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기도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실행을 위한 전략구축 적용 연구

        김국선 ( Kim Kooks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사회 변화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역할도 변화하여 디자인을 통한 지역의 가치 향상과 편의 증진이라는 본 연의 역할 뿐 아니라 범죄예방과 사회 갈등 해소 등의 사회적 문제해결의 도구로 확대되어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정책과 사업진행에서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경기도 내 시.군에서 수립하는‘지역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전략구축의 내용을 알아보고 상위 진흥계획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분산을 방지하고, 공유할 수 있는 비젼과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기본적 구성 체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내 진흥계획이 수립된 김포시, 부천시, 양주시, 파주시, 하남시 5개시를 대상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경기도의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수립된 5개시의 진흥계획 내용 중 사업 추진 전략 방안과 도출된 사업을 대상으로 기준틀에 의거 분석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시의 공공디자인 위원회 활동을 통하여 직접적인 참여와 심의. 자문을 통하여 도출된 진흥계획 결과물을 구축된 기준틀에 의하여 분석한다. (결과) 연구 대상 시의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조사 분석한 결과, 계획의 비젼과 목표는 상위계획 연계성을 지니며 구축하였고 추진전략으로 도출한 사업은 각 시별 특성을 고려한 독립성을 유지하였다고 판단된다. 추진 전략에 따라 도출된 실행 계획의 진행을 위하여 5개시 모두 공공디자인 위원회를 구성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도출된 진흥 사업은 지역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여 계획되었고 추진단계를 고려한 시범사업이나 전략사업이 우선적으로 제시되었다. 도출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하여서는 행정 네트워크 형성과 주민 참여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진흥계획에 따른 각 시의 공공디자인 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가이드라인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전략 추진계획과 도출 사업에 대한 내용 분석으로 경기도 내 공공디자인 통합적 이미지 구축을 이루고, 추후 실행을 위한 세부계획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내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구체화하여 공공디자인 문화 정착과 도시 사회문제 해결에 이르는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성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기도 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과 공공디자인 사업 발굴 진행 등에 기초 자료가 되고, 도 단위로는 통합적 이미지를 구축하면서 각 시.군의 특성을 고려한 독립성을 유지하는데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The role of public design alters with the changes in society.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has come to the fore in playing not only the original role in value improvement and convenience enhancement of regions through design, but also the expanded instrumental role to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crime prevention and to facilitate the resolution of social conflicts. This study examined the outline of strategies for “Implementation Promotion Plans of Regional Public Design” established by Gyeonggi-do, to construct a cooperative system in public design policies and project execution. Furthermore, it aimed to draw a basic composition system to establish visions and strategies to prevent dispersion, by analyzing its connectivity with higher promotion plans. (Method) In terms of research area, this study covered the following five cities of Gyeonggi-do where the promotion plans had been established: Gimpo City, Bucheon City, Yangju City, Paju City, and Hanam City.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a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standard frame oriented toward strategic plans of project promotion and deduced projects out of promotion plans of five cities established based on the promotion plans of Gyeonggi-do public design. As for th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standard frame, this study analyzed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results of the five citie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promotion plans of the cities’ public design indicated that the visions and goals of the plans wer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higher plans, while the projects deduced by promotion strategies maintained independence considering unique features of each city. To carry out implementation plans deduced by promotion strategies, five cities formed respective Committees of Public Design. The deduced promotion projects were plann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features and status. (Conclusion) This study represents an analysis of strategic promotion plans and deduced projects regarding promotion plans of public design, and i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integrated images of public design in Gyeonggi-do and prevent dispersion keeping a cooperative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promotion plans of public design in Gyeonggi-do and discovering public design projects that are under constant execution. Furthermore, this study helps to maintain independence considering features of each city and Gun, while simultaneously establishing integrated images of Gyeonggi-do.

      • KCI등재

        도시경쟁력 구축을 위한 우수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연구

        김국선 ( Kim Kooks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도시디자인 실현을 위하여 서울시, 경기도, 충청남도, 인천시에서는‘우수 공공시설물 인증제’를 운영하고 선정된 인증제품은 인증기간 동안 인증권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공공사업에 보급하여 기업경쟁력 확보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4개 도시 공공시설물 우수디자인 인증제의 개념과 목표하에 진행되는 실행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인증제품의 중복도와 개발업체의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고, 추후 진행되는 인증제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구방법) 공간적 범위는 서울, 경기도와 충청남도, 인천의 우수디자인 인증제를 대상으로 기준틀에 의거 분석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 인증제의 직접적인 심의위원회 참여와 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기준틀에 의하여 분석한다. 분석대상은4개 인증제의 2021년 현재 인증기간에 있는 제품을 분류하고, 3개 이상의 인증제품을 보유한 개발업체 인증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결과) 4개의 인증제에서 인증제품을 확보한 3업체와 3개의 인증제에서 인증제품을 보유한 5업체로 총 8업체의 제품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인증제품 135개 중 동일제품으로 분석된 중복성은 13개로 약 9.5%임을 확인하였다. 개발 업체의 소재지 분석 결과는 업체의 소재지에서 인증제품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인증제를 통한 지역 개발업체의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되어 진다. (결론) 분석결과 4개 인증제 인증제품의 중복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우수디자인 인증제품 개발업체는 인증제별 중복되지 않는 제품이 되도록 각 시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지속적인 형태의 변형과 재질 개발에 힘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개선과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거주민의 만족도와 정주성을 확보하는 4개의 지자체 우수 공공시설물 인증제에 대한 내용 분석으로 4개의 인증제 운영의 효율성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분산을 막으며 협력체제 유지가 필요한 시점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s part of efforts to establish urban identity and realize urban design, the cities of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and Incheon-si are operating the “The Good Public Facility Design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selected certified products can use the certification authority during the certification period, and distribute them to various public projects. It also contributes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securing competit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the degree of overlap of certified products and the contribution of the developer to the local econom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ncept and goals of the Good design certification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in four citie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The Good Public Facility Design Certification System.” (Method) Spatial scope is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 framework for exceptional design certification systems in the cities. The standard framework is derived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in the deliberation committee and investigation of the target certification system. The analysis categorizes products in the certification period as of 2021, based on four certification systems, and targets certified products from developers who have three or more certified products. (Resul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ducts of eights companies, it was found that three companies secured certified products in four certification systems and five companies in three certification systems.it was analyzed as the same product out of 135 certified products to be analyzed. The redundancy was confirmed to be about 9.5% with 13 pie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develop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certified products in the location of the company. this means that it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o revitalize local development companies.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dundancy of the four certified products was significantly low. This demonstrates that the companies that have developed exceptional design certified products comply with the public design guidelines of each city and strive to constantly transform the shape and develop materials, so that they are considered as non-overlapping products by the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certification systems of four local government public facilities that secure the satisfaction and settlement of residents by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basic data during system maintenance.

      • KCI등재

        여가문화 인프라구축을 위한 도시 수변공간 디자인 개발방안 연구

        김국선(Kim Kooks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도심권 내에 있는 수변공간은 많은 잠재력을 지닌 도시의 여가공간으로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가문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수변공간의 디자인개발 전략의 가이드라인 수립에 목적을 두고 도심의 장소적 특성에 맞는 시민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수변공간 개발과 여가공간으로서의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수변공간 개발 전략이 추진된 세계의 13개 주요도시를 대상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사례도시의 수변공간 개발 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여가문화 인프라의 공공디자인 전략 수립을 포함하고 있다. 분석은 기준틀을 수변공간 환경의'보존'과'복원''개발'의 3가지 유형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고 결론적으로 생활권 여가공간 형성을 위하여서는 복원방식을 주된 개발 방향으로 설정하여 보존과 개발방식으로 지원하고 관광권 여가공간 형성을 위하여서는 보존과 개발방식으로 보는것과 즐기는것 등의 여행형 여가유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변공간을 이용한 창조도시 형성은 개발방식을 주된 방향으로 지역적 특성에 따른 새로운 여가문화의 공간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여가문화 인프라 구축을 통한 여가공간으로써의 수변공간 디자인 개발은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waterfront space in urban area is magnifying as the city leisure space in which maintains a lot of potentialities. Accordingly this Study purposes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a design development strategy on the waterfront spa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leisure culture infrastructure and the waterfront space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leisure activity types of the citizens that suitable to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 then this research has been progressed in order to arrange the systematic guideline for the revitalization of waterfront space as the leisure space. The spatial coverage of this Study is targeting those 13 major cities in the world where the waterfront space development strategy was promoted and the substantial scope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strategy for the leisure culture infrastructure through an analysis about the waterfront space development strategy of those example-cities. The Analysis was progressed by setting up 3 kinds of types as its standard frame such as'preservation''restoration''development' of the waterfront space environment and as the result for the formation of a leisure space within the living zone it supports as the pre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method by setting up the restoration method as its main development direction also for the formation of the sightseeing area leisure space it becomes to provide the travel-typed leisure category likely regard as the pre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method enjoyment so on. Especially the formation of creative city using the waterfront space based on the development method as its main direction it would be possible the space construction of the new leisure culture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Such design development for the waterfront space as the leisure space with the leisure culture infrastructure could greatly contribute to both the life quality improvement of the residents and the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리아프노프 함수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 비선형 피치 및 토크 제어기 설계

        김국선(Guk Sun Kim),노태수(Tae Soo No),전경언(Gyeong-Eon Jeon),지언(Ji-yon Kim)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6 No.10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블레이드 피치 제어기 및 발전기 토크 제어 기법을 제시하고 비선형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회전속도 오차 및 출력 오차를 이용한 양한정 함수를 정의하고 리아프노프 안정성 이론을 적용하여 정적 피치 제어기와 동적 토크 제어기를 설계하고, 제어기 설계 모델과 실제 적용 모델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기반 최적화를 이용하여 설계 인자 값을 결정하였다. 풍력발전기 제어기 설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력 전달계 모델을 기반으로 제어기 설계 절차를 예시하였고,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비례-적분-미분 제어 및 최대 출력점 추종 토크 제어기와 성능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제어 설계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a method for designing blade pitch and generator torque controllers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is presented. This method consists of two steps. First, the Lyapunov stability theory is used to obtain nonlinear control laws that can regulate the rotor speed and the power output at all operating ranges. The blade pitch controller is chosen such that it always decreases a positive definite function that represents the error in rotor speed control. Similarly, the generator torque controller always decreases a positive definite function that reflects the error in power output control. Then, the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technique is used to tune the design parameters. The controller design procedure and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using the widely adopted two-mass model of the wind turbi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