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폭력반응 및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양남영,Kim, Kyung Eun,Yang, Nam Yo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21 가정간호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nurses' experience of violence, response to viol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90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p<.001), marital status(p<.001), education level(p=.018), general clinical career(p<.001), clinical care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b position(p<.001), job satisfac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p<.001), and type of emergency department(p=.03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ursing performance and response to violence(r=-.20), wherea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ursing performance and resilience(r=.62). A total of 49% of the nursing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response to violence, resilience, and clinical care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have adjusted for ton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exposed to violence, it is necessary to both strengthen resilience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violence, as well as to provide better management of skilled nurses.

      • KCI등재

        가정형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지지와 죽음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유명숙,Kim, Kyung Eun,Yoo, Myung 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21 가정간호학회지 Vol.28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and death prepara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home care hospice patients. Methods: The study recruited 117 patients in home care hospice in four general tertiary hospitals and three general hospitals in three cit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2019 to March 31, 2020 and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IBM SPSS software version 22.0. Results: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ho live with supporters and those who do not(Z=2.96, p=.00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redictors such as family support, death preparation, and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death preparation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home care hospice patients and these variables could explain 33.7% of it.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home care hospice patients, we should develop an intervention to enhance family support and death preparation.

      • KCI등재

        조절초점과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동향 연구와 메타분석

        김경은(Kyung-Eun Kim),안지영(Jeeyoung Ahn),민예슬(Yeseul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조절초점을 주제로 발표된 국내·외 진로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초점과 관련있는 진로 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 사이 발표된 국내외 연구물들 중에서 Higgins(2000)의 조절초점이론을 바탕으로 진로 관련 변인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별연구들의 양적 연구 결과를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절초점과 관련 있는 진로 변인으로 선정된 변인들을 맥락, 성격, 성과, 욕구, 인지, 정서, 행동으로 7개 범주로 구분해 본 결과, 행동, 성과, 맥락, 인지, 정서, 욕구, 성격 순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또한 조절초점과 관련 있는 진로변인들의 상관관계가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고, 향상초점이 예방초점에 비해 긍정적인 진로변인들과 보다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향상초점의 개인에게는 먼저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강점을 활용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리라 예상된다. 또한 예방초점의 개인에게는 개인특성에 대한 이해에 앞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환경적 맥락을 파악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도록 조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리라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career-related research on the theme of regulatory focus by examining the studies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o present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its associated career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s For this aim, the trends in studies on career-related variables based on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 from 2000 to 2023 investigated. It also conducted a meta-analysis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of individual career studies, focusing on the regulatory focus. Results The career variables related to the regulatory focus are frequently utilized in the order of behavior, out-come, context, cognition, emotion, motivation, and personal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career variables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that between the prevention focus and career variables. Moreover, the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have a stronger correlation with positive career variables than the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We offered implications that to lead the regulatory fit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t is effec-tive to encourage individuals with an promotion focus to first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tilize their strengths related to their goals. Additionally, for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it is beneficial to initially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possibilities that may result in losses, and then to establish concrete strategies to minimize these losses while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경은 ( Kyung Eun Kim ),정지현 ( Ji Hyun 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ㆍ종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교사학습공동체의 연구방향, 나아가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제와 실천의 개선에 필요한 방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논문과 석ㆍ박사학위논문으로 총 46편의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논문들이다. 논문들은 연도별 연구동향, 연구 방법적 연구동향(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주제별 동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 이후 논문수가 증가하면서 현재까지 유아교사학습공동체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적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유형으로는 질적연구가 많았다. 자료의 수집은 질적자료 수집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현직교사교육관련 주제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의 논의 및 시사점에 대한 동향분석결과, 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원장의 리더쉽 강화와 행정적 지원 및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artic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on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y.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provides som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ty-six articles o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selected academic journals that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or were nominated for registration with it. The articl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year, research methods(subject, type of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and research topics.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rends by year, the number of the articles started to increase in 2010, and steady research efforts have since been direct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date. Second, concerning trends in research methods, early childhood teacher in many. In regard to the type of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dominant. In terms of data gathering, multiple measurement method made use of two or more methods to collect data. As data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prevalent. Third, in relation to trends research topics, case studies teac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laces were most common.

      • KCI등재

        18세기 프랑스의 협주곡에 관한 연구 -공공음악회 연주 작품을 중심으로

        김경은 ( Kyung Eun Kim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3 음악이론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프랑스의 기악 협주곡에 관한 연구이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으로 대표되는 비엔나 고전악파 작곡가들의 기악 협주곡은 이미 많은 연구가 되어있고 지금도 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에 비하여 동 시대의 다른 작곡가들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랑스의 기악 협주곡에 관한 학자들의 관심을 높이고 연주회에서도 이 작품들을 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논문에서 다루어지는 작품들을 선정하기 위하여 18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공공음악회인 ‘영적 음악회’의 프로그램을 정리하여 1770년부터 1790년까지 가장 많이 작품이 연주되었던 작곡가들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로 죠르노비치와 르브렝, 뒤포르 이 세 사람이 선정되었고 그들의 작품 중에서 연주가 여러 번 되었던 협주곡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작곡가들의 작품 역시 비엔나 악파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고전 협주곡의 형식구조가 사용되었고 당시 청중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비르투오조적인 기교가 화려하게 부각되었던 점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형식 구조나 기교면에서 비엔나 악파의 작품들에 비해 큰 차이가 없는 이러한 작품들에 관한 연구가 좀 더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French classical concerti that are not familiar to most of music scholars.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interests of musicologists to not well-known repertory of the 18th century because their research are lean too much towards on Viennese classical composers namely Haydn, Mozart and Beethoven. Also it is to open possibility of including new piece to concert program by presenting 18th century French concerti which were only available in separate parts instead of full orchestral score. In order to select pieces for analysis, I refer to the programs of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public concert series ‘Concert Spirituel’ of 18th century Paris. The series began in 1725 and ended in 1790, and all of its programs are listed in the book by Constant Pierre. At first, concert programs of the high classical period from 1770s to 1790 series were carefully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regularly performed concerti. As a result, three relatively unfamiliar composers` work were selected. They are Giornovichi, Lebrun and Duport. Then their representative works were analysed. Through the analyses, it is found out that their works equally show many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oncerto in terms of formal structure. Therefore, these works should be revalued in terms of formal and artistic quality and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은 ( Kyung Eun Kim ),최은희 ( Eun Hee Cho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이버폭력 피해·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전, 평택, 청주, 익산, 군산시에 거주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 1,30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사이버폭력 피해 및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격성은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이버폭력 피해·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및 부분매개역할을 하였으며, 사이버폭력 피해행동 보다 가해행동에 더 높은 영향을 미쳤다. 즉,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공격욕구가 발현되어 사이버폭력 피해자보다 사이버폭력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피해청소년에게는 다양한 치료와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adolescents` cyber violence and to define a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0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3-18 in 5 cities. They were analysed with SPSS 14.0 and AMOS 8.0 in which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tiliz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youth cyber violence. Second, agg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youth cyber violence. And aggression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cyber violence perpetration than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That is, a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as higher, youth became more violent perpetrator than victim by increasing aggression on the cyber space. The results highlight that countermeasures and programs which are reducing and preventing of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cyber violence are nee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성지도의 역사

        김경은(Kyung Eun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5 No.-

        본 논문은 영성지도의 역사에 대한 연구로서 영성지도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초기 사막 전통에서부터 현대 영성지도에 이르기까지 영성지도의 역사를 개관하면서 영성지도자는 누구이고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오랜 영성지도 역사에도 불구하고 영성지도자에 대한 공유된 인식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각 시대와 전통에 따라 특징적인 변화의 모습도 보여준다. 초기 기독교 사막의 영성 추구전통에서 시작된 영성지도는 사막 수도자들의 스승으로 알려진 압바(abba)와 암마(amma)라는 영성지도자 모델을 갖고 있다. 영성지도의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압바와 암마 전통은 영성지도자의 모범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영성지도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공유된 인식의 근거가 된다. 영성지도자는 내적 은사와 경험, 학식과 소질을 가지고 기도와 영적인 일에 관해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이다. 따라서 성령의 활동에 민감하며 영적 분별력을 가지고 피지도자의 선택과 결정을 도와야 한다. 한편, 초기 영성지도에 비해 현대의 지도자와 피지도자 관계는 권위적이기 보다는 상호적 관계로 발전되었고, 수도자 양성 중심에서 평신도의 영적 성장을 돕는 사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초기의 영성지도가 지도자 자체에 대한 신뢰와 순종이었다면 오늘날에는 영성지도자의 역할, 즉 분별력과 판단력을 존중한다. 지도자의 은사가 중요했던 초기 영성지도는 수도원제도와 규칙에 의존한 영성지도의 시기를 거쳤다. 그러나 평신도들의 영적 추구와 평신도 영성지도자의 사역이 활발해지고 있는 현대에는 다시 은사중심의 영성지도가 강조된다. 따라서 성직자냐 평신도냐가 아니라 영성지도자의 은사와 사역의 열매가 영성지도의 중요한 미덕으로 간주된다. 평신도 영성지도자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는 한국의 영성지도 현장에서도 은사중심의 영성지도가 재조명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 모델과 현대적 모델의 상호 보완을 통해 영적 여정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갈망에 다양하게 응답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오늘의 시점에서 은사와 훈련이 잘 조화된 영성지도자들의 탄생과 활동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후보

        자아 강화를 하는 여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김경은(Kim Kyung Eun)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7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가에 대수술을 경험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잦은 병치레로 오랫동안 입원을 하는 등 안정적으로 초기 애착을 형성할 기회를 놓쳤던 여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이다. 성장하면서 지속된 집단 따돌림 등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여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게 되었다. 총 20회기의 모래놀이치료가 진행되었고,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내담아동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정서 및 환경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모상담을 9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춘기 전 단계의 여아가 모래놀이치료 과정을 통해 자아를 강화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20회에 걸쳐 진행된 모래놀이치료 과정은 모성콤플렉스와의 직면 단계, 무의식으로의 퇴행 단계, 통합 및 수용 단계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아동에서 사춘기로 전환하는 여아가 자아 강화를 어떠한 과정으로 나타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사례연구라 하겠다. This study is a Sandplay therapy case of a child client who underwent a major surgery during her infancy after being born as a premature baby and was continuously hospitalized for a long time due to frequent bouts, thereby missing opportunities to stably form early attachment and growing while struggling solely for survival. Since the Clint appeal th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peer group because of continuously bullying, we applied the Sandplay therapy. The Sandplay had proceed for 20 sessions, counseling on her mother was conducted for nine sessions in order to examine how mental and environmental changes occurred in her ordinar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ego-strengthening of the child client before the stage of puberty.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conducted over a total of 20 sessions was divided into the stage of facing maternal complex, the stage of degeneration into unconscious, and the stage of integration and acceptance. Thus, this is meaningful case study that Sandplay can show establishing ego identity of a girl who is in transition from stage of childhood to the stage of puberty.

      • KCI등재

        대학생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김경은(Kyung-Eun Kim),라영안(Young-An 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대학생이 진로결정 만족감에 이르게 되는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고자 인지적 요인(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행동적 요인(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정서적 요인(진로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전국의 10개 4년제 대학의 재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주요변인들 간의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과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나 진로만족이 높고,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진로만족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나이, 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통제했을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개인의 진로만족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진로준비행동 촉진에 초점을 두고 상담 및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factor(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havioral factor(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motional factor(career satisfaction).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impa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atisfac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For this aim, 294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were measured. Uni-variate, bivariate, and hierarchical mult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Baron and Kenny(1986)’s mediation test procedure and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This means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ould be able to lead higher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when demographic variables(age, 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controlled, we found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s We offered implications that to lead the higher levels of caree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t would be important to focus on increasing their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