exact Matching)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은 유치원의 경우 또래 관계 및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어린이집의 경우 미경험 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진 생애초기 유아교육 및 보육의 장기 효과를 증명하는 동시에 경험하는 시설 유형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의 장기 효과를 밝혀낸 것으로 생애초기 교육 및 보육 지원 확대의 근거를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정책적 측면에서 어린이집의 장기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과 관련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된 체계를 단순 통합하는 것 이상으로 두 시설들 의 질적 차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at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can improve the soci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5th to 8th grade using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data and random effects generalized ordered probit model. We have used the matching method(Coarsened Exact Matching) that is a non-parametric method of preprocessing data for reducing imbalance between the treated and control group. As a result, we found kindergarten to produce a long-term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regards to reading, foreign language, and math test scores from 5th to 8th grade. Additionally, we found that child care centers show no effect on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se results show that preschool programs produc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social skills and learning ability, however those effects vary in size and persist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program the stud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well-designed preschool education programs produce long-term improvements in academic success. Thus public policy makers should put more effort into reducing the gap of qualities existing with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