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가족이데올로기

        김근아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우리나라의 경우는 단일민족, 순혈주의에 대한 자긍심으로 인해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해 배척의 역사였다. 그러나 결혼의 만혼화, 미혼농촌남성들의 증가 등으로 1991년 “농촌 총각 결혼시키기” 사업에서 시작된 국제결혼은 1995년을 기점으로 하여 급격히 증가하였다. 통계청에 의하면 2007년 현재 11만 명의 결혼이주자가 존재하며 2020년에는 결혼이주가족이 전체 가족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결혼의 증가와 더불어 이혼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2007)이 발표한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총 이혼 건수”는 8,828건으로 전년도의 6,280건과 비교해 40.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주여성긴급전화 1366의 상담도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한 상담내용으로는 가정폭력, 부부갈등과 더불어 가족갈등이 5,681건으로 전체의 28.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가족 및 배우자와의 갈등이 결혼생활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방적인 한국의 문화와 남성중심의 가족이데올로기를 강요하는 데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그 해결방안과 관련하여서는 다음의 6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각 출신국의 언어를 전공한 대학생 및 동아리와 사회복지전공 자원봉사자를 발굴하여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육성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계 및 실천가들이 협력하여 “다문화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커리큘럼 및 모형개발을 늦었지만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개별적 욕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개발과 지속적인 사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선배 결혼이주여성들과 후배 결혼이주여성들과의 “멘토링 관계구축”과 더불어 지역사회 관련 기관의 사회복지사에 의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하는 방안이다.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자기정체성 확립”을 도울 수 있는 역량강화프로그램의 개발로의 전환이 시급하며, 양국 간의 협력체계구축을 통해 국제결혼의 시작부터 끝까지 지원해줄 수 있는 움직임이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다섯째, 개입에 있어 그들의 욕구와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주고 당사자 중심주의가 전제되어야 하며, 인종차별 금지 및 사회참여의 기회균등과 관련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여섯째, 가족 및 사회전반을 대상으로 이주여성들의 출신국가와 한국문화가 쌍방향으로 소통하고 타문화에 대한 수용성증진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Korean have excluded a multicultural and a multi-ethnic society as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ince 1995, an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 male and migration female grows rapidly. Korea’s National Statistics Office(NSO) states nearly 110,000 marriage migration of women live in Korea and estimates ratio of family related to marriage migration of women becomes little more than 20% of total family. However, the more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the more dissolution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with reference to NSO. Additionally, counselling through emergency call for migration female(1366) increases rapidly, more contents of which include family violence and family trouble between Korean male and migration female owing to a one-sided Korean culture and a male-dominated society.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 six kinds of solution will be presented.First, multicultural specialist who major in social work and language of each marriage migration of women will be trained in order to adapt marriage migration of women to new circumstance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curriculum and model development to help to practice.Second, the out-reach service reelected in each want of marriage migration of women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Third, mentoring relation program between elder and younger marriage migration of women will be constructed and maintained by social worker in local community.Forth, Korea will collaborate the issue for international marriage maintenance with each nation Fifth, legal and systematic basis related to prohibi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pursuit of equal opportunity will be prepared.Sixth, the ability reinforcement program to establish self-identity of marriage migration of women will be developed, which will include the work improving mutually cultural 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공군 준·부사관의 부부관계의 질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근아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군사회복지학 Vol.5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ize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m.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married associate noncommissioned officer(staff sergeant, sergeant, master sergeant, yarn, warrant) and 35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depression, life satisfaction) between marital qu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ression analysis was adapted with the procedure of Baron & Kenny(1986)'s Scale. The results were showed that depression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organizational or affective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organizational or affective commitment.

      • KCI등재

        MODIS와 ASOS 자료를 이용한 식물계절 모델링

        김근아,윤유정,강종구,최소연,박강현,천정화,장근창,원명수,이양원,Kim, Geunah,Youn, Youjeong,Kang, Jonggu,Choi, Soyeon,Park, Ganghyun,Chun, Junghwa,Jang, Keunchang,Won, Myoungsoo,Lee, Yangwo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와 관련된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으며 평균 기온 또한 상승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온도에 민감한 다양한 생물과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생태계의 변화 역시 감지되고 있다. 계절은 그 지역에 사는 생물의 종류, 분포, 생육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다. 기후 변화 영향 평가의 지표 중 가장 대중적이고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식물 계절 중 개화일과 단풍나무 절정일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에는 봄을 대표하는 식물로 볼 수 있는 개나리와 벚나무, 가을을 대표하는 식물로 볼 수 있는 단풍 나무와 은행 나무를 사용하였다. 모델링을 수행할 때 사용된 기상 자료로는 기상청의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관측소를 통해서 관측된 기온, 강수, 일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개나리, 벚나무의 개화일과 약 -0.2, 은행나무, 단풍나무의 단풍 절정일과 약 0.3 정도의 상관 계수를 가지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식생지수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모델로는 선형 모델인 다중 회귀 모형과, 비선형 모델인 Random Forest (RF)를 사용하여 모델을 수립하였다. 또한 각 모형으로 추정된 예측 값을 공간 내삽 기법을 이용하여 등치 선도로 2003~2020년의 식물 계절 변화 경향 성을 표현하였다. 향후에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식생지수를 사용한다면 더 높은 식물 계절 모델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related problems caused by global warming is growing,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s also rising. As a result, it is affecting the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emperature-sensitive creatures and creatures live, and changes in the ecosystem are also being detected. Season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types,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reatures living in the area. Among the most popular and easily recognized plant seasonal phenomena among the indicators of the climate change impact evaluation, the blooming day of flower and the peak day of autumn leaves were modeled. The types of plants used in the modeling were forsythia and cherry trees, which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plants of spring, and maple and ginkgo, which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plants of autumn. Weather data used to perform modeling were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olar radiation observed through the ASOS Observator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satellite data, MODIS NDVI was used for modeling, and it has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about -0.2 for the flowering date and 0.3 for the autumn leaves peak date. As the model used, the model was establish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which are linear models, and Random Forest, which are nonlinear models. In addition, the predicted values estimated by each model were expressed as isopleth maps us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to express the trend of plant seasonal changes from 2003 to 2020. It is believed that using NDVI with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in the future will increase the accuracy of plant phenology modeling.

      • 개인·서비스·시스템 특성이 모바일 클라우드 사용의도와 실제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근아,김상현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2

        본 연구에서는 UTAUT(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age of Technology)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모바일 클라우드 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 특성(개방성, 목적 지향성, 모바일 자기 효능감), 서비스 특성(신축성, 네트워크 접근성, 적절성), 시스템 특성(가용성, 데이터 융합성, 호환성)을 제안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수집된 총 307부의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가설을 증명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 특성으로 제안한 데이터 융합성과 호환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은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클라우드 관련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함과 더불어 모바일 클라우드의 실용화 확대에 영향을 주게 될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사회참여활동유형과 알코올 사용에 관한 고찰 : 지역사회노인을 중심으로

        김근아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3

        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문화에서 “알코올 사용”이 보편적이고 허용적인 행태임을 고려한다면 일반주의적인 관점에서 노인의 알코올 사용문제를 조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과 알코올 사용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으로는 사교단체, 종교단체, 취미, 레저단체(문화 활동), 자원봉사활동, 교육활동, 정치단체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사교단체참여활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교단체라 할 수 있는 경로당(노인정)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주로 고령이며, 교육․문화적 혜택의 경험이 대체로 낮아 노인 당사자 스스로 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지닌다. 현재까지 경로당은 노인들의 자율적인 운영에 의지하고 있어 알코올사용과 화투, 장기 등이 여가놀이로서 깊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알코올 사용은 노인의 건강에 매우 치명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노인들의 알코올 사용은 젊은 성인 군에 비해 더욱 심각하다. 이에 노인들의 알코올 사용을 줄이고 사회참여활동을 보다 적극적인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대안마련이 시급이 요구된다. 즉 다양한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개입과 노인 당사자 중심의 계획 및 실천이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

      • 기업 성과 개선에 대한 정보기술의 역할

        김근아,김상현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시장 지배력을 강조하는 전략적 포지셔닝 관점과 기업의 고유한 자원 개념화에 대한 자원기반 관점 사이의 상호보완을 통한 IT의 기업 성과에 대한 역할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연구모델은 구체적인 IT 능력과 전략에 대한 IT 지원, 그리고 기업 자산에 대한 IT 지원의 효과를 요약하여 보여준다. 본 연구는 IT 능력에는 기술 및 관리 능력을 제안하고, 전략적 IT 지원에는 혁신 차별화와 마케팅 차별화, 그리고 낮은 비용에 대한 IT 지원을 하위요소로 설정하였으며, 기업 자산 IT 지원에는 조직 역량과 마케팅 역량, 그리고 기술 역량을 위한 IT 지원을 하위요소로 두었다. 기업 성과는 정량적 및 정성적 성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사실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내·외부 간의 비즈니스와 IT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이론적으로는 IT 비즈니스 가치와 관련된 연구에 또 다른 맥락에서의 실증적 증거를 보여주는 시사점이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기업의 비즈니스 및 IT의 구체화된 통찰력을 제공하여 기업 의사결정에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공헌점이 있다.

      • 테크노스트레스가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 및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근아,김상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사용하는 조직 구성원에 의해 경험된 스트레스 와, 이 스트레스가 그들의 직무 만족과 조 직에 대한 몰 입, 그리고 유지하기 위한 의도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ICT의 최종 사용 자와 관련된 세 가지 변수( 즉, 직무 만족, 조직 몰 입, 지속적 몰입)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의 영향을 이해 하기 위해 이들 관계를 구체적으로 개념화하였 다. 또 한, 테크노스트레스와 관련된 구조를 보다 자세하 게 측정하기 위해 이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참여 촉 진을 제안하고 조절변수로써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직들의 ICT 사용자 179 명으로부터 설문 조사를 실시한 응답결과를 데이터 로 사용하여 연구모델을 검정하였 다. 연구결과, 제안 한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관련연 구에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 고, 관련 실무자들 에게는 조직 내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와 이해를 제공한 다.

      • KCI등재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과 상아질의 절삭율 연구

        김근아,안용우,고명연,박준상,Kim, Kun-A,Ahn, Yong-Woo,Ko, Myung-Yun,Park, June-Sang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5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lation rate of Er: YAG laser irradiation on dentin and enamel and to observe the microscopic structures of cavities formed after ablation of enamel and dentin in using a bur and cavities formed after ablation using laser. Er:YAG laser irradiated at 200 mJ, 250mJ, 300mJ at the frequency of 20Hz, 15Hz.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ablation rate of dentin groups at power of 3 W-6 W was about $1.103{\sim}2.639mm^3/sec$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wer of 4.5 W$\sim$6 W. 2. The ablation rate of enamel groups at power of 3 W-6 W was about $0.413{\sim}0.969mm^3/sec$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wer of 4 W$\sim$6 W. 3. With SEM examination of the cavity surface treated with the conventional high speed bur revealed relatively flat appearance almost covered with a debris like smear layer. 4. With SEM examination of the lased surface of dentin groups revealed no smear layer and no debris and openings of dentinal tubules were clearly opened. But the lased surfaces of the groups over 3 W were irregular and particles were loosely attached on it. 5. With SEM examination of the lased surface of enamel groups revealed severely destructed surface at the 6 W group and melting drop materials at the 3 W group. But the lased surface of 4 W group revealed clearly ablated surface. Therefore when cutting teeth using Er:YAG laser, the lasing power which can make effective ablation rate and minimize the thermal effect could be 3W at dentin and 4W at enamel. But, further studies and additional data collection will be necessary for appropriate lasing condition of Er:YAG laser.

      • 정보통신기술 사용의 부정적인 측면이 조직 내 역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근아,김상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실증적 설문 자료를 기반으 로, 역할 스트 레스와 성과에 대해 정보통신기술(ICT)에 의해 만들 어진 스트레스( 즉, 기술스트레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기술 이론과 역할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였 다. 본 연구는 먼저 ICT가 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 를 만들고 기술스트레스를 생성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 구는 크게 다음의 4가지 가설을 제안한다. (1) 기술 스트레스는 역할 스트레스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에 각각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2) 역할 충돌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에 각각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3) 역할 과중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에 각각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4) 혁신 지원은 기술 및 역할 스트레 스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 사이에서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가설들 을 검정하기 위해 조직의 ICT 사용자로부터 설문조 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 식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술스트레스 와 역할 충돌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제외한 다른 가설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론 적으로, 조직에서 개인이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한 기존의 개념에 기술스트레스의 확인을 통해 또 다른 차원을 추가적으로 제시하 고, 기술스트레스와 역할 스트레스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의 검정을 통해 기술 과 조직의 역할 사이의 관계와 구조를 분석하는 문 헌에 새로운 맥락을 제안한 다. 실무적으로 는, 기술스 트레스가 조직에 존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진단 도 구를 제시하고, 기술스트레스의 역효과는 역할 스트 레스를 줄이는 전략에 하나의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