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판본의 이문(異文)을 통해 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의 문헌학적 특징 - 용주사(龍珠寺) 판본을 중심으로 -

        김기엽 ( Kim Gi-yeop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8 No.-

        『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孝의 당위성을 내세움으로써 儒家로부터 거부감을 줄이고, 부모에 대한 報恩을 주제로 하여 사대부와 서민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었던 경전이다. 판본별 偈頌의 異文에서 무오본은 화암사 계통과, 구마라습역본은 합부본 계통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언해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 번역이 상응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정조대에 용주사에서 간행한 판본은 科判 2판, 變相圖 7판(14圖), 한문 經文 22판, 諺解49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해본의 번역은 원문의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여 기존 한문 한글 번역의 불일치 양상이 대폭 교정되었으며, 雙行의 한글 주석으로 불교 어휘를 풀이하여 불자가 아닌 이도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문 전체의 원문 검토에서 기존 판본의 오탈자가 대폭 수정되고 文語에 가까운 투식을 갖추었으며 불분명했던 의미들이 보다 명확해졌음이 드러났다. 용주사본은 科判이 편입되고 經文에 주석이 추가되어 주해서의 성격도 갖추었다. 유교적 관점에서 부처를 높이는 표현이 삭제되었던 용주사본은 전통적 불경 주해 문헌의 ‘科判’이라는 양식을 계승함으로써 불교적 정체성을 존속할 수 있게 된다. 정조가 지은 偈와 이에 갱재한 蔡濟恭ㆍ徐瀅修의 恩重經偈를 분석하여 정조가『佛說大報父母恩重經』을 간행하고 용주사에 봉안한 것이 생부 사도세자의 명복 축원과 관련이 있으며, 부모 은혜의 중함을 세상에 알리고 풍속을 교화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살폈다. 또한 문집과 실록의 내용을 근거로 조선 유학자들의『부모은중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효와 보은 사상에서 비롯하였으며, 용주사에 전하는 석판본은 黃運祚라는 인물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Bulseol-daebo-bumo-eunjung-gyeong(佛說大報父母恩重經) is a scripture that reduced resistance from Confucianism(儒家) by claiming legitimacy of the House of Yi(孝) and was well-received by scholar-officials and commoners for its theme of repaying parents(報恩). Looking through th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異文) of Gesong(偈頌) by each woodcut print showed that Muo-bon has similarities to the Hwaamasa line, and Gumaraseup-bon(鳩摩羅什本) also has similarities with Hapbu-bon line. In many cases,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did not correspond to Unhae-bon(諺解本). Woodcut prints published at Yongjusa(龍珠寺)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代), contain 2 pieces of Gwa-pan(科判), 7 pieces of Byeonsang-do(變相圖), 22 pieces of the sutras(經文) in Chinese, and 49 pieces of Unhae(諺解). For the translation of Unhae-b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xisting Chinese and Korean translations has been significantly corrected as it faithfully reflect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t interprets the Buddhist terms with the two-line(雙行) Korean annotations so that non-Buddhists can understand the meaning.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original text of the entire sutra, it was shown that the typos seen in the existing edition have been greatly modified and have a format close to a literary language(文語). The ambiguous meanings also became clearer. Yongjusa-bon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ary(注解書) as Gwa-pan(科判) was included and the annotations were added to the sutra(經文). Yongjusa-bon, in which the expression of honoring the Buddha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was deleted, can retain its Buddhist identity through the style of “Gwa-pan(科判)” shown in the commentaries(注解) on Buddhist scriptures. By analyzing ‘Ge(偈)’ written by King Jeongjo(正祖) and “Eun-jung-gyeong-ge”, in which Chae-jegong(蔡濟恭)ㆍSeo Hyung-Soo(徐瀅修) responded(賡載) to it, I examined that King Jeongjo published 『Bulseol-daebo- bumo-eunjung-gyeong』 and enshrined it at Yongjusa in order to pray for Crown Prince Sado, the birth father of King Jeongjo, to inform the importance of parental grace to the world, and to cultivate traditions. Also,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s and the annals,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toward Bumo-eunjung-gyeong originated from the idea of hyo(孝, filial piety) and boeun(報恩, returning thanks), and the lithograph at Yongjusa would be related to Hwang Woon-jo(黃運祚).

      • KCI등재

        조선시대 학자들의 科文 학습에 대한 비판과 회의적 수용 양상

        김기엽(Gi-Yeop Kim)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이 연구는 科文 학습에 대한 비판과 회의적 수용의 태도를 보였던 조선시대 학자들의 여러 논의를 정리함으로써, 그들의 학문적 지향과 현실 인식을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科文 학습을 크게 배척했던 李瀷은 「科程」에서 科文으로 인한 문장의 폐해를 비롯하여, 科文 학습이 학자에게 끼치는 악영향, 나라와 풍습을 쇠퇴하게 만드는 動因 등을 밝혔다. 이와 같이 科文 학습을 비판하고 문제시한 양상은 크게 科文 투식을 비판하고 古文을 숭상하는 태도, 인격 수양과 윤리적 실천에 관한 문제, 경박한 士習을 경계하고 치세를 위한 교화적 기능을 중시한 견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선대 학자의 우수한 문장력을 칭송한 李植·李睟光·李廷龜의 평에는 科文의 체제를 비판하고 古文을 숭상하는 태도가 일관적으로 나타났으며, 奇大升·李玄逸·安鼎福은 위기지학에 전념할 것을 강조하고 科文 연마가 윤리를 실천하고 도를 추구해야 하는 근본적인 학문의 취지에 방해된다는 문제의식을 드러내었다. 沈彦光, 朴世堂은 과거 공부에 경도된 선비들의 습속을 경계하고 경전 공부를 통해 치세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는 글을 남겼다. 한편, 현실 인식과 문장력의 효용에 따른 科文의 회의적 수용 양상으로는 蘊蓄한 뜻을 펴기 위한 수단, 봉양과 가문의 부흥을 위한 祿仕, 科文의 수요와 서원의 교육 기능 등의 하위 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丁若鏞은 科文을 익히는 방법을 제생들에게 전하고 임금을 섬길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科文 학습을 통한 과거 급제임을 밝혔다. 尹愭는 가계와 어버이의 봉양을 위해 科文을 익힐 수밖에 없었던 처지를 드러내었고, 李象靖은 강학을 위주로 하는 서원의 기본적인 기능을 강조하면서도 과거 시험 준비 또한 겸할 것을 종용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논의를 통해 입신양명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가 科文의 독려와 수요를 이끌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학자들이 과거에 연연하지 않은 풍도를 귀하게 여겼던 조선시대에 科文 학습에 대한 의식적 기반을 정리하면서, 科文과 古文에 관한 학자들의 文論도 일부 엿볼 수 있었다는 데에 작은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criticism and skeptical acceptance of learning Gwamun among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explore their academic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Yi Ik(李瀷) is one of the scholars who strongly refused Gwamun, and he pointed out that Gwamun adversely affects the writing of sentences as well as scholars and causes deterioration of the country and customs. The main reasons for criticizing and raising problems against Gwamun were widely divided into the attitude of criticizing Gwamun and revering the classical literature, issues related to cultivation of mind and ethical behavior, and emphasis on educational features for keeping an eye on the insincere customs of scholars. Yi Sik(李植), Yi Soo-kwang(李睟光), and Yi Jeong- gui(李廷龜) praised the outstanding writing skills of the others and they shared the same attitude of criticizing Gwamun system and revering the classical literature. Meanwhile, Ki Dae-seung(奇大升), Lee Hyeon-il(李玄逸), and Ahn Jung-bok(安鼎福) emphasized an idea of studying for oneself and criticized that learning Gwamun would eventually interfere with the fundamental purpose of studying, which is to practice ethics and pursue right path. Shim Eon-gwang(沈彦光) and Park Se-dang(朴世堂) advised staying alert against the conventions of scholars who were devoted to the civil service exam and hoped that studies of scriptures would be helpful. On the other hand, The skeptical acceptance of Gwamun in aspects of reality and social backgrounds is divided as the mean to express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learning, choice for supporting parents and reviving the family, demands for Gwamun, and educational function of Seowon(Confucian academy). Jung Yak-yong(丁若鏞) taught students on how to learn Gwamun and said that learning Gwamun and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 are the only ways to serve the king. Yun Gi(尹愭) explained how he had to learn Gwamun to support the family and parents. Yi Sang- jung(李象靖) also emphasized on the fundamental function of Seowon, which focuses on pursuit of studies while encouraging getting prepared for the civil service exam at the same time. These examples show that the realistic expectation fo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 and gaining fame resulted in encouragement and demand for Gwamun. This study examined the criticism and acceptance of Gwamu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focused on Confucianism and valued the attitude of keeping an aloof attitude from the civil service exam while taking a glance at how scholars discussed Gwamun and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교남빈흥록(嶠南賓興錄)』의 판본과 어고(御考) 과부(科賦) 시권(試券)에 대한 소고(小考)

        金紀燁 ( Kim Gi-yeop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7

        『賓興錄』은 正祖代에 설행된 지방 별시의 전말을 기록하고 입격한 試券을 수록한 자료이다. 6종의 『빈흥록』 중 『嶠南賓興錄』에는 정조의 御考를 거친 영남 儒生의 우수 科賦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批點이 판각된 판본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남빈흥록』의 판종을 살피고 御考 批點을 토대로 優等 試券에 나타난 정조의 科賦 평가 기준을 살폈다. 『교남빈흥록』은 권2 「御考優等試券」까지 수록된 판본과 여기에 「陶山試士壇碑銘」ㆍ「頖村致祭時日記」를 追刻하여 부록으로 넣은 판본이 있다. 부록이 추가된 판본과 1792년에 판각된 판본은 구성뿐만 아니라 批點의 형태도 차이를 보인다. 우등 시권에서 批點의 위치는 구절의 2ㆍ3ㆍ5 字마다 찍혀 있으나, 특정 글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句 자체에 매겨진 것으로 생각된다. 『교남빈흥록』의 「御考優等試券」에는 姜世白ㆍ金熙洛ㆍ金象九ㆍ曺深이 작성한 科賦 4편이 실려 있다. 네 사람 모두 30句로 구성된 科賦를 지었으며, 각 句의 4번째 자마다 虛辭를 넣어 6言 科賦의 형식을 준수하였다. 典故 또한 거의 모든 구마다 인용되었는데 三上의 성적을 얻은 姜世白ㆍ金熙洛의 시권에는 試題와 동일한 출처의 전고가 빈번하게 쓰였다. 三中의 성적을 얻은 金象九ㆍ曺深은 말미에 4言의 亂辭를 넣어 姜世白ㆍ金熙洛의 답안과 형식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亂辭 부분에서 정조의 批點을 전혀 획득하지 못하였다. 4언 亂辭의 활용으로 인해 조선 후기 科賦가 요구하는 6언의 規式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批點을 통해 정조 또한 科賦에 亂辭의 출입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A binheungrok(賓興錄) is a book that contains details of local byulsi(a type of public officer test held for special occasions in Joseon Dynasty) held in Jeongjo era and the selected si-gwon(試券, answers). Among the six types of binheungrok,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contains outstanding works of gwabu(科賦, rhymed pieces written for public officer exams) by yusaeng(儒 生)s from the Yeong-nam region, that were directly reviewed by the king(eo-go, 御考). Unlike other binheungroks, bi-jeom(批點, marks left by the reviewer)s are engraved in some versions of Gyonam Binheungrok. This study reviews the versions of “Gyonam Binheungrok” and analyzes the evaluation criteria used by Jeongjo, based on the bi-jeoms he left on the selected answers. There is a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version that includes the second book titled “Eo-go-udengsigwon(御考優等試券, selected works reviewed by the king).” There is another version of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that contains the additional appendix with the engraved “Dosansisadanbimyeong(陶山試士壇碑銘)” and banchonchijesiilgi(頖村致祭時日記). Compared to the version that was made in the year 1792, the version with the appendix not only has a different structure, but also contains bi-jeoms with different shapes due to the engraving of the bi-jeoms. In the book of selected works, the bi-jeoms are left at the second, third, and fifth letters in certain phrases, but it is thought to have been left to indicate the phrase, not the letter. The Eo-go-udengsigwon(御考優等試券) of Gyonam Binheungrok contains four gwabu(科賦)s written by Kang Se-baek(姜世白), Kim Hee-rak(金熙洛), Kim Sang-gu(金象九), and Jo Shim(曺深). Each wrote a gwabu(科賦) with 30 phrases. Each phrase contains heo-sa(虛辭, function word) as the fourth letter and consists of six words(6言), following the typical structure of gwabu(科賦). Almost every phrase contains jeon-go(典故, reference from the classics), and Kang Se-baek(姜世白) and Kim Hee-rak(金熙洛), who got sam-sang(三上) grade, quoted from the same reference that was used in the prompt. Kim Sang-gu(金象九) and Jo Shim(曺深), who got sam-jung(三中) grade, each added a four-word nan-sa(亂辭, a statement summarizing a big idea) at the end, which distinguishes the structure of their works from the works by Kang Se-baek(姜世白) and Kim Hee-rak(金熙洛). None of these nan-sa(亂辭)s won Jeongjo’s bi-jeom. The utilization of nan-sa(亂辭) makes their work sway from the six-word(6言) format that was required in gwabu(科賦)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lack of bi-jeoms shows that Jeongjo didn’t like nan-sa(亂辭)s in gwabu(科賦)s.

      • KCI등재

        『뉴산문고(杻山文稿)』에 나타난 이우신(李友信)의 문론(文論) 연구(硏究)

        김기엽 ( Kim Gi-yeop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2

        李友信이 살았던 18세기 후반은 文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문학적 관념에 나름의 다양성이 작용하던 시기였다. 이우신은 어려서부터 金?를 비롯하여 다수의 소품체 작가들과 긴밀하게 교유하며 문학적 활동을 전개해 나갔는데, 유가적 가치를 추구하고 도학자의 삶을 살았던 그의 행력에 비추어 볼 때, 이와 같은 문학 활동은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우신이 소품체 작가들과 교유했던 시기의 작품과, 도학적 이념을 기반으로 활동한 시기의 작품에 주목하였다. 먼저 문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있어서 그 계기가 드러난 작품과 작품에 드러난 표현을 대상으로 하여 문학적 경향이 변하게 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후 文에 대한 그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杻山文稿』에 실려 있는 산문 작품을 분석하였다. 『杻山文稿』에는 이우신의 작품 22편과 편찬자인 김려의 발문을 포함하여 총 23편의 산문이 실려 있다. 이우신이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못했지만 唐宋의 문풍을 뛰어넘어 先秦兩漢의 문풍을 따라 司馬遷, 董仲舒 등과 비견할 정도라고 칭술한 김려의 말에서 이우신의 문학이 어떤 노선을 취하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杻山文稿』에 실려 있는 산문 중에 ‘文’을 주제로 한 논변을 중심으로 하여 이우신이 생각하는 道와 文의 관계 설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는 道를 토대로 하면서 文의 사회적 기능도 중시하였는데, 이는 학문이라는 개인적인 영역에서 道의 실천이라는 사회적인 영역으로 文의 기능을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편지글에서는 이우신이 文을 거론한 부분을 발췌하여 文에 대한 그의 관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科擧 공부를 위한 문장을 지양하고, 자아성찰과 내면수양의 수단으로 文을 정의한 것은 文을 통해 道를 밝힐 수 있다는 입장을 기반으로 언급한 것이다. 이우신의 문학 중 일부의 시 작품을 근거로 작가의 문학적 관점을 소품적 문학으로 속단할 수 없다. 작가의 생애와 과도기적 사건, 또는 이에 따른 심경 변화가 나타난 작품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문장을 수식하는 데에 치중했던 지난날의 태도를 반성하고, 文을 통해 도를 밝히고 발현해야 한다는 이우신의 견해를 반영하여 그의 문학적 관념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The late 18th century in which Lee Usin(李友信) lived was a time of significant change in literary concept and also that of diverse, intensive debates in writings. He had conducted his literary activities, closely interacting with a number of vignette style writers from his young days. However, considering his life as a Neo-Confucianism master and a moralist, this kind of his literary activities is quite unconvincing. This study focuses on his works, particularly written in his early years in which he used to interact with vignette style writers and the later years in which he used to concentrate on ethics ideology. The aspect of changes in his literary tendency was examined to see the change appeared in his attitude toward literature, targeting his works and description showing the trigger of such changes. Then in order to figure out his cognition of writings, his prose in 『Yoosanmoongo(杻山文稿)』 was also analyzed. There are 23 prose writings in 『Yoosanmoongo(杻山文稿)』; 22 were written by Lee Usin and 1epilogue was written by the compiler, Kim Ryeo. Although Lee Usin didn't leave many works, it is not difficult to presume his literary direction thanks to Kim Ryeo's compliments saying that Lee Usin surpasses the writing style of China's Tang and Sung Dynasty, and is even comparable to Sima Qian and Dong Zhongshu along with the writing style of Pre-Qin and Ha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o(道) and Literature (文) set by Lee Usin, based on literature(文)-themed arguments in his prose out of the works contained in 『Yoosanmoongo(杻山文稿)』. Basically placing emphasis on Tao, he also regarded the social function of literature(文), and this implies that he tried to expand the function of literature(文) from individual academic sphere to common, social sphere. The study also looked into his point of view on literature(文) by extracting his mentions about it from his letter writing. He defined literature(文) as the means to avoid writings for Gwageo and achieve introspection and inner self-improvement; this is based in his point of view supporting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Tao(道) through literature(文). We should not make a hasty conclusion to consider his literary perspective as vignette style only based on parts of his works in his early days. Instead, it is needed to approach holistically, looking into the writer's life, transitional event, or consequent change of his mind. Now it is necessary to set his literary concept by taking his view of the later years to reflect on the traditional attitude sticking to embellishment of writing and to realize Tao(道) through literature(文) into account.

      • KCI등재

        申之悌의 詩에 나타난 交遊 양상 연구

        김기엽(Kim, Gi-yeop)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梧峯 申之悌(1562~1624)는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임진년과 정유년의 전란 때 의병 활동을 주도하였으며 이후에 당대의 문호들과 많은 한시 작품을 주고받았던 인물이다. 임진왜란 때 조목에게 수창하여 왜적을 물리쳐 공을 세울 것을 鼓舞하였고, 김부륜에게 시를 올려 일본과의 강화를 비판하며 항전 의지를 다졌으며, 청량산의 형세를 살핀 후 금난수에게 증여한 시에서 전쟁의 종식과 다음 유람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었다. 김해와 서로 처자식을 맡길 정도로 각별했던 신지제는 임진왜란 때 김해가 순국하자 그를 애도하는 만시를 짓고 남은 가족들을 보살폈으며, 장편의 시로 조씨 문중 사람들의 충절을 기리며 정유재란 때 전사한 조종도의 의기를 칭송하였다. 의병 활동을 통해 맺어진 교유는 전란이 끝난 뒤에도 이어져 손기양과 함께 곽재우의 忘憂亭을 방문하고 뱃놀이를 즐겼다. 손기양을 전별한 시에서 李埈ㆍ鄭經世와 교분이 이어졌으며, 呂大老와 뱃놀이를 하면서 지은 율시에서 朴瑞龜의 시적 역량에 대한 인식이 드러났다. 1601년에 掌樂院에서 만든 「嶺南同道會」의 인원 중에 신지제와 지속적인 교유를 가지고 시를 주고받은 이는 李好閔, 趙靖, 李民宬ㆍ李民寏 형제, 曺友仁 등이 있다. 이들과 주연이나 전별연 모임에서 증여한 시를 토대로 작품에 나타난 관계망과 우의, 이를 매개로 확장된 교유의 양상을 살폈다. Obong(梧峯) Shin Ji-je(申之悌) was a literary person during the middle years of Joseon Dynasty, who led the activities of the unofficial troops of righteous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Imjin year and Jeong-you year. After that, he exchanged many works of Chinese poetry with literary lights of the day. During the war in Imjin year, poetry interchange with Jo Mok(趙穆) to encourage him to defeat Japanese invaders and render distinguished services. Also, he dedicated his poetry to Kim Bu-Ryun(金富倫) to criticize the negotiation with Japan, strengthening the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Japan. After looking around and seeing the lay of the lands of Mountain Cheongnyang(淸凉山), in his poem dedicated to Geum Nan-su(琴蘭秀), he revealed his expectation for the cease of the war and ensuing his excursion. Shin Ji-je, who established a friendship with Kim Hae(金垓), which was special enough to leave his wife and kids to him and vice versa, wrote an elegy mourning Kim Haes death for the county and was willing to take care of Kims bereaved. Also, he admired the loyalty of the Jos Kinship in his long poem, praising the public spirit of Jo Jong-do(趙宗道) who died at the war of the Japanese second invasion in Jeong-you year. The companionship developed during his resistance activities against Japan was still continued after the war. He would visit Kwak Jae-woo(郭再祐)s Mangwoojung(忘憂亭) with Son Ki-yang(孫起陽) and enjoy boating. His poem singing farewell to Son Ki-yang shows his continuing friendship with Lee Joon (李埈) and Jeong Kyung-se(鄭經世), and his strophic poem written in boating with Yŏ Tae-ro(呂大老) reveals his recognition for Park Seo-Kyou(朴瑞龜)s poetic capability. According to the list of members of Yeongnam-dongdo Association(嶺南同道會), which was made by Jangakwon(掌樂院) in 1601, those who exchanged poetry with Shin ji-je in constant companionship were Lee Ho-min李好閔), Jo Jeong(趙靖), Lee Min-sung(李民宬) and Min-hwan(李民寏) brothers, Jo Woo-in(曺友仁), and etc. This study looked through the network and friendship that appeared in Shin Ji-jes works and the aspect of his extended companionship revealed in them based on his poetry dedicated during feasts or farewell banquets.

      • KCI등재

        18세기 조선과 일본에서 편집한 이황 서찰 선집에 대한 일고찰 - 『退溪先生書節要』와 『李退溪書抄』를 중심으로 -

        김기엽(Kim, Gi-yeop)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2

        18세기에 편집된 退溪 李滉(1501~1570)의 서찰 선집으로는 스구리 교쿠수이(村士玉水, 1729~1776)의 『이퇴계서초』와 李象靖(1711~1781)의 『퇴계선생서절요』가 있다. 이보다 이전 시기에 정리된 이황 서찰 선집으로 鄭焜의 『李子書節要』가 있고, 이후 시기로는 金悳鍊의 『退書類輯』·李庭魯의 『退書百選』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퇴계선생서절요』 발문에서 접점이 보이는 일본의 『이퇴계서초』와 조선의 『퇴계선생서절요』를 중심으로 살핀다. 『퇴계선생서절요』와 『이퇴계서초』 모두 『퇴계집』에 실려 있는 서찰의 순서를 따랐으며, 이황이 『주자서절요』를 편집한 체제를 본떴기에 전반적으로 비슷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나, 受信者·目次 提示·注解 方式·序文 有無 등에서 세부적인 차이를 보였다. 『퇴계선생서절요』는 『이퇴계서초』에 비해 다양한 인물을 실었고, 『이퇴계서초』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물을 다루면서 더 많은 수의 서찰을 실었다. 『이퇴계서초』는 이황의 「연보」와 「행실」을 상세하게 싣고 각 권마다 수신자 명단과 서찰 수를 기입하였으며, 고가 세이리(古賀精里, 1750~1817)의 서문과 오카다 간센(岡田寒泉)의 後識가 실려 있다. 『퇴계선생서절요』는 서문을 누락하고, 諸子目錄에서 수신자의 字·號·출신 및 이황과의 관계를 밝혔다. 이상정이 편집한 『퇴계선생서절요』는 그의 제자 鄭宗魯(1738~1816)와 金㙆(1739~1816)의 발문이 붙여져서 간행되었다. 두 사람의 발문을 통해 이상정의 高弟 金宗德이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손자 이병운이 간행을 주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병운은 「퇴계선생서절요」 발문에서 村士玉水가 편찬한 『이퇴계서초』가 使行을 통해 조선에 전래되었음을 밝히면서, 『퇴계선생서절요』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음을 드러내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퇴계선생서절요』에는 이상정의 서찰이 실려 있지 않으나, 『大山全書』 권4에 수록된 『퇴계서절요』(『퇴계선생서절요』) 권10 말미에는 편집 경위와 선별 기준에 대한 단서가 담긴 이상정의 서찰이 실려 있다. 이 『대산전서』에 수록된 『퇴계서절요』는 목판본으로 간행하기 이전에 편집된 稿本으로 보인다. Leetoegye seocho (李退溪書抄) by Suguri Kyokusui and Toegye Seonsaeng Seojeolyo (退溪先生書節要) by Lee Sang-Jeong are the letter collections written by Lee Hwang edited in 18th century. Leejaseojeolyo (李子書節要) by Jeong Hon was compiled before that time and Tweoseoyujib (退書類輯) by Kim Deok-Ryeon and Tweoseobaekseon (退書百選) by Lee Jeong-Ro was after that time. Now, we are especially examining Japan’s Leetoegye seocho and Korea’s Toegye Seonsaeng Seojeolyo which showed some similarities in the postscript of Toegye Seonsaeng Seojeolyo in 18th century. Both Toegye Seonsaeng Seojeolyo and Leetoegye seocho followed the sequence of letters which were part of Toegyejib (退溪集). Furthermore, they had similar structures overall because they imitated the editing skill of Jujaseojeolyo (朱子書節要) by Lee Hwang. However, details varied such as the recipients, whether the preface existed or not, the way to present the table of contents and how to annotate. Toegye Seonsaeng Seojeolyo put in more characters than Leetoegye seocho that dealt with fewer figures but carried more letters. Leetoegye seocho went into detail of “Chronology (年譜)” and “Behavior (行實)” of Lee Hwang’s life and the list of recipients and the number of letters were put in every volume. The preface by Goga Seiri and the postscript by Okada Kansen were put in, too. Yet, Leetoegye seocho omitted the preface and revealed recipients’ nicknames, pen names, hometowns, and the relationship with Toegyeo on the list of Jeja (諸子). Toegye Seonsaeng Seojeolyo edited by Lee Sang-Jeong was published with being attached the postscripts by Jeong Jong-Ro and Kim Goeng who followed Lee Sang-Joeng. Through their postscripts, Kim Jong-Deok who was one of Lee Sang-Jeong’s disciple participated in editing and his grandchild, Lee Byeong-Woon led the publication. Lee Byeong-Woon spoke in the postscribe that Leetoegye seocho complied by Suguri Kyokusui came to Joseon Dynasty through dispatching envoy. Moreover, he told that Toegye Seonsaeng Seojeolyo wasn’t influenced directly by it in the process of complication. The letter from Lee Sang-Jeong didn’t put in Toegye Seonsaeng Seojeolyo colle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stead, Lee Sang-Jeong’s letter was put that contained the details of editing and the standard of selection at the end of Toegye Seojeolyo (退溪書節要) (Toegye Seonsaeng Seojeolyo), Volume X included in Daesan Jeonseo (大山全書). Toegye Seojeolyo in Daesan Jeonseo seemed a manuscript before printing a block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