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경상분지 남서부 와룡산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의한 화강암류의 조성변화

        김건기(Kun Ki Kim),김종선(Jong-Sun Kim),좌용주(Yong-Joo Jwa) 한국암석학회 2005 암석학회지 Vol.14 No.1

        와룡산 일대에 암주상으로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는 고도에 따른 수직적인 조성변화를 보인다. 이들 화강암류 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염기성 미립 포유암들이 산출되며, 과냉각대, 망토조직, 그리고 벡베이닝 등과 같은 마그마 혼합의 뚜렷한 증거들이 나타난다. 화강암류는 암석기재적 특징과 모드분석결과로 부터 반상화강암, 반상화강섬록암, 그리고 세립질화강암으로 세분되며, 염기성 미립 포유암은 석영섬록암, 석영몬조섬록암, 그리고 토날라이트 조성을 가진다. 화강암류 내에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분포 면적비는 반상화 강암이 10-15%, 세립질화강암이 약 20%, 그리고 반상화강섬록암이 약 50% 정도로 반상화강섬록암에 집중되어 분포한다. 화강암류 주성분 원소 분석결과를 하커변화도에 도시해 보면 반상화강섬록암에서 세립질화강암으로 가면서 선적인 변화경향을 보이며, SiO₂ 함량은 61.2-72.0wt.%의 조성변화를 보이며, 반상화강섬록암은 평균 61.7wt.%, 반상화강암은 평균 68.6wt.%, 그리고 세립질화강암은 7l.9wt.%의 조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조성의 변화는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의한 것으로 매픽 마그마의 양적인 비율에 따른 혼합 정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픽 마그마의 양이 많은 부분에서는 열적 평형에 빨리 도달하여 화학적 혼합에 의한 반상화강섬록암의 조성이 우세하고, 매픽 마그마의 양이 적은 부분은 기계적인 혼합에 의한 반상화강암과 세립질화강암의 조성이 우세한 것으로 고찰할 수 있다. 따라서 와룡산 일대 화강암류는 화강암질 마그마가 어느 정도 결정분화된 단계에서 보다 매픽한 마그마의 주입으로 인해 마그마 불균질 혼합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혼합된 두 마그마의 양적인 비율에 의해 화강암류의 조성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the Waryongsan area occur as a stock and show compositional changes with altitude. They include mafic microgranular enclaves (MME) with various sizes and types. The MMEs present clear evidence of magma mingling such as supercooling zone, mantling texture and back veining. The granitic rocks are divided into porphyritic granite, porphyritic granodiorite and fined-grained granite by their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dal compositions. The MMEs are discriminated to quartzdioritie, quartzmonzodiorite and tonalite. They have varying areal proportions in each granitic rock-type: 10-15% in the porphyritic granite, about 50% in the porphyritic granodiorite, and about 20% in the fined-grained granite. Si02 contents shows compositional change of 61.2-72.0wt.%. Mean Si02 contents have 61.7wt.% in the porphyritic granodiorite, 68.6wt.% in the porphyritic granite, and 71.9wt.% in the fined-grained granite, respectively. Major oxide contents of the granitic rocks linearly vary with Sial contents from the porphyiritic granodiorite to the fine-grained granite on Harker diagrams. Linear compositional variations seem to have been caused by differential degrees of mingling between mafic magma and host granite. Where larger amount of mafic magma was injected into the host granitic magma, the two magmas reached to thermal equilibrium more quickly and eventually chemical mixing occurred to produce the composition of the porphyritic granodiorite. On the other hand, less amount of injected mafic magma would have been responsible for mechanical mixing to produce the compositions of the porphyritic granite and the fined-grained granit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granitic rocks in the Waryongsan area experienced magmas mingling resulting from the injection of more mafic magma into differentiating granitic magma, and that the compositional changes of the granitic rocks were ascribed to the degree of mingling between the two magmas.

      • KCI우수등재

        전암대자율 특성과 SHRIMP 저어콘 U-Pb 연대 측정을 통한 국내 석재와 중국 유사석재의 비교 연구

        김건기(Kun-Ki Kim),좌용주(Yong-Joo Jwa),홍세선(Sei-Sun Hong),이기욱(Ki-Wook Lee) 한국암석학회 2015 암석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는 석재의 암석학적 특징과 전암대자율 특성을 이용하여 국내 석재와 중국 유사 석재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석재와 중국 유사 석재에 대하여 저어콘 U-Pb 연대를 측정하여 관입시기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구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암석학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현미경하에서 광물조성과 조직의 차이를 보이는 마천석과 보령석을 제외하고, 색상, 조직, 그리고 광물조성에서 국내석재와 중국 석재는 거의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전암대자율 측정결과, 고흥석, 익산석, 포천석은 중국석재와 유사하며, 다른 석재들은 전암대자율 측정을 통해 쉽게 구별된다. 거창석, 익산석, 그리고 포천석의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 쥐라기 화강암에 해당하며, 중국 유사 석재인 G603, G633, G655은 백악기 화강암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들은 연대측정 결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This study used the petrological features and the whole rock susceptibility characteristics suggest ways to determine the domestic dimension stones and Chinese similar dimension stone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 the intrusive period by measuring the zircon U-Pb age of these stones. Result of comparing the petrological feature, with the exception of Macheon stone and Boryeong stone to show the differences in mineral composition and texture under a microscope, the domestic dimension stones and Chinese similar dimension stones exhibit substantially the same petrological featur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for the whole rock magnetic susceptibility, Goheong, Iksan, Pocheon stones are the similar as Chinese dimension stones, and other stones are easily distinguished. The zircon U-Pb age results for Geochang, Iksan, and Pocheon stones are equivalent to the Jurassic Daebo granites and G603, G633, G655 are the Cretaceous granites. Therefore, the domestic dimension stones and Chinese similar dimension stones can be clearly determined by the zircon U-Pb age results.

      • KCI등재후보

        무등산 주상절리대의 사면 안정성 평가와 모니터링 방안

        김종선(Jong-Sun Kim),김건기(Kun-Ki Kim),강무환(Moo-Hwan Kang),허민(Min Huh)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무등산에서 가장 보존 가치가 높은 지질명소는 무등산에 분포하는 주상절리대이다. 하지만 현재의 너덜 경사면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주상절리들은 붕괴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 파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등산 주상절리대의 지질재해 잠재 지역을 파악하고 암반 사면의 안정성 평가를 통해 붕괴 가능성을 예측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주 탐방로에 인접한 가파른 경사면에 대한 안정성 평가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암반 사면은 지표지질조사와 UAV(무인항공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불연속면의 경사방향/경사각 데이터는 무인항공기 촬영결과로부터 3D 모델링을 통해 획득하였다. 이들 자료에 기초하여 안정성 평가를 통해 재해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무등산 주상절리대 경사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질재해의 종류와 범위를 예측하고 복구, 강화, 모니터링 전략을 제안하였다. 관리 계획으로 능동적 조치와 수동적 조치(위험 회피)가 있을 수 있으나, 방문객의 안전, 국립공원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경관을 고려한 보수 및 보강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most remarkable geosite in the Mudeungsan is colonades of columnar joints in Mudeungsan Mountain.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current talus slop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columnar joints have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destroy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eohazard risk areas distributed within the Mudeungsan an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collapse through the stability evaluation of rock slope and also to propose monitoring and management plan. First, a field trip has been conducted to select the stability evaluation area for the steep slopes adjacent to the main geotrail. The rock slope was examined using surface geological survey and UAV (Unmanned Aerial Vehicle). The dip direction/dip angle data of the discontinuity surface is obtained through the 3D modeling of the result. Next, based on this data, the possibility of geohazard was evaluated through stability 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dicted the types and extent of possible geohazard on the slope of the Mudeungsan and suggested recovery, reinforcement and monitoring strategies. Although there may be active measures and passive measures (avoidance of risk) as management plan, we would like to recommend passive measures considering the safety of visitors and the landscape of National park and UNESCO Global Geopark.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남한의 백악기-제3기초 화강암과 마그마 혼합

        김종선(Jong-Sun Kim),김건기(Kun-Ki Kim),좌용주(Yong-Joo Jwa),손문(Moon Son)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2

        한반도 남부의 백악기-제3기초 화강암의 암석학적 특징과 연대측정 자료들을 종합하여 시공간적 변화를 반영하는 지구조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여러 암석기재와 지화학적 연구결과로부터 이들 화강암류는 대륙 연변부에서 해양지각의 섭입에 의해 형성된 마그마 기원으로 지각 천처에서 정치된 특징을 보인다. 또한 화강암류 내에는 고화과정 중 맨틀에서 유래한 염기성 마그마의 주입에 의한 마그마 혼합을 지시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MME들이 분포한다. MME의 분포와 화강암의 연령자료를 함께 살펴보면 시공간적으로 일정한 시기의 것들이 일정한 지역에 한정되어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후기 백악기의 이자나기-태평양판의 해령섭입으로 인한 다중 슬랩 윈도우 모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Based on the petrologic and age data of the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es in south Korea, we propose a new tectonic model reflecting thei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 number of petrographic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granites suggest that they originated from the magma formed by subduction of oceanic crust in continental margin and were emplaced in epizone. The MMEs with various shapes and sizes, which were produced due to the magma mixing caused by the injection of mafic magma from mantle during the crystallization of the granitic magma, are observed in the granites. The distributions of the MMEs and ages of the granites show a distinctiv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The distribution pattern can be explained by a multiple slab window model related to the ridge subduction of Izanagi-Pacific plates during the Late Cretaceous.

      • KCI우수등재

        경상분지 화강암류에서 발견되는 엔클레이브(포유암)에 대한 암석기재적 연구

        김종선(Jong-Sun Kim),김건기(Kun-Ki Kim),좌용주(Yong-Joo Jwa),이준동(Joon-Dong Lee) 한국암석학회 2004 암석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 내에 산출되는 ‘엔클레이브’를 ‘포유암’으로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경상분지 화강암 내에 산출되는 심성암, 화산암, 퇴적암의 포획암과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암석기재학적 연구를 통하여 포유암의 종류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색깔은 짙은 회록색-암회색으로 입자크기는 세립의 등립질이며, 외형은 대체로 타원형이 우세하고, 분포는 화강암체의 전반에 분포하며, 접촉변성작용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획암은 각진 형태가 보편적이며, 주변에 포획암의 모암이 존재하고, 관입접촉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접촉변성작용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심성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는 야외에서 각진 외형, 조립의 입자크기 등에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경하관찰에 의하면 접촉변성 작용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리고 응회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도 야외에서 각진 외형과 반상조직을 보이고, 경하에서 회산쇄설암의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퇴적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는, 포획암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화강암이 층리면을 따라 주입되어 층리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경하관찰에 의하면, 접촉변성작용에 의한 변성광물의 출현과 더불어 퇴적암의 조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포획암은 일반적으로 색깔, 외형, 입자크기, 구조 등으로부터 야외에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쉽게 구별이 가능하며, 작은 크기의 퇴적암인 경우에는 변성광물 조합과 조직의 현미경관찰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구별이 가능하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the 'enclaves' which occur in the granites should be translated into 'Po-yu-am' in Korean. Also we suggest some criteria to discriminate the mafic microgranular enclaves (MME) of igneous origin from the xenoliths, which possibly come from the plutonic, volcanic and sedimentary country rocks. The color of the MME is gray green-dark gray and the mineral grains are fine and equigranular. The MME are generally of ellipsoidal shape and can be easily found within the granites. They do not show any evidence of contact metamorphism by granite host. On the other hand, the xenoliths are generally of angular shape and are of the same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as the country rocks around the granites. The distribution of the xenoliths is mostly concentrated along the intruding plane of the granites near the country rocks. The xenoliths were partly metamorphosed by the granite intrusion. The xenoliths from the plutonic rocks ar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MME in terms of their angular shape and coarser grain size, but they do not have any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The xenoliths from the tuffaceous rocks show angular shape and porphyritic and pyroclastic textures. Large size xenoliths from the sedimentary rocks specifically preserve bedding structure which are indicative of the sedimentary strata. However, the sedimentary xenoliths of small size are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MME. Metamorphic minerals and texture are a useful key to discriminate the small-sized sedimentary xenoliths from the MME. In summary the xenoliths in the granites can be megascopically distinguished from the MME by comparing their color, shape, grain size and remnant original structure like bedding. Additionally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are microscopic discriminators between the xenoliths and the MME in the granites.

      • KCI등재

        KS F 2545와 ASTM C 1260 시험법에 따른 알칼리골재 잠재가능성에 관한 연구

        백철승,서준형,김영진,조계홍,김건기,이진영,Baek, Chul-Seoung,Seo, Jun-Hyung,Kim, Young-Jin,Cho, Kye-Hong,Kim, Kun-Ki,Lee, Jin-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0 資源 리싸이클링 Vol.29 No.2

        Chemical experiment KS F 2545 and Physical experiment ASTM C 1260 has been accomplished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alkali aggregate. Used for testing aggregate samples are forest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which collected in Gangwon province Samcheok and Pyeongchang, Jeollabuk province Gimje and Kochang, and Gyeongsangnam province Goryeong. As the results of chemical experiment confirmed that if silicate rock and carbonate rock are mixed, reduction in alkalinity is increase. So it has been identified that case makes a disturb at the result of alkali aggregate reaction. In 9 out of the 62 aggregate samples check dissolved silica exceeding 100 mmol/ℓ. and mortar bar length increase rate confirmed that 5 of 9 chemical method aggregates were 0.1~0.2% and 2 aggregates were 0.2%. As a result of the alkaline aggregate reaction test using the chemical method and the mortar bar method, the aggregates showing alkali aggregate reaction are sandstone and tuff aggregates. Therefore, Alkali aggregate reaction tests are required to use clastic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pyroclastic rocks aggregates.

      • KCI우수등재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좌용주(Yong-Joo Jwa),김건기(Kun-Ki Kim),고석배(Seok-Bae Ko),김종선(Jong-Sun Kim) 한국암석학회 2006 암석학회지 Vol.15 No.3

        감은사지삼층석탑(국보 제112호)은 구성부재의 훼손으로 인해 빠른 시간에 보수되어야 하는 위기의 석조문화재이다. 이 연구에서는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을 이루고 있는 부재들에 대한 각각의 암석기재적인 특징, 대자율 및 감마스펙트로미터를 측정하여 석탑에 사용된 부재들의 공급지를 추정하였다. 감은사지서탑의 석재는 기재적으로 세립질의 석기에 흑운모 석영, 장석 등의 광물편의 함량이 많은 유리-결정질 응회암 또는 결정 응회암으로 분류된다. 대자율 측정결과, 이들은 10-20(×10-3 SI unit) 정도의 값을 가지며, 감마스펙트로미터 측정결과 K는 3%, eU는 0-8 ppm 그리고 eTh는 9-18 ppm의 함량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은 주변암석들 중에서 감은사지서탑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시자가 된다. 감은사지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 중에서 기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감은사지서탑의 석재와 가장 유사한 암석은 와읍분지 내 범곡리 층군에 포함된 데이사이트질 화산암류이다. 이 화산암류는 암석층서적으로 다시 와읍리응회암, 용동리응회암 그리고 범곡리화산암류로 구분된다. 세 암석 중에서 감은사지서탑의 석재와 가장 유사한 암석은 범곡리화산암류의 결정 응회암으로 판단되며 이 석탑의 건축시에 이 결정 응회암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112) has been damaged mainly by fracture, exfoliation and granular dis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was examined in terms of petrological featur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γ-ray spectrometer. The stones include abundant crystal fragments of biotite, quartz and feldspars in the fine-grained matrix; they are petrographically discriminated to vitric-crystal tuff or crystal tuff. Measured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are of from 10 to 20 (×10-3 SI unit). From the γ-ray spectrometer measurement K, eU, and eTh contents of the stones are about 3%, 0 to 8 ppm, and 9 to 18 ppm, respectively. These features are used as indicators to presume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Comparing the petrograph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tones of the west stone pagoda and the country rocks near the Gameunsaji temple site,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similar country rock to the stones could be dacitic volcanic rocks of the Beomgokri group in the Waeup basin. The Beomgokri group is lithostratigraphically divided into Waeupri tuff, Yongdongri tuff, and Beomgokri volcanic rocks. Among the three rocks, the crystal tuff of the Beomgokri volcanic rocks seems likely to have been the source rock of the stones of the west stone pagoda.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의 스위트/슈퍼스위트 분류

        좌용주(Yong-Joo Jwa),김종선(Jong-Sun Kim),김건기(Kun-Ki Kim) 한국암석학회 2005 암석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 스위트와 슈퍼스위트의 개념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을 대상으로 시공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화강암체들을 계층적으로 구분하였다. 옥천대(서부 영남육괴)의 트라이아스기 화강암 중에서 백록화강암과 점촌화강암은 하나의 백록 스위트로 지정되며, 청산 화강암은 청산스위트로 지정된다. 이 두 스위트는 근원물질의 유사성과 기재적 및 지구화학적 상이성 등으로부터 하나의 슈퍼스위트, 즉 백록 슈퍼스위트로 묶을 수 있다. 경상분지의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인 영덕화강암, 영해화강암, 청송 화강암은 각각 독립적인 영덕 스위트, 영해 스위트, 청송 스위트로 지정된다. 이 세 스위트는 근원물질의 유사성과 기재적 및 지구화학적 상이성 등으로부터 하나의 슈퍼스위트, 즉 영덕 슈퍼스위트로 묶을 수 있다. 서부 영남육괴의 백록 슈퍼스위트와 경상분지의 영덕 슈퍼스위트는 Nd-Sr 동위원소 특징에서 아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두 슈퍼스위트를 만든 화강암질 마그마의 근원물질이 서로 달랐음을 지시한다. 백록 슈퍼스위트는 그 근원물질이 영남육괴를 이루는 지각물질들 사이의 혼합으로 설명되는 반면, 영덕 슈퍼스위트의 근원물질은 결핍된 맨틀과 영남육괴 지각물질의 혼합으로 설명된다. 동시기 화성활동의 산물인 백록 슈퍼 스위트와 영덕 슈퍼스위트에서 화강암질 마그마의 근원물질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마그마 생성의 장소가 지체구조적으로 상이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Using the concept of granite suite/supersuite we hierarchically divided the Triassic granites in South Korea which have spatio-temporally close relationships each other. Among the Triassic granites in the Okcheon belt (western Yeongnam massif), the Baegrok granite and the Jeomchon granite can be grouped into one suite, the Baegrok suite, whereas the Cheongsan granite into the Cheongsan suite. These two suites can be grouped again into a larger supersuite, the Baegrok supersuite,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in the source rocks and the contrasts in the petrograph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ree Triassic granites in the Gyeongsang basin - the Yeongdeok granite, the Yeonghae granite, and the Cheongsong granite - can be grouped into the Yeongdeok suite, Yeonghae suite and Cheongsong suite, respectively. These three suites can be grouped again into a larger supersuite, the Yeongdeok supersuite,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in the source rocks and the contrasts in the petrograph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Nd-Sr isotopic signatures for the Baegrok supersuite are quite distinct from those for the Yeongdeok supersuite, indicating that the source materials of each granitic magma were not identical. The source rocks for the Baegrok supersuite are thought to be a mixture of two crustal components of the Yeongnam massif, whereas those for the Yeongdeok supersuite to be a mixture of the depleted mantle with the crustal components of the Yeongnam massif. The fact that the two contemporaneous granite supersuites were derived from the different sources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of the tectonic environments where the granitic magmas were produced.

      • KCI우수등재

        대자율이방성(AMS) 분석을 통한 석재 결의 파악

        조형성(Hyeongseong Cho),김종선(Jong-Sun Kim),김건기(Kun-Ki Kim),강무환(Moo-Hwan Kang),손영관(Young Kwan Sohn),이윤수(Youn Soo Lee),좌용주(Yong-Joo Jwa),손문(Moon Son) 한국암석학회 2015 암석학회지 Vol.24 No.3

        화강암 석산에서는 ‘결’이라고 지칭되는 분리되기 용이한 면을 따라 채석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의 방향성과 발달 특징은 채석의 효율성과 관련되므로 석산에서 채굴방향을 결정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부 거창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 석산(JS기업, SD개발, AR석재, GD산업, BW무역, MD기업사)들을 대상으로 대자율이방성 방법을 적용하여 석재의 자기미세구조를 해석하였으며, 이로부터 석재 결과의 연관성 및 파악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평균대자율 분석, 고온대자율 실험 그리고 자기이력곡선 분석 결과, 화강암 석재의 대자율이방성을 지배하는 주자성광물은 티탄함량이 적은 다자구 및 위단자구의 자철석으로 해석된다. 대자율이방성 측정 결과, 6개 석산 모두에서 체계적인 방향성의 자기엽리구조가 발달하며, 자기엽리구조는 대부분 거의 수직에 가까운 고각의 경사를 가진다. 자기엽리구조는 대부분 석산에서 석재의 2번 결과 매우 유사한 방향성을 보인다. 예외적으로 다른 석산에 비해 PJ 값이 높아 미세구조의 발달이 현저한 BW무역에서의 자기엽리구조는 1번 결과 거의 평행하다. 이상의 결과들은 화강암 석재의결은 광물결정들의 모양 및 배열상태, 즉 암석미세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지시하고 있어, 대자율이방성을 이용한 자기미세구조 분석은 석재 결의 방향성을 측정하는 정량적이고 효과적인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In granite quarry, stones are generally quarried along easily separating planes called as ‘rock cleavage’. Becaus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 are directly involved with easy quarrying, i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selecting a direction of digging. Using AM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we attempt to interpret rock fabrics in Geochang Granite Stone (JS, SD, AR, GD, BW, MD quarry) and discuss about determination of rock cleavage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rock fabrics and cleavages. Based on mean susceptibility, thermo-susceptibility curves, and hysteresis parameters, Ti-poor MD and/or PSD magnetites are the main contributor to AMS of the granite stones. The systematic magnetic foliations with sub-vertical dip angle are developed in the whole granite quarries. In most of the granite quarries, the magnetic foliations are significantly consistent with grain plane. In the BW quarry, which has higher PJ values than the others, the magnetic foliations coincide exceptionally with rift pla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ck cleavages in granite stone are related to rock fabrics meaning shape and spatial arrangement of crystals. Magnetic fabrics analysis using AMS method, therefore, can be a quantitative and effective tool for determination of rock cleavages in granite quar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