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모의 우울과 일-양육 갈등이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기쁘다 ( Ki¸ Ppuda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우울과 일-양육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취업모의 우울과 일-양육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패널 10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취업모의 우울, 일-양육 갈등(예측변인),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매개변인),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종속변인)의 구조관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취업모의 우울, 권위주의적 양육행동, 허용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우울은 귄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취업모의 일-양육 갈등은 허용적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우울과 일-양육 갈등이 양육행동과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취업모의 정신건강과 더 나아가 일과 양육사이의 조화와 균형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개입방향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working mothers’ depression influences thei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t also examines whether parenting behaviors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depression and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e 10th wave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analyze these structural associ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depression,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authoritarian parenting behaviors,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s predicted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depression and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lso, the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work-parenting conflicts and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improve working mothers’ mental health and the work-parenting balance.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열의와 학업 무기력

        기쁘다,Ki, Ppudah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e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number of types of parental attitude profi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predictor variables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fluenc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whether these profiles, in turn, influence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sample consisted of data on 2,590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s Panel Survey (KCYPS). The adolescents we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Mplus, the author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predictor and outcom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se profiles. Three profiles were identified based on major features: (1) coercion-inconsistency (8.3%), (2) general (47.3%), and (3) warmth-autonomy support (44.4%).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files. Also, the parental profiles identified the level of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ies and practices given the significance of parent psychological status, particularly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ir adolescent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 KCI등재
      • KCI등재

        부부갈등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기쁘다 ( Ki Ppudah ),이수란 ( Lee Sura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한 명 이상의 학령기 및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부모 총 94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기혼(사실혼 포함)이라고 응답한 9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인의 특성 및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를 사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부부갈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부부갈등이 높은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으로 연결되었으며, 이는 부정적 양육행동을 높이고 이것이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순차적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랩 검증에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부부체계에서의 갈등이 부모체계 및 가족역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자녀수반 가치감 및 자녀양육행동에 개입함으로써 부부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hild-based self-worth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uple conflict and mental healt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 total of 940 parents who had at least one child in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were surveyed. Among these, participants who reported having a partner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N = 905).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s) and Mplus (sequential medi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l paths in the structural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ild-based self-worth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conflict and couples’ mental health. Bootstrapping results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flict in the marital system can affect the parental system and family dynamics. The study suggests ways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marital conflict by intervening in parents’ child-based self-worth and parenting behaviors.

      • KCI등재

        부모의 가족 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 아동 문제 행동과 행복 간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기쁘다 ( Ki Ppuda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모형에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 정도가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아동의 문제 행동 내재화와 외현화, 그리고 아동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조관계를 종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 7차년도(2014년), 8차년도(2015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7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2013년 자녀가 6세 때 가족 상호작용이 2014년 자녀가 7세 때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가 나타났다. 효과의 크기 비교 결과, 가족 상호작용이 양육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크기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경우 모두 자기효과가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증 결과, 2013년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이 2014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2015년 아동이 8세가 되었을 때 아동문제의 내재화와 외현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2013년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이 2014년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2015년 아동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동 문제 행동과 행복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 영역과 아버지의 영향 영역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on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hich both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child problem behavior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and child happines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nd three waves from 6th in 2013 to 8th in 2015 were analyzed (n = 1,709).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both mothers and fathers for the influence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on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In the final model,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were mediated by mother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lso, the relation between father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children’s happiness was mediated by father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The different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on child development and related matters are discussed.

      • 서울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효과성 향상을 위한 질적연구 : 가족상담자의 특화사업 상담경험을 중심으로

        기쁘다(Ppudah Ki)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서울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기 위하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특화사업 상담서비스를 제공하였던 가족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상담자 관점에서의 가족상담 효과성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상담자 참여자는 2팀, 총 10명이었다. 연구 목적에 맞는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의도적 표본추출 전략을 사용하였고, 반구조화된 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총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8개의 주제는 비슷한 주제끼리 묶여 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가족상담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며, 주제로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상담의 효과성’이 포함되었다. 두번째 범주는 ‘상담자’이며, 주제로는 ‘슈퍼비전, 보수교육, 사례회의의 활용’, ‘전문적으로 가족상담 훈련을 받은 상담자 확대 배치’, ‘상담자 처우 및 부분적 상담유료화’가 포함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가족상담 및 센터 운영’이며, 주제로는 ‘내담자 중심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 필요’, ‘가족관점의 센터 운영’, ‘정기적 효과성 연구 및 척도의 다양화’, ‘물리적 환경 개선 필요’가 포함되었다. 도출된 범주와 주제를 바탕으로 서울시 건가센터의 가족상담 효과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고, 가족정책과 연결하여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the family counseling effectiveness of the Seou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especially focusing on family counselors’ experience of the family-specialized counseling program.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family counseling effectiveness,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metho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employ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strategy. Ten family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ight themes were identified that were combin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nfluence family counseling effectiveness. The first category was “the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effectiveness,” which included the “Seou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amily counseling effectiveness” theme. The second category, “the counselors,” included the following themes: “use of supervision, continuing education, and case conference,” “increase the number of counselors specialized in family counseling,” and “improve the wage system for family counselors and the payment system of the Center.” The third category, “the management of family counseling and the Center,” included the following themes: “need of client-centered systematic management,” “family-centered management,” “regular research of effectiveness and use of diverse measurements,” and “improve counseling environments.” Based on these categories and themes, the researcher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family counseling effectiveness of the Seou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relevant family policies.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 변화궤적: 결혼만족도의 영향과 자녀 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쁘다 ( Ki Ppudah ),김동훈 ( Kim Tongho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후 8년간 어머니의 우울이 변화하는지 그 변화궤적을 살펴봄에 있다. 출산 후 8년이 지나고 어머니의 우울 변화궤적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예측요인으로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결과요인으로는 아동 문제의 내재화와 외현화를 설정하였고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육아정책연구소 아동패널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2008년 1차년도 자료부터 2015년 8차년도 자료에서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매해 측정되어 8년 동안의 우울점수를 사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 후 8년 간 어머니의 우울 변화궤적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의미하였으며, 감소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 변화궤적의 초기값과 기울기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 변화궤적의 초기값과 기울기는 아동 문제의 내재화와 외현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of maternal depression for 8 years, after birth till the children become 8 years ol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fluenced the change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on and whether the change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on impacted the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from the 1st year to 8th yea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trajectory of maternal depression was significant. Maternal depression decreased for 8 years after child’s birth.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others influenced the intercept and slope of the depression change trajectory. This change trajectory of decreasing maternal depression influence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of their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family education, and family counseling and therap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열의와 학업 무기력

        기쁘다 ( Ppudah Ki )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e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number of types of parental attitude profi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predictor variables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fluenc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whether these profiles, in turn, influence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sample consisted of data on 2,590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s Panel Survey (KCYPS). The adolescents we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Mplus, the author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predictor and outcom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se profiles. Three profiles were identified based on major features: (1) coercion-inconsistency (8.3%), (2) general (47.3%), and (3) warmth-autonomy support (44.4%).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files. Also, the parental profiles identified the level of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ies and practices given the significance of parent psychological status, particularly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ir adolescent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