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현실을 활용한 교통 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강호,이대웅,Kim, Kang-Ho,Rhee, Dae-Wo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12

        본 연구에서 우리는 혼합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교통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사고의 위험에서 스스로 방어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Zetton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어린이 교통사고 중 사망률이 높은 사고 유형을 분석해 학습 목표를 정하였고, 목표 달성을 재미있게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플레이어는 여러 교통상황을 정해진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신호체계와 교통정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체험 중심 콘텐츠가 되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교육 효과성 검증을 위해 방과 후 교육 활동으로 어린이들에게 교통안전교육을 했다. 그 결과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과 학습 목표와 관련된 질문에 올바른 대답 빈도가 높아졌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Zetton Children's Traffic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using mixed reality to help children experience a variety of traffic situations indirectly and to help them defend themselves from accidents. We analyze the types of high mortality child traffic accidents to set learning goal. And we developed the experience-oriented contents that players could acquire signal systems and traffic information naturally and funny in the course of playing scenarios according to designed various traffic situations. In order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pplication, children were given traffic safety education through after-school education activit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frequency of right answers to questions related to traffic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objectives is increa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약산업의 기업특성이 판촉비지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강호 ( Kang Ho Kim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2 세무회계연구 Vol.0 No.31

        본 연구에서는 기업특성(규모, 매출액 등)이 판매촉진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실증연구를 위한 표본대상기업으로는 국내 제약산업 중 코스피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 추출기간은 2002년에서 2010년이다. 변수의 측정 대상기업 수는 73개 기업이며, 최종 회귀분석에서는 관찰치는 630개를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먼저, 기업규모(SIZE)에 대한 회귀계수는 5%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부호를 나타내어 기업규모가 클수록 판촉비 지출액은 감소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당기의 매출액(SALE)에 대한 회귀계수는 1%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가 나타내어 판매촉진비 지출이 매출수익과 체계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중소기업더미(SMALL)의 회귀계수는 1%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부호를 나타내어 기업규모가 클수록 판매촉진비 지출액은 감소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업원 수로 측정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판매촉진비 지출비율에 유의한 차이는 총자산 규모로 구분한 회귀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용한 연도더미(YD)에서 산업 전체에서는 양(+)의 부호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의성이 없어 리베이트 금지가 판매촉진비 지출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기업의 경우에는 아주 미미한 수준으로 리베이트 금지에 대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특성요인과 판매촉진비와 관계에서 매출성장성에 미친 영향을 제시 함으로서 개별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promotion expenses items and company characteristics by empirical research in the medical industry. For this purpose, we have set up and tested 2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firm characteristics on the spending of sales promotion expenses items, using the sample of 630 year-firms during 2002 through 2010, To test the hypotheses, we have employe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at regresses the ratio of sales promotion expenses to sales on 4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firm size, sales, and a binary variable for small business, with the year dummies used as control variables. Hypothesis 1;Firm size and sales promotions expanses bears negative relationship in a significant level 1%. Second, research hypothesis 2;Sales and sales promotions expanses bears positive relationship in a significant level 1%,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vestors need to strengthen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activities to reduce the unnecessary and excessive sales promotions expanses by managers, The reason is that by the very nature of sales promotions expanses have the discretionary power to spend sales promotions expanses for their own personal benefits.

      • KCI등재
      • KCI등재

        비정질 As₂S₃를 중간층으로 하는 Fabry - Perot 에탈론에서의 광쌍안정에 관한 연구

        김강호(K. H. Kim),김석원(S. W. Kim),한성홍(S. H. Hahn) 한국광학회 1997 한국광학회지 Vol.8 No.6

        광학 다층박막 증착법으로 비정질 As₂S₃를 중간층으로 하고 앞뒷면 거울의 반사율을 다르게 한 비대칭 Fabry-Perot 에탈론을 구성하고 광의 편광에 따른 광쌍안정 현상을 관찰하였다. 사용된 중간층의 광학적 두께는 광원인 Ar+(λ=514.5 ㎚) 레이저 광에 대하여 2λ가 되도록 하였다. Ar+ 레이저의 출력이 80~100 ㎽ 일 때 광쌍안정 현상이 관측되었고, 입사되는 광의 각 편광상태에 따라 반사와 투과하는 광의 경향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광의 편광에 따른 비대칭 Fabry-Perot 에탈론내에서의 위상차가 입사광의 세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We fabricated the asymmetric Fabry-Perot etalon which contains amorphous As₂S₃ as a spacer layer by using the method of optical multilayer coating and observed the optical bistability with the polarization. Optical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is 2λ at Ar+ (λ=514.5 ㎚) laser wavelength. Optical bistability was observed at the intensities between 80~100 ㎽ and the experiment shows us that the trends of bistable loop of the reflected and the transmitted lights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e of polarization. This phenomena can be explained as the phase differences of each polarizations are different in the nonlinear Fabry-Perot etalon.

      • KCI등재
      • VIA를 이용한 RPC 성능 개선

        김강호(Kangho Kim),김진수(Jin-Soo Kim),정성인(Sungin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A

        최근에 클러스터 시스템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지만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 사이의 통신이 여전히 전체 성능 향상의 병목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클러스터 시스템의 노드간 통신은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는데, 동질적이고 전송에러를 무시할 수 있는 클러스터 통신망에는 적합하지 않다. TCP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 수준 인터페이스가 제안되고 구현되었다. 이중 Intel, Compaq, Microsoft가 주축이 되어 정의한 VIA는 SAN 환경에 적합하도록 기존의 소프트웨어 오버헤드를 줄인 사용자 수준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리눅스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영역 RPC 구조를 살펴보고, SOVIA(Socket/VIA)를 하부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하여 RPC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개선한 RPC는 VIA의 성능을 사용하면서 RPC 프로그래밍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VIA를 지원하는 분산 프로그래밍 환경으로 적합하다.

      • KCI등재

        청년층의 구직준비도 유형 분류와 주요 특성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참여자를 중심으로 -

        김강호(Kim, Kan-Ho),정동열(Jung, Dong-Yul),김태환(Kim, Tae-Whan)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정부의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에 참여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직준비도 수준에 따른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개인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참여자 대상의 구직준비도 검사가 시행된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의 자료와 별도의 사전검사 결과를 병행한 35,83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구직준비도 하위척도 수준에 따라 청년 구직자는 4개의 유형(잠재집단)으로 분류가 가능했다. 이 중 Class1과 Class2는 구직준비도가 대체로 높은 유형이었으나, Class2는 Class1에 비해 구직태도의 유연성과 직업탐색행동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Class3과 Class4는 구직준비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유형이었으나, Class4는 Class3에 비해 구직목표설정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개인특성에 따라 4개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차이가 있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구직준비도가 낮은 유형(Class3, Class4)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대학원 졸업자는 고졸 이하에 비해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Class1)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대기업과 교육기관,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 구직자의 경우, 중소기업 희망 청년구직자에 비해 대체로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Class2, Class1)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구직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Class2, Class1)에 속할 확률이 높은 반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청년 구직자는 구직준비도가 낮은 유형(Class3, Class4)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다음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직준비도에 따라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연계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청년들의 경제적 취약성을 완화할 지속적인 소득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대적으로 구직준비 수준이 낮은 청년여성에 대한 별도의 지원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job preparation an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government s the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ies in 2020. 35,835 youth s data from May to September 2020, when the job preparation test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in the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ies, and separate preliminary test results,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nto four potential groups according to the sub-scale level of job preparation among young people. Of these, Class1 and Class2 were generally highly prepared to find jobs, but Class2 had relatively low flexibility in job search and job search activity compared to Class1. Class3 and Class4 were generally low in job preparation, but Class4 had relatively low job search goals compared to Class3.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Wo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s(Class3, Class4) with lower job preparation than men. Graduat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Class1) with higher job preparation than those with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case of young job seekers who wanted to find jobs at large compan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or young job seekers who wanted to start up a business, the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s(Class2, Class1) with higher job preparation than those who wanted to fi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 more time they had for job search,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in the types(Class2, Class1) with higher job preparation, while young job seekers with part-time job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types(Class3, Class4) with lower job prepar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ustomized job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preparation. Second, continuous income support program is needed to alleviate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young people. Third, a separate policy should be supported to the young woman with relatively low job preparation level.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경력목표 변화 유형과 관련변인

        김강호(Kim, Kang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경력목표 변화양상을 통해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 변수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Nagin의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변수들에 대한 분석은 다층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관리자의 경력목표 변화는 두 개의 계층으로 구분 가능했으며, 각각 ‘고(高) 경력목표’, ‘저(低) 경력목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분석대상 여성관리자들의 82%가 ‘저 경력목표’ 집단에 속했으며, 12% 정도만이 ‘고 경력목표’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변수 중에서는 학력, 임금, 일에서 가정(삶)으로의 정적 전이, 멘토유무, 훈련참여 경험 등이 ‘고 경력목표’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변수에서는 승진결정기준 공개 여부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latent classes on trajectories of female managers’ career goal and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the group based modeling of Nagin was employed using the ‘Female Managers Panel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variables predicting on the laten classes were investigated with multi-level logi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The classes were classified to two groups, which were named ‘lower career goal’ and ‘higher career goal’. The lower career goal group was 82%, and the higher career goal group was 18% of female employees. Some individual variables, which were education level, wage, positive transition from household(or life) to workplace, mentors, and train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a member of the higher career goal group. Transparent promotion criteria of organizational variables was also increased the prob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