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기반의 그룹 오피스 시스템 구현

        김경록,송석일,곽윤식,Kim Kyoung-Rok,Song Seok-Il,Kwak Yoon-Si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3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웹 하드디스크보다 쉽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고, 웹에서의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좀 더 간편하게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웹 스토리지 기반의 그룹오피스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웹스토리지는 다수의 스토리지 서버가 모여서 구성되는 분산 시스템이다 이 웹스토리지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서비스해 주는 서버를 달리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보다 빠른 스토리지 서비스가 가능하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distributed web-storage and a group office system based on the distributed web-storage. It is easier to customize the proposed group office according to user's demands than existing web-based applications. Our proposed web-storage is distributed system which consists of multiple storage servers. The web-storage provides storage with considering the user's location so as to provide fast storage service.

      • KCI등재

        디지털 인상법과 전통적 인상법의 정확도 비교: 체계적 고찰

        김경록,서권수,김선재,Kim, Kyoung-Rok,Seo, Kweonsoo,Kim, Sunjai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3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 및 인상의 정확성에 관한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법이 전통적인 인상법을 대체할 만한 정확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7년 8월 1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출판된 영어로 쓰여진 연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상법의 정확성에 대한 문헌을 MEDLINE/PubMed 전자 검색 및 수기탐색을 시행하였다. 조건에 따라 선택된 연구의 데이터를 스프레드 시트에 2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총 35개의 연구가 선택되었고, 26개의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성을 비교하였고 9개의 연구는 보철물 없이 스캔 데이터를 통해 인상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보철물을 이용해 인상법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결론: 본 고찰에 따르면 자연치열에서 디지털 인상법으로 단일관이나 근원심으로 길이가 짧은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충분히 신뢰할만한 하다. 그러나 디지털 인상법으로 길이가 긴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은 연구가 적어 아직 한계가 있다.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에 있어서 구내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법으로 전통적인 인상법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아직 어렵다.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literatures on the suitability of prostheses and accuracy of obtained impressions to see if digital impressions using intraoral scanners can replace traditional impressions. Materials and methods: A MEDLINE/PubMed search and manual search was performed for studies written in English about accuracy of digital impression published in dental journals from August 1, 1997, to July 31, 2017. Depending on criteria, the data for the selected articles were independently organized into standardized spreadsheets by 2 reviewers. Results: Among the total 35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re were 26 studies comparing the suitability of prostheses, and 9 studies comparing the accuracy of impressions through scan data without prostheses. Most studies used prostheses to compare the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s. Conclusion: This review suggests that making single crown or mesio-distally short prostheses with digital impressions is clinically reliable in natural teeth.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 to making mesio-distally long prostheses with digital impressions from the lack of related studies. Digital impression cannot fully replace traditional impressions in implant prostheses yet.

      • KCI등재
      • 텐서플로우를 이용한 비디오 사용자 분석을 위한 클러스터링 방안

        김경록(Kyoung-Rok Kim),배수진(Su-Jin Bae),우윤식(Yun-Sik Woo),이현섭(Hyoun-Sub Lee),김진덕(Jin-Deog K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3 No.2

        본 논문은 Tensorflow를 활용하여 비디오를 시청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그리고 나이, 관심 분야, 학과, 사용자 로그 파일(시청 시간)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를 여러 그룹으로 나누는 방안을 소개한다.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검색기능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수 있도록 클러스터링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별과 관심 분야를 수치화하는 것을 먼저 다룬 후, 다양한 클러스터링 방안 중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치화된 정보를 분석해 집단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K-means는 성별과 나이, 관심 분야 데이터들이 3차원 공간에 자리 잡게 되고 중심점 개수를 지정하여 각 점 간의 거리의 합이 가장 최소가 되는 중심점 n의 위치를 정한다. 이 중심점에 가까운 점들을 중심점을 기준으로 묶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으로 다른 클러스터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포신 길이와 탄약 압력에 따른 포신 내부 유동 특성 연구

        정희철(Hee-Chur Jung),김경록(Kyoung-Rok Kim),강요한(Yo-Han Kang),반영우(Young-Woo Ban),정덕형(Duck-Hyeong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논문은 포신의 길이 및 발사되는 탄약의 압력에 따른 포신 내부 및 배연기의 유동 특성에 대한 연구 내용이다. 탄약 설계 전 포신길이 및 탄약 압력에 따른 배연기의 유동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탄약 운용 간 발생할 수 있는 Flareback 현상을 사전에 예방 할 수 있으며, 기존 탄약의 설계 요소인 속도, 정확도, 관통성능, 사거리 외에 운용성 향상을 위한 포신과 탄약의 호환성이 탄약 설계의 주요 요소임을 추가로 도출하였다. 유동 해석 수행 결과 포신 길이가 길고, 사격되는 탄약의 압력이 낮을수록 포신의 배연기 작동시간이 느려져 전투차량 내부로 추진제 가스가 들어올 확률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인 된 포신 길이 및 탄약 압력에 의한 배연기 유동 특성 상관관계 해석 기법은 신규 탄약 설계 시 운용성 향상을 위한 주요 요소로 고려되어 탄약의 무게 결정과 추진제 압력 선택에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tank barrel inner flow according to the barrel length and the pressure of ammunition when fired. By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bore evacuator according to barrel length and ammunition pressure regarding ammunition desig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reback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ammunition operation. Through bore evacuator flow analysis by barrel length and ammunition pressure, we identified key design factors concerning barrel and ammunition compatibility including speed, accuracy, penetration performance and range. Test results found if barrel length is long and ammunition pressure is low, bore evacuator operation time is slow. Therefo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propellant gas will enter the battle vehicle. Therefore, the correlation analysis method of bore evacuator flow characteristics based on barrel length and ammunition pressure is considered as a primary method to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When designing new ammun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method will be used to determine ammunition weight and select the propellant pressure.

      • KCI등재

        의치사용자의 구강건강, 의치관리 및 의치건강보험 인식에 대한 실태 조사

        김선재,김성균,노관태,안수진,백상현,김지환,유동기,김경록,권긍록,Kim, Sunjai,Kim, Seong-Kyun,Noh, Kwantae,Ahn, Su-Jin,Baik, Sang-Hyun,Kim, Jee-Hwan,Yoo, Dong-Ki,Kim, Kyoung-Rok,Kwon, Kung-Roc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4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understand the incidence, prevalence of denture stomatitis in denture wearers, who were over 60 years old, and use the results for a fundamental data to promote public awareness about denture stomatitis and its education tool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1 to September 8 2017, 500 denture wearers, who were more than 60 years old in Seoul and 4 other metropolitan cities (Busan, Daegu, Gwangju, and Daejeon), receiv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denture wearers' demographic distributions, specific dental treatment experiences, discomforts with current dentures, their oral health conditions, and the method of denture cleansing. Results: Thirty-two percent of 500 denture wearers responded that they have healthy oral conditions. Two hundred and eight respondents (41.6%) were aware of denture stomatitis. Only 131 (26.2%) were informed about the removable denture cove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327 (65.4%) of denture wearers were using the improper denture cleansing methods. Conclusion: A large number of denture wearers still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per treatment for denture stomatitis, insurance covered denture treatments, and adequate denture cleansing methods. 목적: 60세 이상의 의치사용자를 대상으로 구강 건강 상태, 의치 사용 및 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올바른 의치 사용과 관리 중요성의 대국민 홍보 및 인식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의치사용자의 구강건강상태, 의치성 구내염 현황 및 의치관리상태에 대해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8일까지 서울 및 4대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서 60세 이상 남녀 중 현재 의치(총의치, 국소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자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는 각 항목들에 대해 개별 면접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사용된 조사 항목은 응답자의 특성 8문항, 틀니 사용 현황 및 불편 경험 6문항, 구강 건강 상태(의치성 구내염 여부) 12문항, 틀니 관리 현황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연구대상 의치사용자 중 161명(32.2%)은 본인의 구강 상태가 건강한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111명(22.2%)은 보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의치성 구내염은 208명(41.6%)에서 인지하고 있었다. 의치건강보험제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26.2%(131명)만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의 65.4%(327명)의 의치사용자가 잘못된 의치 관리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의치사용자의 많은 수가 구강건강, 의치관리 및 의치건강보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코일의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및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연구

        정희철(Hee-Chur Jung),서정화(Jung-Hwa Seo),김경록(Kyoung-Rok Kim),김명현(Myung-Hyun Kim),구자춘(Ja-Chun K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논문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에너지 및 데이터 전송에 대한 것이다. 무기체계는 실제 사용되는 시간에 비해 상당히 오랜 시간을 저장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탄의 전원공급원으로 주로 사용되는 보존형 전지의 경우 이러한 장기저장 동안 점차 본연의 특성을 잃게 되어 막상 사용할 시점에는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 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장기간 저장에 따라 발생하는 신관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원공급원을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신관 사용 직전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유도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 하였다.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통신에 있어 시스템에 따른 가장 적합한 캐리어 주파수 설정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유도 전원의 통신 방식도 기존 FM, AM 변조 방식 대비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듀티비 변조방식을 적용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유도코일이 기존 신관의 전원을 문제 없이 대체 할 수 있으며, 유도 코일이 전자식 신관의 전원 공급 장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ncerns the transmission of energy and data us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ue to the requirements of weapon systems, most arms are kept in an armory for a very long time before being used. During this time, the reserve battery, which serves mostly as a power supply for the electronic fuze, can be degraded, thus causing problems when it is actually needed. We attempt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old fuze system caused by long-term storage by using the 'induction power' transmitted from another device just before its operation, instead of using 'built-in power'. We tried to find the best carrier frequency to communicate with the system b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lso, we changed the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the 'induction power' from 'FM/AM modulation' to 'Duty ratio modulation', which can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in a short time. Through experimen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nduction coil can replace the reserve fuze's battery without any problem, thu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using an induction coil as the power supply source of the electronic fu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