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科體詩의 程式 考察

        金東錫(Kim Dong-Surk)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朝鮮時代의 科體詩는 크게 古體科詩와 行詩의 2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두 가지는 모두 漢詩의 일종이기는 하지만 중국 전통 漢詩古體詩 및 近體詩의 형식과는 전혀 다른, 우리 나라 特有의 詩體이다.<BR>  古體科詩와 行詩는 모두 ‘7言詩’이고 17,8聯 이상의 ‘長篇詩’이며, 近體詩보다는 ‘古體詩’의 性格을 농후하게 띠고 있는 詩라는 점에서 서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古體科詩는 古體詩와 좀더 유사한 반면 行詩는 近體詩와 좀더 유사한 데서 서로 구별된다. 또 古體科詩는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에 걸쳐 모두 존재하였으되 후기에는 심히 쇠퇴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비해, 行詩는 대개 18세기 초에 등장한 이래 19세기에 이르러 크게 성행하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된다.<BR>  科體詩의 程式은 대개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① 古體科詩의 경우에는 1구의 字數가 꼭 7言으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며, 17,8聯 이상의 長篇이다. 押韻을 함에는 換韻이 허용된다. 평측은 出句의 首2字에 平聲을, 對句의 首2字에 仄聲을 사용하되, 이러한 격식을 계속 반복한다. 對偶句의 강구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식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② 行詩의 경우에는 1구의 字數가 7言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역시 17,8聯 이상의 長篇이다. 押韻을 함에는 도중에 換韻할 수 없다. 평측은 出句의 首5字에 ‘2平聲+3仄聲’을, 對句의 首5字에 ‘2仄聲+3平聲’을 사용하되, 이러한 격식을 계속 반복한다. 對偶句는 매 3聯을 1段으로 묶을 때 그 가운데 聯에 대해 모두 강구함이 원칙이다. 또 行詩의 경우에는 全篇의 構成ㆍ布置와 관련하여 入題ㆍ鋪敍ㆍ回題 등과 같은 章法의 理論도 발달하였다.<BR>  古體科詩이든 行詩이든 그 정식은 대체적인 윤곽만 지시하는 데 그칠 뿐, 강제적 구속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또한 그 정식의 준수 여부가 성적의 고하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지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성적의 고하는 오히려 詩題의 出典 및 意味 파악, 詩想의 전개, 典故의 인용 등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과체시의 정식이 왜 그와 같이 느슨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심층 연구가 요구된다.   Guachaesi(科體詩 abbr. as G.C.S.), the poetries composed at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generally into two kinds, the Gochaeguasi(古體科詩 abbr. as G.S.) and the Haengsi(行詩 abbr. as H.S.). G.S. is the poetry with a modified style derived from the ol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H.S. is the poetry with an enhanced new style of modified G.S. prevalent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lthough these two kinds are in the same categories of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including Gochaesi (古體詩 the poetries with an old form) and Gumchaesi(今體詩 the poetries with a regulated form), being different from Chinese poetry in many aspects, they have a very unique form of poetry developed in Joseon Dynasty.<BR>  G.S. and H.S. have common appearances with each other. Both are composed of lines of seven-character, have a style of long verse which contains average of 36 lines in 18 couplets, and also have features of the ol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But G.S. is distinguished from H.S. for having more similarities to the ol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than H.S. which is close to the regulate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Viewed in their duration, G.S. existed in Joseon Dynasty from the early 15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hereas H.S. was born at the beginning of 18th century and existe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B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wenty five poems composed at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the basic form of G.C.S. is as follows.<BR>  ① G.S.:⒜ Each line is not always fixed with seven-character. Sometimes it has five-character or above seven-character. ⒝ G.S. contains irregular rhyme, being permitted to change rhyme scheme in one poem. ⒞ It should be compose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even tone in the upper line of a couplet, an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uneven tone in the lower line of a couplet. ⒟ There are no rules to make some ‘couplets with parallelism(對偶句)’ between the lines(‘couplet with parallelism’ means each counter-character in one couplet should have the same function in accidence.)<BR>  ② H.S.:⒜ Each line is always fixed with seven-character. ⒝ G.S. is made of perfect rhyme, being not permitted to change rhyme scheme in one poem. ⒞ It should be compose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even tone and the next three-character of uneven tone in the upper line of a couplet, an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uneven tone and the next three-character of even tone in the lower line of a couplet. ⒟ There are rules to make couplet with parallelism at every middle couplet in each stanza consisted of three couplets. ⒠ There are also some poetic structures such as ‘analysis on the title(thesis) of a poem’, ‘descriptive clause’, ‘demonstrative clause’, ‘conclusive clause’, etc.<BR>  The basic form of G.C.S. does not have strict rules governing the elements or structures of the poem. G.C.S. has flexible rules with guidelines to compose the poem, so as to confirm the composition ability of an examinee. It seems that the scoring points were mostly laid on the examinee’s poetic spirit and encyclopediac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과거 관련 장전장후 고문서 연구

        김동석(Dong Surk KIM)(金東錫)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0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의 소과와 대과, 그리고 소과ㆍ대과의 한 단계에 가름하는 각종 시험과 관련된 몇 가지 고문서를 고문서학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과거시험의 실상과 과거 문화의 면면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과거 관련 고문서로는 官文書는 물론 私文書도 많이 작성되었을 터이지만, 오늘날 傳存되어 접할 수 있는 실물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문서는 대개 실물이 있거나, 문헌상에 문서식이 실려 있는 것에 한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고문서는 다음과 같다. 과장 입장 전의 문서로는 設科知委帖, 照訖帖, 四祖單子, 錄名單子, 改名證憑 立旨, 陳試狀 등이고, 과장퇴장 후의 문서로는 白牌ㆍ紅牌, 六行單子, 別給文記 등이다. 과장 중의 문서로는 試券, 講紙 등이 있으나, 이는 필자가 학위논문에서 이미 다룬 바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고찰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비록 많은 문서를 고찰하지는 못했지만, 그러나 본 논문에서 고찰한 소수의 문서를 통해서도 과거시험의 세부적인 절차 진행을 파악할 수 있었고, 과거 문화의 몇몇 단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고문서들은 과거제도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렇게 할 경우 과거시험의 세부적인 진상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전하는 과거 관련 고문서의 수량이 극소수여서 연구에 한계가 있다. This paper tries to scrutinize actual circumstances and cultur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by examining several paleographic documents related to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ith the archive science perspective. While both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were written as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State Examination, only a few of them are descended in these days. Reviewed documents in this study are, therefore, defined in substantial ones or documents with specific patterns. Ancient documen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Paper for public notice by county officer(Seol-Gwa-Ji-Wi Cheob ; 設科知委帖),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some exam(Jo-Heul Cheob ; 照訖帖), Record of the applicant's identity and his four ancestors' title and name(Sa-Jo Dan-Ja ; 四祖單子), List of Sa-Jo Dan-Ja(Nok-Myeong Dan-Ja ; 錄名單子), Certificate for confirmation of examinee's renaming(Gae-Myeong-Jeung-Bing Lib-Ji ; 改名證憑 立旨), Justification Letter for applicant's absence from some exam(Jin-Si-Jang ; 陳試狀) etc. as documents before entering the examination site; and Certificate for passing the primary level exam for Confucian classics or Chinese classic literature(Baek-Pae ; 白牌), Certificate for passing the higher level exam for recruiting government officials (Hong-Pae ; 紅牌), Greeting letter of the successful applicant to the King (Yuk-Hang Dan-Ja ; 六行單子), Certificate for property donation to the successful applicant(Byeol-Geub Mun-Gi ; 別給文記) etc. as document after leaving the examination site. Documents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examination site are the State Examination papers(Si-Gwon ; 試券), Expounding test papers(Gang-Ji ; 講紙) etc., but those documents are excluded in this study since the author already dealt with them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Even though this paper examines only a small number of document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specific processes and some cultur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through the paleographic documents in this study. Such paleographic documents should be studied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ystem of the State Examination, and in this way it is helpful to stud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There are, however, a very small number of extant documents about the State Examination, so the study in this area has its limit.

      • 전동화 파워트레인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 아키텍처와 제어전략을 중심으로

        최경환,금동석 한국모빌리티학회 2022 모빌리티연구 Vol.2 No.1

        Electrification is a crucial technology for eco-friendly and high-efficient powertrains. Various electrified powertrains such as electric, hybrid electric, and fuel cell electric powertrains have been developed, and they are considered the basis of future mobility. This paper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of electrified powertrain technologies, with a focus on architecture and control strategies. Future trends and core technologies of electrified powertrains are also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